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필요한 거리는 얼마나 될까. 어느 정도의 거리여야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을까.

 

 

 

 

문화인류학자 에드워드 홀은 개인 영역을 네 가지로 구분했다. 부모 자식 간이나 연인, 부부 사이처럼 신체 접촉이 허용되는 친밀한 관계에서는 45센티미터 미만의 밀접한 거리, 친구나 직장 동료처럼 가까운 지인의 경우에는 45~120센티미터에 해당하는 개인적 거리, 인터뷰나 공식적인 만남 같은 상황에서는 120~370센티미터에 해당하는 사회적 거리, 무대 위의 공연자와 관객 사이에는 370센티미터를 초과하는 공적인 거리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100~101쪽)

 

 

- 배르벨 바르데츠키 저, <너는 나에게 상처를 줄 수 없다>에서.

 

 

 

여기서 말하는 거리를 ‘마음의 거리’로 해석해도 될 것 같다.

 

 

이 책의 저자에 따르면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적절한 거리 두기’가 가장 필요하고 또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바로 친밀한 관계라고 한다. 즉 부모 자식 간이나 연인, 부부 사이가 되겠다.

 

 

“특히 남자들은 본능적으로 다른 누군가와 빈틈이 없을 정도로 가까워지는 것을 두려워한다.”(102쪽)고 한다. “존 그레이는『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에서 남자들의 이런 특성을 ‘고무줄’이라고 표현했다. 남자들은 친밀해지고 싶은 욕구가 어느 정도 채워지면 자율성을 되찾고 싶은 욕구를 강하게 느낀다고 한다. 그래서 곁에 있는 연인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고무줄이 끊어지기 직전까지 달아나려고 하고, 고무줄의 탄성이 한계에 다다르면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제자리로 돌아온다는 것이다.”(102쪽)

 

 

이런 남자의 특성을 모르는 여자는 오해하면서 괴로워하기도 한다.

 

 

“그레이의 연구에 따르면 사랑하는 남녀가 겪는 많은 문제들은 바로 이런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여자는 느닷없이 거리를 두고 도망치는 남자를 이해하지 못한다.”(102쪽) “실제로 애정 관계에서 문제를 겪고 있는 많은 여성들은 남자친구나 남편이 거리를 두려 할 때 자신이 뭔가 잘못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상대방이 더 이상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답답한 마음을 대화로 풀어 보려고 할수록 남자는 더 멀리 달아나 버렸기 때문이다.”(103쪽)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실망과 좌절은 한 사람은 너무 가까이 다가가려고 하고, 한 사람은 거리를 두려고 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사랑하지만 구속하지 않는 거리란 몇 미터일까.”(105쪽)

 

 

가까이 다가가고 싶은 사람이나 거리를 두고 싶은 사람이나 중요한 것은 자기 마음의 ‘조절’이겠다. 서로 조절을 잘하지 못하고 감정적으로만 대응하면 싸움이 나고 관계가 나빠질 수 있으므로.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도 자율성을 되찾고 싶은 욕구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나만 해도 가족으로부터 떨어져서 혼자 있고 싶을 때가 있다. 그러다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고 싶어질 때가 온다.

 

 

모든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자신의 감정만 생각하지 말고 상대의 감정도 헤아릴 줄 알아야 하겠다. 이런 점에서 나는 풍선을 사이에 둔 사람과 사람의 모습으로 인간관계를 이해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정리해 봤다.

 

 

부부 사이에서나 연인 사이에서나 부모와 자식 사이에서나 두 사람 사이에 풍선 하나 끼여 있는 모습으로 서로 대하는 게 좋을 것 같다. 두 사람이 아주 가까이 있으면 풍선은 터지고 만다. 두 사람이 아주 떨어져 있으면 풍선은 날아가고 만다. 풍선이 터지거나 날아가지 않게 하려면 두 사람은 알맞은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물론 이것은 마음의 거리를 말한다. 상처를 주거나 상처를 받지 않기 위해서 필요한 마음의 거리일 것이다. 마음의 거리를 잘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

 

 

 

 

 

 

 

 

 

 

 

 

 

 

 

 

 

 

 

 

 

2.

사람과 사람 사이에선 마음의 거리를 잘 조절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다가 또 무엇을 잘 조절해야 할까 생각해 봤다.

 

 

작년 내 체중이 5.5킬로가 빠졌다.(현재 3킬로만 회복되었다.) 체중이 빠지고 나니 기운이 없는 것 같았다. 빈혈 증세가 생기기도 했다. 무엇보다 싫은 건 내가 거울을 봐도 예쁘지 않다는 것이다. 살이 찌기 위해 밥을 열심히 먹기로 하고 식사의 양을 늘렸다. 그랬더니 소화 불량에 걸리는 부작용이 생겼다. 많이 먹되 소화 불량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먹어야 했다. 식사량 ‘조절’이 중요하다.

 

 

정신의 무거운 짐을 들고 있어 그것을 바닥에 내려놓고 싶을 때가 있다. 그 짐에는 걱정과 불안이 가득차 있을 터였다. 걱정과 불안을 없애야 했다. 그것들을 없애서 정신의 무게를 가볍게 해야 했다. 이럴 때 필요한 게 ‘글쓰기’다. 마음이 치유되는 글쓰기인 셈이다. 그런데 글을 쓰면 정신엔 좋은 반면, 몸엔 부작용이 생겼다. 정신은 즐거워지되 몸은 고단해서 감기몸살이 났던 것. 글을 쓰되 감기몸살이 나지 않을 정도로 글을 써야 했다. 컨디션 ‘조절’이 중요하다.

 

 

책을 많이 읽으면 글을 쓸 시간이 모자란다. 글을 많이 쓰면 책을 읽을 시간이 모자란다. ‘7 대 3’으로 할까, ‘6 대 4’로 할까 생각하다가 ‘5 대 5’로 하기로 했다. 책을 두 시간 읽었다면 글을 두 시간 쓰기로 한 것이다. 시간 ‘조절’이 중요하다.

 

 

샤워를 할 때조차 물이 뜨거워서도 안 되고 차가워서도 안 된다. 적당한 온도의 따뜻한 물이어야 한다. 물 ‘조절’이 중요하다.

 

 

요즘 같은 겨울엔 실내의 온도 조절만 중요한 게 아니다. 지나치게 건조하지 않으면서 지나치게 습하지 않은 습도를 유지해야 건강에 좋기 때문에 습도 ‘조절’이 중요하다.

 

 

내가 ‘조절’을 중요시하는 순간, ‘조절’은 예전과 다르게 새로운 가치의 색채를 띤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잘 조절해야 합니까?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립간 2014-02-19 16: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과 사람이 거리 조절이 필요하지만, 그 거리라는 것이 (대개 4 범주로 분류할 수 있지만 그 분류내에서도) 각각이라는 것.

부부를 포함한 가족과 같은 사이에서는 대화를 통해 거리로 인한 스트레스를 공평하게 분담할 수 있지만, 직장 상사와 같은 갑을의 관게에서는 을이 갑의 기준에 맞춰야 한다는 것. 자율성이 없는 것에 대한 스트레스를 포함해서 인간 관계의 거리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을이 홀로 부담해야 하고.

직장 상사의 위치에 사회를 대입해도 같은 논리가 가능해, 사회에 대해 을에 위치에 있을 경우, 그마나 대화가 있는 사람보다 더 어려울 수 있지요.

내가 지금을 포함한 평생 잘 조절해야 할 것은 감정을 포함한 mentality - 죽을 때가 안 될 것 같습니다.

페크pek0501 2014-02-19 20:21   좋아요 0 | URL
갑과 을의 관계라... 사회와의 관계라...
님의 댓글은 훌륭하네요. 그 생각은 못했어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2014-02-19 17: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2-19 20: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stella.K 2014-02-19 18: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 말입니다. 나이들수록 중용의 가치가 점점 더 커지는 것 같습니다.
살이 그렇게나 많이 빠지셔서 어쩐답니까?
저에겐 복음일텐데, 저는 그렇게 살이 안 빠져요.
저는 뭐가 있을까 생각해 보니 햇빛을 보며 운동하는 것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게 또 그렇게 안 되요.ㅠㅠ

페크pek0501 2014-02-19 20:27   좋아요 0 | URL
작년에 친정아버지가 돌아가실 때 그 전후로 살이 금방 빠지더라고요.
그런데 회복은 더디네요.
복음이라고요? ㅋㅋ
적당하게 보기 좋은 몸매를 가진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마르거나 찌거나죠.

햇빛 보며 걷는 것, 요즘 많이 합니다.
미세먼지가 있는 날은 빼고요. ^^

비로그인 2014-02-19 2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요즘 살이 빠져요. 어떤 계기로 급속도로 빠지진 않고 매일 100g씩? 꾸준히요, 살 빼려고 운동하는 것도 먹는 걸 줄이는 것도 아닌데 그렇게 빠지네요. 거울을 봐도 생기가 없고 눈 밑은 자글자글해지는 게..(페크님의 '조절'에 관한 훌륭한 페이퍼에 하소연만 늘어놓고 있네요^^;;)

저는 '알라딘 접속시간'을 잘 조절해야 할 것 같아요.

페크pek0501 2014-02-21 08:16   좋아요 0 | URL
견디셔 님.
누군가에겐 살이 빠지는 게 좋고 누군가에겐 살이 찌는 게 좋은데 다 자기 맘대로 안 된다는 게, 세상은 공평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의 몸에 만족하는 사람은 드물지요.
저도 컴퓨터 켜기를 주2회로 해야 겠다고 계획을 세운 적이 있어요.
실천되기도 하고 안 되기도 하고 그래요. ㅋㅋ

잘잘라 2014-02-19 2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의욕 조절이요. 자전거 타고 다닌다고 산 자전거, 등산 다닌다고 산 등산복, 민요 배운다고 산 장구(장인이 만드신 거라 비싸게 주고 산.. ㅎㅎ), 서예 배운다고 산 서예도구.... 이 모두가 요즘 새로 배우기 시작한 분식점 창업 요리에 밀려나 있는 모습을 보자니 더 이상의 의욕은 안되겠다 싶어요.

페크pek0501 2014-02-21 08:17   좋아요 0 | URL
분식점 창업 요리, 그거 멋지네요.
님은 우울할, 그리고 심심할 틈이 없을 것 같으니 행복하신 분입니다.

세실 2014-02-20 1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마지막 한줄, 매력적이예요. 글을 쓰지 않고는 못 견디게 하는 카리스마 있어요~
전 식욕 조절이 필요합니다. 밥 먹고 간식이 왜 땡기며, 저녁에 소식하고는 한밤중에 가래떡이 왠말입니까!!!!! 최대의 적입니다. ㅎ

페크pek0501 2014-02-21 08:18   좋아요 0 | URL
저도 맛있게 먹는 것, 몇 가지 있어요. 그것도 행복이지요.

마지막 한 줄... 그 한 줄이 이 시시한 페이퍼를 조금 살려 놓았다고 평가하는 바입니다. ^^

노이에자이트 2014-02-21 16: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회생활에서도 친근하게 군다면서 어느 선을 넘어가면 무례함이 되기 쉽죠.적당한 예의를 지켜야 하는데...거리조절에 실패하면 인간관계가 어긋나니까요.

페크pek0501 2014-02-23 09:25   좋아요 0 | URL
맞아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 조절...
그러고 보면 모든 것에 조절이 중요하네요. ^^

다크아이즈 2014-02-23 1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의 거리든, 시공간적 거리든 꼭 필요한 거 맞지요? 인간관계에 있어서는 <너무 엎어지면> 깨지게 되어 있어요. 적당한 선, 적정한 거리가 유지되지 않으면 피로가 누적되고 스트레스 지수도 높아지지요. 이런 페이퍼 보면서 또 다지고 다지는 거지요.스스로를^^* 고맙습니다.

페크pek0501 2014-02-24 13:10   좋아요 0 | URL
그렇죠. 그런 거리들이 필요한 거죠. 인간은 누구나 혼자 있고 싶을 때가 있는 것 같아요. 우리 고딩 딸만 해도 (고 어린 것이) 그렇더라고요.
적당한 거리, 이게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기가 좀 힘들어서 그렇죠.

서울은 미세먼지 사흘째예요. 목요일에 비가 오면서 끝난다니깐 운동도 못하고 집에 갇혀 지내야 되네요. 그동안 공기 맑은 날도 큰 혜택이었음을 깨달아요.
좋은 하루 되시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