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딸과 함께 간 레스토랑.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새옹지마’로 검색하면 아래의 이야기와 거의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새옹지마[塞翁之馬]의 뜻 : 인생에 있어서 길흉화복은 항상 바뀌어 미리 헤아릴 수가 없다는 것.)
....................
중국 농부의 우화를 생각해 보자. 어느 날 농부의 말이 달아났다. 그날 저녁 이웃들이 위로해 주러 찾아왔다.
이웃들이 말했다. “자네 말이 달아났다니 정말 유감이네. 정말 안된 일이야.”
“그럴 수도.” 농부가 말했다. “아닐 수도 있고.”
그다음 날 말이 일곱 마리의 야생마와 함께 집으로 돌아왔다. 그러자 이웃들이 말했다. “오, 정말 행운 아닌가. 이제 말이 여덟 마리나 있잖나. 이렇게 상황이 뒤바뀌다니.”
“그럴 수도.” 농부가 말했다. “아닐 수도 있고.”
그다음 날 농부의 아들이 야생마 중 한 마리를 길들이다가 말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오, 이런. 정말 안됐구려.” 이웃들이 말했다.
“그럴 수도.” 농부가 말했다. “아닐 수도 있고.”
그다음 날 징병관이 전쟁에서 싸울 군인을 징집하러 마을로 찾아왔으나 다리가 부러졌다는 이유로 농부의 아들은 데려가지 않았다. 모든 이웃들이 말했다. “정말 잘된 일 아닌가!”
“그럴 수도.” 농부가 말했다. “아닐 수도 있고.”
우리는 광각의 세상에서 망원 렌즈로 찍은 사진 같은 삶을 살아간다. 전체적인 그림은 전혀 볼 수 없다. 우리가 택할 수 있는 유일한 건강한 반응은, 중국의 농부처럼 ‘아마도 철학’을 취하는 것이다.
- 에릭 와이너, <소크라테스 익스프레스>, 171~172쪽.
....................
⇨ 살다 보면 좋은 일이 나쁜 결과를 가져오기고 하고 반대로 나쁜 일이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매 순간 우리가 경험하는 것은 일부분이다. 시간이 지나서 전체를 생각해 보면 우리에게 일어나는 모든 일은 나쁜 일일 수도 있고 좋은 일일 수도 있다는 걸 알게 된다.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예를 백 가지쯤 소개할 수 있을 것 같다. 그중 한 가지만 간단히 소개해 보겠다. 친구의 딸이 중학생 때부터 공부밖에 모르는 학구파여서 대학을 졸업하고 대기업에 취직을 하자 친구들이 모두 그 딸을 둔 친구를 부러워했다. 그런데 그 딸이 서른 살이 넘어도 연애를 하지 않아 그 어머니는 딸애가 저러다 결혼을 하지 못하게 될까 봐 애가 탔다. 연애를 못하는 건 학구파의 단점 같다고 말하는 이들이 있었다. 서른두 살이 되었을 때 드디어 상대가 나타났고 둘은 연애하기 시작했다. 이제 결혼만 하면 된다고 주위에서 축하 인사를 전했다. 그런데 그 두 사람이 헤어지고 말았다. 딸애가 상처받고 괴로워하는 모습을 보니 그 어머니는 속상하였다. 다행히도 6개월 뒤에, 헤어졌던 남자보다 더 좋은 신랑감을 만나게 되어 둘은 행복한 결혼식을 올렸다. 내 상상력으로 예를 들어 봤다.
..........
목차
들어가는 말: 출발
1부 새벽
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처럼 침대에서 나오는 법
2 소크라테스처럼 궁금해하는 법
3 루소처럼 걷는 법
4 소로처럼 보는 법
5 쇼펜하우어처럼 듣는 법
2부 정오
6 에피쿠로스처럼 즐기는 법
7 시몬 베유처럼 관심을 기울이는 법
8 간디처럼 싸우는 법
9 공자처럼 친절을 베푸는 법
10 세이 쇼나곤처럼 작은 것에 감사하는 법
3부 황혼
11 니체처럼 후회하지 않는 법
12 에픽테토스처럼 역경에 대처하는 법
13 보부아르처럼 늙어가는 법
14 몽테뉴처럼 죽는 법
나오는 말: 도착
..........
위의 목차를 보고 구매한 책이다. 너무 재밌게 구성한 책이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