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벼운 마음
크리스티앙 보뱅 지음, 김도연 옮김 / 1984Books / 2024년 5월
평점 :
딱히 큰일이나 안 좋은 일이 없어도 마음이 무거울 때가 많다. 슬프기도, 아련하기도 한 이 감정은 수시로 나를 찾아온다. 어떨 땐 만개한 꽃이나 아장아장 걸어가는 어린 아이를 볼 때도 그렇다.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자연과 인간의 물리적 생과 사가 나를 허무하게 만든다. 무겁기에 더 가벼운 곳으로의 도약을 꿈꾸지만, 태생적 무거움은 가벼움과 상극이라 그것도 쉽지 않다.
그런 나에게 크리스티앙 보뱅의 가벼움은 지극히 명쾌했다. 어찌 보면 이 소설이 도덕과 책임이 결여된 화자의 변명과 합리화로도 읽힐 수 있지만, 난 이 글을 그렇게 보는 사람과 다시는 상종하지 않을 각오를 할 정도로 보뱅의 글에 푹 빠져버렸다. 이 책의 모든 문장에 나를 투과해 내 삶을 바꾸고 싶을 정도였다.
읽으며 소리 내어 웃기도 했다. 여러 이름을 가진 주인공 뤼시의 엄마처럼 속에서 웃음이 솟구쳐 나왔다. 그만큼 보뱅은 내 기분을 크고 좋게 상승시켜 주었다. 각 에피소드 마다 기발한 생각과 그 가벼운 마무리가 철학적이면서도 현실적이었다. 그렇게 살아도 되는 인생에 우리는 스스로 너무 많은 굴레와 책임을 씌어 버린 것이다.
[적절한 보폭, 가볍게 존재한다는 것, 아무것도 안 하는 것, 요약할 수 없는 삶, 있는 것을 단순하게 받아들이는 기술, 바로 그때가 되면 생각하는 것이다, 무성의한 익숙함, 내 마음을 통과했던 사람, 사소한 것들에 깃들어 있다, 지울 수 없는 희극적 요소, 바라보는 것은 생각하는 것이다, 기다림 피곤 지루함으로 이루어진 투박한 삶, 감정을 넘어 선 그 너머 다른 곳, 《어쩔 수 없다》는 말에서 해방되고 싶다, 거리두기의 기술, 나의 그늘에 안녕을 고한다, 내 안의 가출소녀, 다른 무언가에 다다를 시간, 가끔은 일단 저질러야 한다, 이해하는 것은 그 다음이다, 죽음에 대해 아무것도 듣지 않으려고....]
이런 보뱅의 글들에 오래 머물 것 같다.
회전목마를 타고 빙글빙글 돌아가며.

이 책이 좋고 봄꽃이 만발해 집 밖으로 나왔다. 천변 가에 활짝 핀 벚꽃에 살짝 마음이 무거워졌지만 곧 보뱅을 생각하며 나를 가볍게 만들었다.
요즘 산책길에서 지팡이나 워크를 끌고 혼자 걷는 여자 노인에게 달라붙는 괴물을 많이 볼 수 있다. 그 괴물은 2명이나 3명이 짝을 지어 다니며 할머니를 감싼다. 그들은 힘없이 겨우 걷는 할머니에게 바짝 붙어 자기들이 다니는 교회에 오라고 꼬드긴다. 옆에서 살짝 듣고 있으면 그 말들이 가관이다. 나라면 저 사람들에게 짜증을 낼 것 같은데 할머니들은 다 착하셔서 조용히 듣고 있다. 다른 사람의 가벼움을 무거움으로 만드는 사람이야 말로 천국에 갈 수 없을 텐데 정작 저 사람들은 모르는 모양이다.
보뱅이라면 이렇게 말할 것이다.
[가벼움은 어디에나 있다.
여름의 도도한 서늘함에,
침대맡에 팽개쳐둔 펼쳐진 책의 날개들에....
가벼움은 어디에나 있다.-p. 68
내가 하는 산책길에도...
그러니 방해하지 말고 꺼져줄래?
너희는 늑대를 길들일 수 없어!]
이번 봄엔 매년 수백 장씩 찍는 봄꽃 사진을 찍지 말고 되도록 눈에 담자고 했지만 그래도 몇 장을 찍고야 말았다. 올해는 진달래가 예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