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터 보니 바로 박막례 할머니 책 표지 떠오른다. 이 포스터 패러디했나 보다!!

절망감까지 가지 않고 아쉬움을 느끼는 데 그쳤던 것은 앞선 경험들 덕분이다. 이전에 방문했던 병원에서 "원인을 못 찾으면그냥 아픈 대로 사는 법을 익히는 것도 방법일 것"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 P75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Plato은 환생을 믿었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유난히 용감한 수컷 사자는 인간 남성의 모습으로 환생할 수 있는 반면, 용감하지 못한 남성은 여성의 몸으로 환생할수 있다. 즉, 여성으로 태어나는 것은 부족한 남성성에 대한 벌이라 여겼다. 심지어 아버지의 정액이 충분히 강하면 남자아이를 낳지만, 약하면 여자아이를 낳는다고 믿었다. 여성의 평등한 정치 참여 가능성을 이야기한 플라톤조차 여성을 남성의 결핍이자 잔여, 나약함의 상징으로 생각했다. - P93

19세기에 에테르 마취제가 개발되면서 드디어 무통분만이 가능한 시대가 열렸다. 하지만 일부 의사들이 반대했다. "수고하고 자식을 낳을것" (창세기)이라는 성경 구절을 근거로 무통분만이 신의 뜻에 위배되는 행위라고 주장했다. 신이 여성에게 내린 원죄에 대한 처벌을 의학이 감면해주면 안 된다고 생각한 모양이다. - P103

의료에서 여성의 통증 호소가 좀 더 쉽게 심인성으로 취급되는 것은, 여성을 대하는 사회적 태도의 반영이다. 여성의 경험과 말은 사소하고 이성적이지 않다고 여기는 문화가 아직도 팽배해 있다는 뜻이다. 여성은 불완전하고 불안정한 존재라는 규정도 여전히 견고하다. 여성이 불편함을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그야말로 ‘히스테리’(이 단어는 자궁을 뜻하는 그리스어 ‘히스테리아hystera‘에서 유래했다)라고 비하해온 그 뿌리 깊은 규정이 여전히강력하게 작동하고 있다. - P106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1-12-17 23: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막례 여사님
이 포스터 패러디를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