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yrus 님이 제 책 <피은경의 톡톡 칼럼>에 대한 리뷰를 올리셨습니다. 보고 그냥 지나칠까 하다가 그렇게 되면 해드림 출판사가 ‘엉터리 출판사’라는 오명을 갖게 되므로 제가 제 의견을 피력하는 게 좋겠다고 여겨 이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출판사의 실수라고 하기보다 책의 글쓴이인 저의 실수라고 하는 게 옳을 것 같아서입니다.

 

 

cyrus 님이 제기한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서머싯 몸의 작품을 제 책 101쪽에선 <인간의 굴레에서 1>로 썼고, 137쪽의 다른 글에서는 <인간의 굴레>로 쓴 것에 대하여 :

 

 

 

표기의 불일치. 이건 저의 실수네요. 제가 읽은 건 민음사 출판사의 <인간의 굴레에서 1>이었어요. 그래서 그렇게 쓴 것입니다. 그런데 동서문화사 출판사는 <인간의 굴레>라는 제목을 씁니다. 이걸 확인했던 기억이 납니다. <인간의 굴레>라고도 사용하니 틀리지 않다고 생각하여 고민하다가 안 고쳤어요. 책 제목을 <인간의 굴레에서>라고도 하고 <인간의 굴레>라고도 하는구나 생각했어요. 다만 제가 책 속에 또 <인간의 굴레에서 1>이라고 쓴 게 있는 줄 몰랐어요. 알았다면 둘을 통일해서 썼겠지요. 통일했으면 좋았겠지만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2. 같은 작품에 대해 제 책의 141쪽에서는 <레 미제라블>로 쓰고, 174쪽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이라고 쓴 것에 대하여 : 

 


비참한 사람들이라고 주로 해석하는 <레 미제라블>은 장발장이 나오는 소설이고, <가난한 사람들>에는 장발장이 나오지 않습니다. 각각 다른 작품이란 뜻입니다. 이건 cyrus 님의 실수 같습니다. 이 둘을 cyrus 님은 동일한 작품으로 생각했나 봅니다. 레 미제라블을 가난한 사람들로 해석하여 그렇게 착각할 수 있겠네요. 

 

<가난한 사람들>은 단편 소설로 그 내용은 제 책 174쪽에 있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인터넷 검색을 해 보시기 바랍니다.

 

 

 

 

 

3. 제 책 123쪽에서 ‘소매돋이’로 표기한 것에 대하여 : 
(연암 박지원의 소설 <예덕선생전>에 매력적인 인물 둘이 나온다. [중략]「저 넓디넓은 소매돋이를 입는다면 몸에 만만치 않고,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면 다시금 길가에 똥을 지고 다니지는 못할 것이 아니오.」)
여기서 ‘소매’라고 하지 않고 ‘소매돋이’라고 표기한 것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셨습니다.

 

 

제가 갖고 있는 책엔 소매돋이로 나와 있어서 옛날에 그렇게 표기했나 보다 하고 그대로 사용했어요. 지은이의 원문을 손상하지 않으려고요. 집에서 그 책을 찾으려 하니 어디에 있는지 몰라서 사진을 올리지 못하는 점, 아쉽습니다. ‘소매’라는 낱말에 제 맘대로 ‘돋이’라고 붙여 쓸 리는 없고 분명히 제가 본 책의 표기대로 옮겨 적은 것 같습니다.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뜻을 몰라 읽기 어려운 분은 없을 걸로 압니다.

 

 

12월 18일에 추가) https://blog.aladin.co.kr/717964183/12221639

 

 

 

 

 

4. 백조가 물밑에서 발을 움직이는 게 맞는가에 대하여 :
(160쪽) 백조의 우아한 모습만 보느라고 물밑에선 열심히 발을 움직이고 있음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하자. 겉으로 보이는 것만 보지 않도록 하자.

 

cyrus 님은 다음과 같이 설명하셨습니다.
“백조의 다리는 길기 때문에 물갈퀴를 빨리 움직이면서 헤엄치지 않는다. 반면에 오리의 다리는 짧아서 헤엄칠 때 물갈퀴를 빨리 움직인다.”

 

 


제 결론은 백조도 물밑에선 우아하지 않게 발을 움직인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문제가 없다고 봅니다.

 

 

 

 

 

 

 

 

 

 

 

 

 

 

 

 

 

 

 

 

 

 

 

 

 

 

 

.............................제 책을 출간한 해드림 출판사에 대하여 간단히 적겠습니다. 


제 책에 대한 리뷰들을 보니까 출판사 탓을 하는 글이 많았어요. 책 디자인이 세련되지 못함에 대한 지적이 많았던 것 같아요. 이것은 제 잘못입니다. 출판사에 속도를 늦추는 일이 미안해서 그냥 통과, 통과 했답니다. 책에 대해 제가 안목이 깊지 않은 점도 있었겠지요.

 

 

저는 딱 두 가지만 출판사에 부탁했었습니다. 책 종이가 두껍고 고급스러울 것. 그리고 눈 피로를 덜기 위해 글자가 진하게 나오게 할 것.

 

 

이 두 가지를 수용해서 제 책이 나왔기에 저는 나름대로 만족스러웠습니다. 종이가 두꺼워서 좋았고 글자가 진해서 좋았습니다.

 

 

그런데 제 책의 장점에 주목하신 분은 없고 단점에만 주목하신 것 같아 저로선 아쉬웠답니다. 아마도 내용을 지적하고 싶은데 저에게 미안해서 디자인 탓을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더라고요. 

 

 

제 책을 출간한 해드림 출판사는 매달 5~6권을 출간하는 괜찮은, 신뢰할 만한 출판사입니다. 게다가 출판 비용이 꽤 저렴했어요.

 

 

지금 알라딘 메인에서 검색해 보니 해드림 출판사에서 출간한 국내도서가 475권이 나옵니다. 꾸준히 출간해 오고 있습니다. 또 수상 경력도 많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봐 주십시오.

 

......................
해드림출판사, 2014년--2020년 세종도서(문학나눔) 및 우수콘텐츠 선정 도서

전체 보기


https://blog.naver.com/hd-books/222108051082
......................

 

 

 

 

<후기>
제 책의 오점 제기에 대해 저의 소감을 말하라고 하면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우선 제 책이 대단한 책도 아닌데 cyrus 님이 꼼꼼한 독서를 해 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리고 싶습니다. 같은 곳에서 블로거로 활동하는 이웃이다 보니 이런 영광스런 일이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열거한 것들이 치명적이라고 할 만큼 큰 실수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책을 내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을, 하는 아쉬움은 있습니다. 지금에라도 바로잡아 주신 분 덕분에 제가 수정해야 할 것들을 알게 돼서 다행이라 여깁니다. 혹시 훗날 제가 이 책의 개정판을 내거나 전자책을 출간하게 되면 꼭 수정하겠습니다. 그러나 실수가 하나도 없는 책을 낼 자신은 없습니다. 책을 내는 일도 인간이 하는 일이라 완벽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끝까지 읽어 주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제 책을 꼼꼼하게 읽으시고 게다가 리뷰까지 써 주신 cyrus 님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댓글(22) 먼댓글(0) 좋아요(4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0-12-08 20:3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갑자기 이 포스팅 읽으니 톡톡 칼럼 주문 하고 싶어지네요 덧붙여 언급하신 연암에 글도 !편집일하는 지인들 말에 의하면 철저하게 검토해도 어디선가 오탈자 튀어나오면 식은땀이 흐른데요

페크pek0501 2020-12-08 20:38   좋아요 2 | URL
저도 민음사나 문동에서 나온 책들에서도 오탈자를 발견하는 걸요. 신문에서는 말할 것도 없고요.
실수 없기란 즉 완벽하기란 로또 복권에 당첨될 확률이 아닐까 하는... ㅋ

이름이 알려진 출판사가 아니다 보니 실수가 보이면 화살이 그쪽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박균호 2020-12-08 20:36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해드림 출판사가 자비 출판을 하는 곳인가요? 그렇다면 편집이나 표지 디자인 등이 다소 세련되지 못한 것은 충분이 이해가 됩니다. 저자로부터 출판 비용을 지원받아서 책을 내는 출판사는 원래 다 저렇습니다. ㅠ 더구나 출판 비용이 저렴했다니 더욱 편집이나 디자인이 잘 나올 수 가 없습니다. 자기 돈을 들여서 책을 만들고 저자에게 인세를 지급한 출판사는 책을 팔아서 돈을 벌어야 하니까 책 만드는 것에 공을 들입니다. 자비 출판사는 책을 팔아서 돈을 버는 곳이 아니라 출간을 희망하는 사람들에게 출간 비용을 받고 책을 내주면서 이익을 남기는 곳이라서요. 자비출판사가 아닌 출판사는 책을 많이 팔아야 하기 때문에 편집 과정에서 저자에게 상당한 교정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팔릴만한 콘셉트를 기획을 해서 저자에게 출간을 요청하는 경우도 많고요. 자비 출판사는 그냥 돈을 받고 책을 내주면 돈을 버는 회사라서 아무래도 디자인이나 편집 그리고 교정에 많은 신경을 쓰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페크pek0501 2020-12-08 20:43   좋아요 3 | URL
예. 좋은 말씀입니다.
다들 주위에서 그렇게 저렴한 비용으로 책을 내 준 출판사라 신뢰가 간다고 하더군요. 또 평판이 좋은 출판사더라요. 출판계에서는...

제가 좀 피로하기도 했고 속도를 늦추기도 싫어서 또 얼마나 팔리겠나 하는 생각도 작용해서 꼼꼼히 디자인을 보지 못했어요. 제 잘못인 거죠. 제가 의견을 냈다면 수정 사항이 되었을 텐데요...
만약 과거로 돌아간다면 책 속의 디자인을 모두 빼고 민음사처럼 어떤 디자인도 넣지 않겠고, 돈을 더 투자해서 표지는 양장으로 하겠습니다. 아쉽고 속상한 부분입니다.
긴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박균호 2020-12-08 20:5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 출판사 홈페이지에 보니까 자비 출판의 경우 저자의 인세가 무려 45%군요 . 저는 그냥 일반 출판이라 10% 인세를 받습니다. 자비 출판이 저자로서는 매력적인 부분이 있군요. 그런데 저의 짧은 소견으로는 아무리 내용이 좋더라도 표지나 제목 그리고 내지 편집이 자비출판스러우면(?) 독자들의 시선을 끌기가 어렵습니다. ㅠㅠ 또 자비 출판사는 마케팅이나 서점 영업을 거의 안할테니 아무래도 책이 많이 알려지기 힘든 구조일거에요. 좋은 원고인데 아쉬움이 많으실겁니다.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인세를 받으시고 일반 출판사에서 책을 내시기를 권합니다. 편집자와 씨름을 하고 티격 태격 하다보면 원고가 많이 좋아지더라구요. 편집자는 글을 쓰는 사람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의 글은 귀신 같은 안목이 있어요. 책을 내면서 하게 되는 생각인데 출판이라는 것이 저자와 편집자와의 공동 작업인 것 같습니다. 어쨌든 앞으로도 좋은 책 기대하겠습니다 ^^

페크pek0501 2020-12-08 21:04   좋아요 2 | URL
맞아요, 저 인세를 책 정가의 45프로 받습니다. 괜찮은 비율이죠. 이달 하순에 받아요. ㅋ
제가 알려진 사람도 아닌데 자비 출판일 수밖에 없지요. 어디서 책을 내 주겠어요?
교정도 거의 제가 ... 출판사에서 따로 고치지 말라고 했어요. 신경 써서 봐 달라고 하면 봐 줄 텐데 제가 논술 강사를 오래 했기 때문에 자신감이 있었나 봐요. 건방을 떤 거죠. 걱정을 안 했더니 이런 실수가...

말씀 감사합니다.

박균호 2020-12-08 20:5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앗...그리고 양장이라고 모든 독자들이 더 좋아하는 것은 아니랍니다. 가격이 비싸고 읽기에 불편하다고 오히려 싫어하는 독자들도 많아요. 특히 젊은 층에서요. 양장보다는 편집과 교정 그리고 표지 디자인에 더 투자를 하는 것이 나을 듯 싶어요. 기본적으로 쓸려는 콘셉트가 읽히는 것인지 확인 여부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제가 뭐라고 조언할 처지는 아닌데 쓸데 없이 글이 길어졌습니다. 송구하고요. 편안한 밤 되세요,

페크pek0501 2020-12-08 21:06   좋아요 1 | URL
그래서 제가 양장을 안 했어요. 저는 책 볼 때 딱딱해서 불편하더라고요. 그런데 이제 와서 후회가 되더라는 것.

다음에 책을 내게 되면 박쌤한테 조언을 부탁드릴 생각입니당~~

굿밤 되시길...

cyrus 2020-12-08 21:3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습니다.

2번 사항은 제 실수가 맞습니다. 죄송합니다. <레 미제라블>의 이명이 많은데요, 그 중 하나가 <비참한 사람들>이에요. 제가 <가난한 사람들>과 <비참한 사람들>은 혼동했어요. 그리고 책 174쪽에 나온 <가난한 사람들>의 줄거리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어요. 이 점에 대해 반성하는 차원에서 사과문을 공개하겠습니다.

저도 1, 3번 사항은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저는 사소한 단어를 그냥 지나치지 않는 성격이라서 생소한 단어를 보면 그 뜻이 뭔지 찾아 봤어요. ‘소매돋이’를 처음 본 단어라서 국어사전을 찾아봤습니다. 그래서 ‘소매돋이’를 쓰게 된 이유가 궁금했습니다.

4번 사항은... 저는 본문에 ‘열심히 발을 움직이고 있음’이라는 구절을 ‘물갈퀴를 빨리(많이) 움직인다’는 의미로 이해했습니다. 대부분 글 쓰는 사람들은 백조의 헤엄치는 모습을 ‘우아하게 헤엄치지만 수면 밑에 물갈퀴를 부지런히(쉴 새 없이) 움직인다’라고 씁니다. 그래서 백조를 ‘겉으로 여유 있고 우아해보지만 실은 노력하는 존재’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는 사실과 다릅니다.

사실 백조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을 반박하는 입장을 찾기가 힘들었어요. 찾긴 찾았는데 하나는 나무위키 ‘고니’ 항목인데, 출처가 없어요. 두 번째는 매일신문에 게재된 칼럼입니다. 칼럼 내용 일부를 인용하겠습니다.


‘백조는 강물 위에서 우아하게 둥둥 떠 있는 것 같지만 물 밑에서는 물갈퀴로 끊임없이 헤엄치고 있어. 끊임없이 발을 놀리지 않으면 가라앉아 버리지.’

어떤 결과에 이르기 위해 다른 사람이 감당했던 노력을 보여주기 위해, 때로는 겉모습과 실제가 사실은 다르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흔히 하는 말이다. 오리나 거위, 백조는 물에 가만히 떠 있을 때, 발을 움직이지 않는다. 이동이 필요할 때만 느릿느릿 물갈퀴를 저을 뿐이다. 빠르게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할 경우에는 날아간다. 그러니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정신없이 물질을 해대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오리나 거위, 백조가 가만히 있어도 물에 뜨는 것은 깃털 사이에 상당한 양의 공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 깃털이 기름막으로 싸여 있는데다 물이 스며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백조의 거짓말>, 2012년 5월 22일)


이 칼럼에는 오리도 헤엄칠 때 발(물갈퀴)을 빨리 움직이지 않는다고 나오네요. 이게 사실이면 저도 오리의 헤엄치는 모습을 잘못 알고 있는 셈이에요. 뭐가 맞는 사실인지 알아봐야겠어요.

아무래도 페크님과 저는 ‘열심히 발을 움직이고 있음’이라는 구절을 서로 다른 의미로 이해한 것 같습니다.

페크pek0501 2020-12-08 22:04   좋아요 2 | URL
정성이 깃든 긴 댓글에 일단 감사드립니다.
마지막 말씀이 맞는 것 같아요. 우리 두 사람이 서로 다르게 해석한 모양입니다.
저는 우아하게 떠다니는 백조를, 물밑에서 다리의 움직임이 하나도 없는 것처럼 시치미 떼고 떠다니는 백조의 뜻으로 쓴 거예요. 사람들은 물 위에 떠다니는 것만 보고 물밑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른다, 로 쓴 거죠. 물밑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른다고 썼다면 나았을까요? ㅋㅋ
cyrus 님 같은 분이 교정을 봐 주셨다면 좋았을 텐데 싶습니다. 진심입니다.

제가 한마디로 건방을 떨어서 실수가 생긴 것 같아요. 되도록 제 원문을 건드리지 말아 달라고 출판사에 말했거든요. 윤색 작업은 원하는 저자의 책만 한다고 해서 저는 원하지 않는다고 했어요. 제 글을 미문을 넣어 고치고 다듬으면 칼럼의 맛이 안 날 것 같기도 했고 제 글이 누구에 의해 변형되는 게 싫었답니다. 못 쓰면 못 쓴 대로 날 것의 제 책을 내고 싶었거든요.

위의 글에선 큰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했는데 사실 진짜 큰 문제가 있을지 몰라요. 앞으로 어떤 님이 이건 정말 잘못됐다고 할 수 있잖아요. 그땐 항복, 하겠습니다. 하하~~

댓글, 남겨 주셔서 진심 감사합니다.

cyrus 2020-12-08 22:18   좋아요 2 | URL
제 리뷰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서 조금이라도 기분이 언짢으셨다면 사과드립니다. 페크님은 제가 자주 만나는 서재 이웃이라서 최대한 정중하게 썼는데, 문자 텍스트로 진심을 전달하는 것이 쉽지 않군요.

페크pek0501 2020-12-08 22:29   좋아요 2 | URL
저는 다음과 같은 구절에서 님의 리뷰를 신뢰했습니다.
˝필자가 글쓴이의 불만족을 잘 이해했는지 모르겠다. 필자는 글쓴이의 입장이 되어 이 책의 아쉬운 점을 꼽아봤다˝
- 저자의 입장에서 아쉬운 점을 꼽아본다고 하시는 분에게 어떤 저자가 기분 상하겠습니까?

이 기회에 그냥 제 책에 대한 합리화를 해 보고 싶었습니다. 워낙 제 책 리뷰에서 지적이 많이 들어왔던 터라... 그래서 변명, 이라고 제목에 넣었답니다. 내 책과 출판사를 좀 살려 보자고 하는 뜻에서... 하하~~

그리고 취소선으로 정정하신 것, 보고 왔어요. 감사드립니다.
편안히 주무십시오.


2020-12-08 21: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8 21: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8 2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8 22: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9 20: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9 22: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9 21: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0-12-09 22: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서니데이 2020-12-10 20: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페크님, 올해의 서재의 달인과 북플마니아 축하드립니다.
따뜻하고 좋은 연말 보내시고,
항상 행복과 행운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페크pek0501 2020-12-11 12:34   좋아요 1 | URL
오, 제가 서재의 달인으로 뽑힌 걸 서니데이 님 덕분에 아네요. 감사합니다.
지금 확인하고 왔어요. 이번 해는 상반기에 책 출간 작업으로 시간을 많이 빼앗겨 서재 활동을 열심히 하지 못했는데 하반기의 활동으로 만회했나 봅니다. ㅋ

이게 또 뭐라고... 기쁘네요. ㅋㅋ~~~
서니데이 님처럼 매년 선정되시는 분들이라 특별하지 않을 수 있으나 저처럼 미끄러진 경험을 많이 하고 나면 특별해진답니다.

서니데이 님도 연말을 향해 가고 있는 하루하루가 행복과 행운으로 가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우리 좋은 이웃으로 쭉~~~~~ 갑시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