행복의 기원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서은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해지는 법, "행복"한 인생을 살아라 등등, 어떻게(How) 하면 행복해지는지를 말하는 책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 자기계발서이거나 자기계발서 같은 느낌, 그런 책 읽어도 행복해지는 시크릿을 찾지 못한다. 읽고나면 허무할 뿐이다.

 

서은국 교수의 [행복의 기원]은 "How"가 아니라 "Why"에 대해 묻는다. "왜 인간은 행복이라는 경험을 할까? 또, 이 경험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역할은 무엇일까?".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다분히 목적론적 행복관 - 행복은 인생에서 추구해야 할 최고의 선 - 을 너무나 당연시 하고 있는데, 행복은 목적이나 종착지가 아니라 과정이고 수단이다. 이 책에서는, 표지 부제에도 언급되어 있듯이, 진화론적 관점에서 행복은 생존과 번식을 위한 진화의 산물이라는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우리는 인간이 상당히 이성적인 존재라고 생각하지만, 인류의 시간을 1년이라고 한다면, 우리가 문명생활을 한 것은 365일 중 겨우 2시간이다. 우리는 아직도 여전히 100% 동물이다. 우리의 생각, 선택, 행동 등은 의식이 아닌 곳에서 이루어지며, 동물의 모든 특성은 생존과 번식이라는 뚜렷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이다. 이러한 관점을 행복과 연결시키면 행복은 삶의 최종적인 이유도 목적도 아니고, 다만 생존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정신적 도구일 뿐이다. 행복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상황에서 행복을 느껴야만 했던 것이다.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복한 거라는 말도 생각난다)

 

책에서 강조하는 것, 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우리는 강한 성취를 하면 행복해 질 거라고 착각한다. 특히, 행복을 뒤로 미루는 한국인들, 학창시절 귀 따갑게 들었던 대학가면 하고 싶은 거 하며 행복하게 살 수 있어, 취업하면, 시험 합격하면, 승진하면, 집 사면,,,

그런데 모두들 경험하지만 목표한 것을 이루었다고 행복한 것은 한순간이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한번의 성취로 행복의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것은 생존에 위험하기 때문이라는 흥미론적 관점!

 

그래서, 행복은 아이스크림이다. 행복의 나라에는 냉장고가 없으므로 행복이라는 아이스크림을 오래 쥐고 있을 수 없다. 녹아 없어진다. 아이스크림을 쥔 즉시 먹어야 하며, 조금씩 자주 사먹어야 한다!

 

이 책에서 알게 된 또 새로운 사실, 행복에는 유전의 영향이 크다는 것과 행복한 사람은 사람 관계를 중시한다는 것. 그래서 외향적인 사람이 내향적인 사람보다 행복한 사람일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 (나는 하나도 해당되지 않을 것 같다;;)

 

심리학 책에는 주로 외국사례가 많은데, 이 책에는 서은국 교수가 연세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심리사례도 많아 더 와닿는다. 책 뒷부분에 한국인의 특성에 대한 부분도 흥미롭다. (지금 책이 없어 자세한 내용은 기억나지 않음^^)

 

200페이지의 분량에 행간도 넓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어 금방 술술 읽힌다. 서은국 교수의 썰렁한 농담도 내 취향!

 

이 책은 너무 리뷰를 쓰고 싶었는데, 12월말에 너무 바빠서 쓰다 말다 이제야 마무리.

 

2022년 계획 중 하나. 읽은 책은 100자평이라도 쓰자. 글쓰기 너무 싫어하고 능력도 없어(글쓰기라고는 초딩시절 일기숙제 이후 딱딱한 회사 보고서와 업무용 이메일만 주구장창) 그동안 책만 읽었는데 플친님들의 읽기 능력 뿐만 글쓰기 능력에도 감화되어 막 쓰고 싶네!(마음만;;)

 

여기서 책과 함께 놀고 계신 분들은 행복이 빈도라는 것을 알고, 책이라는 행복의 아이스크림을 자주 먹고 있는(과식!?) 분들이라고 장담한다. 모두 자주 행복하세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파랑 2022-01-05 13:31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읽은 책은 어떻게든 기록을 남기는게 더 기억에 남고 책을 다시 돌아볼수 있어서 좋더라구요. 저도 행복은 how 보다는 why가 방점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소소하지만 자주자주 행복하게~!!

햇살과함께 2022-01-05 13:52   좋아요 3 | URL
새파랑님의 부지런한 읽고 쓰기를 따라가보겠습니다 ㅎㅎ

mini74 2022-01-05 16:4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햇살과 함께님 글처럼, 책이란 행복의 아이스크림, 함께 맛있다 해주는 책친구들이 있어 북플의 행복지수는 높지 않을까합니다 ㅎㅎ 빈도, 작지만 소소한 행복이 쌓이면 큰 행복이 되는건가요. 뭔가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 햇살과 함께님 좋는 글 고맙습니다 ~

햇살과함께 2022-01-05 17:28   좋아요 2 | URL
저도 북플하면서 조금 더 행복해진 거 같아요~~

scott 2022-01-05 16:51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한번의 성취로 행복의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것은 생존에 위험]하다니 항상 행복해도 문제 ㅋㅋ!햇살님 리뷰에 희망을 얻어 갑니다 ^ㅅ^

햇살과함께 2022-01-05 17:33   좋아요 2 | URL
한번의 큰 사냥으로 행복감이 계속 유지되면 굶어죽는다는. 행복감이 사라져야 또 사냥해서 생존 가능하다고는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