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에서의 5박6일 일정을 마치고 암스테르담으로 이동했다. 어떤 사람은 파리에 실망했다고 했지만 나는 파리가 좋았다. 어디를 가든 볼거리가 넘치는 곳이었다.
여행 일정중 제일 먼저 도착한 곳이라 의욕도 넘치고 체력도 소진되지 않아 더 좋았는지도 모르겠다.
파리의 지하철은 듣던데로 낡고 불편했다. 오래전 영화 ‘퐁네프의 연인들‘에서 레오 까락스가 지하철 역사에 불을 지르던 모습 그대로였다. 다리가 불편한 딸이 계속 계단을 오르내려야했기에 옆에서 부축을 하며 천천히 다녀야했다.
파리에 소매치기가 많다는 것이 사실이었다.
딸아이와 지하철 통로를 지나가는데 뒤에서 내 배낭 지퍼가 서로 부딪히는 소리가 들렸다.
뭔가 불길한 예감이 들어 나도 모르게 비명을 질렀다.
뒤로 돌아보니 12살 정도 되는 흑인소녀 두 명이 나의 배낭지퍼를 여는 중이었다.
내 비명소리에 그들도 놀라 지나가버리고 뒤에 오던 흑인 여성이 우리에게 배낭을 앞으로 메고 다니라고 하였다.
여행 끝까지 여권만은 사수해야하기에 식겁했다.
불편했지만 할수없이 전대를 차고 다녀야했다.
기차를 타고 암스테르담으로 건너왔다.
왼쪽으로 보아도 오른쪽으로 보아도 끝없이 펼쳐진 평원을 보고 이 땅들이 축복받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우리보다 경쟁하지 않아도 먹고 살 먹거리가 충분히 재배될 수 있다는 게 얼마나 그들에게 유리한 것인가를 실감했다.
암스테르담은 어디를 가든 물이 있어 사진을 찍으면 그것 자체로 하나의 작품이 되었다.
파리와는 느낌이 조금 달랐다.
좀 더 활기차고 알록달록하다는 느낌을 받는다.
파리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이곳은 교통이 좋다.
지하철, 트램, 버스로 환승이 쉽고 모든것이 깨끗하고 시설이 좋다. 9유로면 하루종일 어떤 대중교통도 이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암스테르담은 우리가 잘 알고 있듯이 대마초와 매춘이 합법인 나라이다.
그래서인지 길거리 전체가 담배꽁초로 가득차 있고 대마 냄새가 많이 난다. 심지어 대마가 들어간 쿠키도 있다.
홍등가는 구경하러 간것이 아니라 암스테르담 셀트럴역 근처에 숙소가 있기에 그곳을 자주 지나다녀야 했다.
저녁 시간이 되면 진한 화장에 야한 속옷을 입은 여자들이 거리를 지나가는 남자들을 유혹했다.
그곳에 눈길을 주기가 거북했고 기분이 별로였다.
이 두 가지가 암스테르담에 대한 좋은 감정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었다.
암스테르담에 왔으니 하이네켄 생맥주를 당연히 마셔야지.
분위기가 건전한 바에 이틀 연속 가서 맥주를 마셨다.
안주 없이 간단하게 맥주만 한 잔하고 나와도 되는 것이 좋았다.
암스테르담에서 기차를 타고 30분정도만 가면 볼 수 있는 튤립축제와 풍차마을도 좋았다.
특히 쾨켄호프의 툴립축제가 기대 이상으로 너무 좋았다.
아침 일찍 도착해 사람이 별로 없는 곳에서 정원을 산책할 수 있었고 여러 종류의 튤립꽃도 아름다웠다.
비가 조금 와서 아쉬웠지만 그래도 운치가 있었다.
암스테르담 국립 미술관과 반 고흐 미술관도 좋았지만 파리의 오르세에서 본 ‘론강의 별이 빛나는 밤‘과 오랑주리의 ‘수련‘을 능가하지는 못했다.
지금은 유로스타를 타고 런던으로 넘어가는 중이다.
방금 브뤼셀역을 지났는데
도버해협을 어떻게 지날지 기대된다.
여행을 하다보니 아무래도 먹는 것과 잠자리가 부실하다.
피부는 푸석해지고 살도 많이 빠진듯 하다.
체력도 약간 고갈되고 피곤해서인지 입 주변에 염증도 생겼다.
남은 여행일정도 멋졌으면 좋겠다.
런던이 나를 잘 받아주기를^^
어디를 가든 나는 진정한 책쟁이에게 관심이 많이 간다.
기차를 타고부터 계속 책을 읽고 있는 여성이 있다.
여행 핑계로 책을 너무 멀리해 아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