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를 ‘완벽’하게 쓰는 사람은 분명 뛰어난 능력의 소유자다. 여기서 ‘완벽’이란 자신이 볼 때 더 이상 고칠 게 없는 상태를 뜻한다. 이런 면에서 난 많이 부족하다. 한 번도 초고를 완벽하게 써 본 적이 없으니까. 항상 글을 쓰고 나면 두세 번 이상 읽어 보는데, 읽어볼 때마다 고칠 게 눈에 띈다. 고치면서 글이 완성된다.
며칠 전, ‘단상(30) 마음과 관련해 생각한 것들’이란 제목의 글을 서재에 올렸는데 이 글도 고친 게 많았다. 한두 군데가 아니라 여러 군데가 엉터리였다.
그럼 무엇을 어떻게 틀리게 써서 어떻게 고쳤는지를 공개한다. 첫째는 앞으로 틀리게 쓰지 말자는 뜻으로 나를 위함이요, 둘째는 글을 쓰는 우리 서재님들이 자신의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해 보라는 뜻으로 서재님들을 위함이다.
1. 자신 없는 표현은 삼가기
내 표현이 잘못된 것인지도 모르겠다.1) 어쩌면 내 안의 감정과 이성의 충돌로 볼 수도 있고, 두 개의 마음의 분리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난 이런 경우 몸과 마음의 분리로 생각하곤 한다.
|
(고친 글)
이것에 대해 내 안의 감정과 이성의 충돌로 볼 수도 있고, 두 개의 마음의 분리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난 이런 경우 몸과 마음의 분리로 생각하곤 한다.
|
내 표현이 잘못된 것인지도 모르겠다.1) - 이것을 뺐다. 이런 자신 없는 표현은 빼는 게 좋다. 독자는 자신감 없는 사람의 글을 읽는 건 시간 낭비라고 생각할 것이다. 독자는 아마추어 의식을 가진 필자보다 프로 의식을 가진 필자를 좋아한다. 그래야 얻을 게 있다고 생각한다. 만약 자신 없는 부분이 있다면 아예 언급하지 않는 게 좋다.
2. 낱말을 통일하기
어쩌면 내 안의 감정과 이성의 충돌2)로 볼 수도 있고, 두 개의 마음의 분리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난 이런 경우 몸과 마음의 분리로 생각하곤 한다.
|
(고친 글)
어쩌면 내 안의 감정과 이성의 분리로 볼 수도 있고, 두 개의 마음의 분리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난 이런 경우 몸과 마음의 분리로 생각하곤 한다.
|
충돌2) - 를 ‘분리’로 고쳐서 낱말을 통일시켰다. 한 문단 안에서 ‘충돌’과 ‘분리’의 낱말이 섞여 있는 건 좋지 않아서다.
또 다음의 글에서도 마찬가지다.
가령 자신을 겨냥해서 모욕감을 주는 악성 댓글을 받았다고 하자. 이때 우리는 두 가지의 생각을 할 수 있다.3) 하나는 ‘당신의 악성 댓글 따윈 무섭지 않다. 나는 끄떡없다.’라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그의 악성 댓글의 위력이 없음을 증명하려는 태도. 즉 당신은 헛수고를 했다는 걸 보여 주는 태도다. 또 하나는 ‘당신의 악성 댓글로 인해 나는 정신적 타격이 심해 병원에 다닐 정도다. 그러니 당신은 양심의 가책으로 괴로워해야 마땅하다.’라는 태도.
|
(고친 글)
가령 자신을 겨냥해서 모욕감을 주는 악성 댓글을 받았다고 하자. 이때 우리는 두 가지의 생각으로 태도를 취할 수 있다. 하나는 ‘당신의 악성 댓글 따윈 무섭지 않다. 나는 끄떡없다.’라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그의 악성 댓글의 위력이 없음을 증명하려는 태도. 즉 당신은 헛수고를 했다는 걸 보여 주는 태도다. 또 하나는 ‘당신의 악성 댓글로 인해 나는 정신적 타격이 심해 병원에 다닐 정도다. 그러니 당신은 양심의 가책으로 괴로워해야 마땅하다.’라는 태도.
|
두 가지의 생각을 할 수 있다3) - 를 ‘두 가지의 생각으로 태도를 취할 수 있다.’로 고쳤다. 그래야 그 다음에 나오는 낱말인 ‘태도’와 맞아떨어지게 된다.
또 다음의 글을 보자.
상대방이 총을 빵, 하고 쏘면 총알을 맞지 않더라도 죽는 시늉을 해 주고 싶다. 상대방에게 우선 만족감을 주고 싶다. 그런데 그 다음에 그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통쾌함4)만을 누렸다면 어쩔 것인가. 그러면 이렇게 생각하겠다. 한 사람에게 만족감을 주었으니 내가 덕을 쌓은 거야, 라고. 좋은 일을 하면 복 받는다, 라고.
|
(고친 글)
상대방이 총을 빵, 하고 쏘면 총알을 맞지 않더라도 죽는 시늉을 해 주고 싶다. 상대방에게 우선 통쾌함을 주고 싶다. 그런데 그 다음에 그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고 통쾌한 만족감만을 누렸다면 어쩔 것인가. 그러면 이렇게 생각하겠다. 한 사람에게 만족감을 주었으니 내가 덕을 쌓은 거야, 라고. 좋은 일을 하면 복 받는다, 라고.
|
통쾌함4) - 를 보면 만족감과 통쾌함이 같은 의미로 쓰이면서 통일되지 않았다. 그래서 두 군데를 고쳐서 통쾌함, 통쾌한 만족감, 만족감 등으로 썼다.
3. 같은 방식으로 나열하기
한 사람에게 만족감을 주었으니 내가 덕을 쌓은 거야, 라고. 좋은 일을 하면 복 받는다, 라고.5)
|
(고친 글)
한 사람에게 만족감을 주었으니 덕을 쌓은 거야, 라고. 좋은 일을 했으니 복을 받을 거야, 라고.
|
5)는 같은 방식으로 나열해 쓰는 게 좋을 것 같아 ‘~ 거야’로 통일해 고쳤다. 또 ‘내가’를 뺐다.
4. 독자가 이의를 제기하지 않게 쓰기
간혹 글의 내용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독자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필자의 입장에선 이런 것에 조심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내 경험으로 보면 몸과 마음은 두 개의 존재로 분리된다. 몸 따로, 마음 따로 반응할 때가 있다는 것이다.
|
(고친 글)
위대한 철학자들은 몸과 마음이 하나이기에 분리될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6) 하지만 내 경험으로 보면 몸과 마음은 두 개의 존재로 분리된다. 몸 따로, 마음 따로 반응할 때가 있다는 것이다.
|
몸과 마음이 두 개의 존재로 분리된다고 쓰면, 혹시 다른 철학자들을 들먹이며 그렇지 않다고 이의를 제기하는 독자가 생길지 모른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6)의 문장을 넣었다.
다음의 글을 보자.
백화점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난다. 매장에서 맘에 드는 멋진 핸드백을 발견한다. 가격이 비싸다. 몸은 그것을 원하는데, 마음은 그것이 비싸니까 사지 말라고 한다. 그래서 사지 않기로 했는데, 내 몸은 이미 그 핸드백을 어깨에 메어 보더니 어느새 계산대에서 그 핸드백의 값을 치르고 있다.
난 이런 경우 몸과 마음의 분리로 생각하곤 한다.
|
(고친 글)
백화점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난다. 매장에서 맘에 드는 멋진 핸드백을 발견한다. 가격이 비싸다. 몸은 그것을 원하는데, 마음은 그것이 비싸니까 사지 말라고 한다. 그래서 사지 않기로 했는데, 내 몸은 이미 그 핸드백을 어깨에 메어 보더니 어느새 계산대에서 그 핸드백의 값을 치르고 있다.
이것에 대해 내 안의 감정과 이성의 분리로 볼 수도 있고, 두 개의 마음의 분리로 볼 수도 있겠다. 그런데 난 이런 경우 몸과 마음의 분리로 생각하곤 한다.7)
|
‘몸과 마음의 분리’라고만 단정적으로 쓰면, 이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하는 독자가 생길지 모른다. 필자의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감정과 이성의 분리라고 생각하는 독자도 있을 수 있고, 두 개의 마음의 분리라고 생각하는 독자도 있을 수 있으니까. 그래서 7)의 문장을 넣었다.
이것은 내가 쓴 다른 글이다.
이처럼 마음이 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게 아니라면, 자신의 마음이든 타인의 마음이든 마음을 움직이는 게 가능하겠다. 우울·불쾌·슬픔·분노 따위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좋은 감정 상태로 돌리는 것도 가능하겠다. 의도적인 노력만 있다면 말이다.
|
(고친 글)
이처럼 마음이 늘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게 아니라면, 자신의 마음이든 타인의 마음이든 마음을 움직이는 게 가능하겠다. 우울·불쾌·슬픔·분노 따위의 부정적인 감정 상태를 좋은 감정 상태로 돌리는 것도 가능하겠다. 의도적인 노력만 있다면 말이다. 물론 예외가 있겠지만.8)
|
의도적인 노력만 있다면 자신의 마음이든 타인의 마음이든 마음을 움직이는 게 가능하겠다, 라고 썼는데, 이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독자가 있을 수 있다. 의도적으로 노력했는데도 상대가 마음을 움직이지 않는 경우도 있을 테니까. 그래서 8)의 문장을 넣었다. 그러면 독자가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것이다.
물론 독자는 말로써 직접 이의를 제기하지 않겠으나, 마음속으로 이 글은 틀렸어, 라고 생각한다면 그 글은 완벽한 글이 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독자를 염두에 두고 글을 쓰는 게 좋다.
5. 내가 최고로 치는 글은 이런 것
- 간결체의 문장이 좋다. 군더더기 없는 간결체가 최고의 문체라고 생각한다.
- 글은 경제성이 있어야 한다. 나의 경우, 글이 길어지면 그중에는 불필요한 문단이 있을 것이라고 보고 없애는 작업을 한다. 문장도 마찬가지여서 많이 쳐 낸다.
- 좋은 글일수록 상당히 수학적이라고 생각한다. 치밀한 계산이 밑바탕에 깔려 있다는 뜻에서 그렇다.
- 재미와 유익함(또는 감동)이란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글이 좋다. 유익함이 없다면 글을 읽을 필요가 없고, 재미가 없다면 읽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 가장 좋은 글은 쉽게 읽히고 그 글이 담고 있는 뜻은 깊은 글이다. 반대로 가장 좋지 않은 글은 어렵게 읽히고 그 글이 담고 있는 뜻은 깊지 않은 글이다. 뜻이 깊은 글을 쓰려면 사유가 깊고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와 같은 글이 쉽게 읽히고 뜻이 깊은 글로 본다.)
- 현학적인 글을 경계한다. 초보자가 현학적인 글을 쓰는 경우가 많다.
- 글을 읽자마자 빨려 들어가 딴 생각이 나지 않는 글이 좋은 글이다. 반대로 글을 읽다가 자꾸 딴 생각이 나서 여러 번 집중력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글은 좋지 않은 글이다. 흡인력이 중요하다.
(이렇게 썼지만, 이런 나도 좋은 글을 못 쓰고 있다.ㅋ)
....................................................................................................
* 이 글을 쓰고 나서
글을 잘 쓰려면 글을 많이 읽고 많이 쓰는 노력이 필요하다. 헤밍웨이는 <노인과 바다>를 무려 400번이나 고쳐서 썼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그만큼 ‘노력’이 중요하다는 얘기겠다.
한때 문학이론서만 읽은 적이 있다. 또 한때 문장작법에 관한 책만 읽은 적도 있다. 아마 이런 부류의 책을 수십 권쯤 읽었을 것이다. 글을 잘 쓰고 싶어서 배우기 위한 목적도 있었지만 그런 책들이 그 자체로 재미도 있어서 흥미롭게 읽었다.
이런 책들이 좋은 책이라고 생각하여 추천한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나도 모르게 입에서 튀어나오는 외래어가 부끄러운 사람”들한테 반갑고 힘이 될 만한 책. 한 달에 백 권도 넘는 책을 읽을 만큼 대단한 독서가인 최종규는 책을 읽으면서 ‘살려 쓰면 좋을 아름다운 우리 말’을 발견하면 따로 갈무리해 두고, 마찬가지로 잘못된 글, 나쁜 글, 불필요한 외래어나 외국어를 만나도 따로 갈무리해 두는 일을 오랫동안 이어오고 있다. 그리하여 이번에는 <뿌리 깊은 글쓰기: 우리 말로 끌어안는 영어>를 선보인다.(알라딘, 책소개)
최종규님의 책을 통해 글을 올바르게 쓸 줄 아는 능력부터 키우는 게 좋다.
<문장강화>. 이 책을 읽지 않은 작가는 드물 것 같다. 좋은 문장의 예문이 많이 들어 있다.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을 모르고선 글을 잘 쓸 수 없다. 문학이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 준다.
<유혹하는 글쓰기>. 글쟁이 친구가 꼭 보라고 권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