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의 자격 - 내가 제대로 키우고 있는 건가
최효찬.이미미 지음 / 와이즈베리 / 2014년 2월
평점 :
부모의 자격 - 내가 가장 사랑하는 아이 내가 정녕 제대로 키우고 있는 건가 ?
결혼후 나의 몸을 빌어 세상에 난 아이를 만나는 순간 세상의 모든 부부는 부모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학부모가 되었습니다.
같지만 다른 느낌, 같은 사람이지만 전혀 다른 사랑이 되어가는 이름 바로 부모와 학부모입니다.
부모라는 이름이 그 어느것과도 비견되지않을 세상에서 가장 자애로운 사랑이라면 학부모는 명예 사회적 신분과 같은 사회구조속의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혀들며 내 아이는 이랬으면 하는 기대와 욕구가 팽배하게 자리하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그 둘은 엄연히 하나입니다. 그럼에도 전혀 다른 모습으로 내 아이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얼마전 sbs에서는 신년기획프로그램으로 부모 vs 학부모라는 다큐 프로가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교육일번지라 할 수있는 강남엄마의 모습을 통해 학부모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주었더랬습니다.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분명 저렇게 까지 해야하는가라는 생각을 하는이도 있었겠지만 모르긴 몰라도 대다수의 많은 사람들이 충분히 공감할 내용이었던듯 합니다. 언제부터인가 아이들의 교육현실에서 많은 부모에게 팽배해진 사상이 바로 할아버지의 재력 아버지의 무관심 엄마의 정보력으로 내 아이의 대학이 결정된다 라는 생각일테니까요.
교육에는 분명 정도가 있을것입니다. 하지만 하나 아니면 두 아이를 키우는 탓에 초보 부모일수밖에 없는 오늘날의 학부모는 많은 부분에서 오류를 범하곤 합니다. 그건 사랑과 정성이 가득할수록 더해지는 듯 합니다 . 최고로 키우고 싶은 마음 내가 누리지 못했던 것에 보상 좀 더 명예롭고 부유하게 살게 해주고 싶은 마음이 욕심이 되어 많은 것을 요구하게되고 강요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사랑이 억압이 되고 강요가 되어주며 서로가 불행해지는 지는게 순서이니까요.
어쩔수 없다고 하면서도 그것이 답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포기할수 없는 건 사회탓으로 돌리곤 하지요. 저 역시도 그러했었습니다,
헌데 변하지 않는 건 변하지 않는 채로 남겨두고 시간이 필요한건 시간이 필요한대로 남겨두며 아이도 부모도 함께 행복해지고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길을 부모의 자격속에서 조금은 본 듯 하답니다.
아이에게 상처 주지 않는 지혜로운 부모의 자격은 무엇일까 ?
한동안 탐닉했던 교육서를 손에서 놓은지 한참이 지나 오래간만에 만난 부모의 자격이란 책을 집어들며 조금은 특별한 이야기를 만나게 되는건 아닐까 기대가 컸었답니다. 최효찬이란 이름에서 5백년 명문가의 독서교육, 세계 명문가의 자녀교육, 현대 명문가의 자녀교육등 그동안의 저서를 떠올렸기 때문이지요.
많은 것을 보고듣고 느끼고 깨달았을 작가가 말하는 부모의 자격은 무엇일까 ?
헌데 처음 기대했던것과 달리 특별한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그저 초등학생이 되었고 중학생 3년을 보내고 이젠 고등학생이 된 내 아이가 지나온 시간이 있었을뿐입니다. 그리고 청소년기에 가장 중요한 고등학생을 조금 일찍 보낸 아이들의 이야기가 있었을 뿐이니까요.
그런데 그 이야기가 특별했습니다.
누구나 공감하게되는 지극히 평범했던 이야기가 혹시나 우리집의 이야기가 될수도 있었던 사례들이 마음에 콕콕 박혀왔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한 정답을 찾아가고 있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한 끊임없이 번뇌를 하게될 나는 부모인가 학부모인가?. 부모 vs 학부모의 대결에서 승자는 ?
극단적으로 비유하자면 부모이기를 선택한다면 조금은 더 행복한 가정이 될테고 학부모이기를 선택한다면 매일 매일 살얼음을 걷듯 불안한 삶이 이어지지 않을까?. 아이러니하게도 이 책의 표지를 장식하고 있는 것은 이수동화백님의 행복나무라는 그림입니다. 부모와 자녀가 완성하고있는 가정에서 아주 당연하게 떠올리게 되는 바로 그것, 하지만 우린 정말 행복한 삶을 살고있는걸까요 !
( 이수동 화백님의 행복나무 - 부모의 자격에 더욱 공감하게 만들던 표지)
대한민국은 지금 교육피로 사회 !
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우리네 부모들은 내 아이와 그네들의 친구와의 비교를 시작합니다
저학년일때까지만해도 사회성과 예의 예절등에서 비교점을 찾아 다행스러웠다면 고학년이 되고 중학생 고등학생이 되면서 그건 단 하나의 잣대 성적에 연연하게 되지요.
무조건 명문대에 가야만 한다든가 적어도 in 서울은 해야만하는 목표를 두고는 아이 자신과 부모의 모든 바램과 명예와 미래를 걸곤하니까요. 거기엔 자기만족도 있지만 더욱 크게 작용하는건 상대원리입니다.
그러면서 서로가 서로를 얽매이고 힘들게 만들고 있었습니다.
책은 저자의 사상과 사고가 접목되어서는 실패했고 성공했던 사례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달려가기만 했던 엄마들, 무조간 달리라고 등을 떠밀었던 엄마들이 어떻게 왜 실패했는지의 일례를 통해 그것이 정도가 아님을 스스로가 느끼게 합니다.
자식의 교육에 있어 정도는 없다라고 하지요. 각자가 타고난 두뇌와 인성이 다르고 성격과 꿈이 다르기에 누군가에게 최선이었던 그 과정이 누군가에겐 아무런 의미가 없을수도 있을테니까요.
하여 다양한 꿈과 성향을 가진 아이를 키우는 이 세상의 엄마들에게 이것이 정도입니다 라는 이야기는 어불성설일텐데요.
아마도 그래서 이 책에 더욱 공감을 할수 있었던 듯 합니다.
내 자식이라는 이유로 간과했던 사실들을 현실적으로 일깨워줄 뿐, 내 자식이기에 무조건 두둔했던 사실들을 상기시켜줄 뿐 무엇이 정도라는 이야기는 없었습니다. 다만 이미 성공했던 사람들 이미 실패했던 사람들의 사례속에서 각자의 길을 찾을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을뿐이었습니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엇비숫하고 불행한 가정은 불행한 이유가 제각기 다르다..
왜 실패했고 불행해졌는지의 다양한 사레들이 있었습니다.
대학진학률이 인생의 성공을 의미하는 사회에서 무던한 노력을 했음에도 실패했던 이유가 있었뿐입니다. 무조건 합격만 하고보자라고 했으나 그 합격이 성공이 아님을 보여줍니다
내 아이만은 아닐것이다라는 부질없는 확신으로 혹시 많은것을 놓치고 있었던것은 아니었나요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건 학부모가 아닌 부모가 되는 연습이었습니다.
아이들의 학습 효율이 부모의 잔소리가 아닌 스스로의 의지에서 비롯되듯 부모의 자격에는 바른 부모가 되기위해 꼭 필요했던 생각들과 공감을 통해 나 자신을 돌아보게하는 울림이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