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슬럿>, 이 책을 내가 어디에서 봤더라. 신간 소개였나? 새로나온 책을 훑어보다가 보았나? '젠더의 언어학'이라는 흥미로운 부제 때문에 궁금했다. policeman 같은 단어가 경찰을 모두 남성으로 전제하므로, police officer이라는 단어로 대체해야 한다거나, 우리 말 중에도 '시댁'을 '처가'와 마찬가지고 '시가'라고 부르자는 등의 페미니즘에 기초하여 언어에 숨겨진 불평등을 고민하고 바꾸려는 주장과 움직임은 보아온지 꽤 됐지만, 언어학자가 본격 분석한 젠더 언어학이라니? '비록' 영어에 관한 것이지만.. 대단히 흥미롭지 않은가. 게다가 옮긴이는 이민경 작가다.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다. 언어는 언제나 권력 구조와 사회규범을 반영하고 그것을 강화했으며 지금도 그렇다. 늙은 백인 남자들은 문화를 너무 오래 다스렸고, 언어는 문화가 만들어지고 소통되는 매개체다. 그렇기에 우리가 왜 그리고 어떻게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도전하고 이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살필 시간이 왔다. 우리가 매일같이 쓰는 단어에 질문을 던지고, 그런 단어들을 사용하는 문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깨닫지 않으면 주소나 욕처럼 아주 간단한 말조차 우리가 동의하지 않는 권력구조를 강화할 것이기 때문이다. - 20쪽
이런 목적의식을 갖고,
앞으로 어떤 이야기를 할 것인지 '0장'에서 설명한다.
이후 장들에서는 여러분이 좋아하는 욕설에 숨은 성차별주의 그리고 보컬 프라이와 '그니까like'를 자주 쓰는 습관이 사실상 언어학적 지식을 담은 표지들이며, 캣콜링을 하는 인간들이 허구한 날 길에서 마주치는 낯선 사람을 향해서 "섹시한데!"를 외치는 동안 그들의 마음속에서 무슨일이 일어나는지를 다루게 된다. 젠더 포괄적인 방식으로 말하는 것이 더 쿨한 이유와 어째서 '게이 보이스'는 존재하는데 '레즈비언 보이스'는 회자되지 않는지도 다룬다. '컨트cunt'라는 단어에 얽힌 역사와 '가십'이 무엇인지, 남자가 이 행성에서 사라진다면 언어는 어떻게 바뀔지(그냥 가설이다!), 이 정보를 통해서 진짜 변화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하고자 한다. - 29쪽
위 인용문에서 느껴지겠지만 저자의 글은 딱딱한 학자풍이 아니다. 저자 소개에 "<에스콰이어>가 '2022년 최고의 팟캐스트'로 선정한 인기 팟캐스트 <컬트처럼 들린다Sounds Like A Cult>의 제작자이자 진행자"라고 적혀 있는데, 팟캐스트 진행자 이미지에 더 가까운, 위트가 있는 글이라 재미있다. 저자는 스스로가 어릴 때부터 지나치게 발화량이 많았던 수다쟁이라면서, 이 책을 읽고 나면 다른 생각을 품은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을 것이라 말한다. 일화도 있다.
저자가 뉴욕대를 다니던 19세 시절, 아르바이트로 돌보던 5학년 여자아이, 그 친구 및 그 어머니와 함께 지하철을 탔을 때, 저자가 아이들에게 "얄y'all"이라는 표현을(너희들이라는 뜻) 쓴다. 친구 어머니는 이에 놀라며 "그런 단어를 쓰면 안 돼. 그건 잘못된 영어야!"라고 말한다. 이 순간, 저자가 뭐라고 생각했는지 아는가?
"나는 이런 순간을 위해서 사는 것 같다."(31쪽)
ㅋㅋㅋㅋ 그리고 이어지는 얄의 사용이유에 대한 해박한 설명!!
1장에서는 주로 욕설에 사용되는 단어들을 분석한다.
영어에서 여성-생애주기 어디쯤에 놓여 있든 상관없다-을 묘사하는 거의 모든 단어는 어느 정도 음란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슐츠가 썼듯이, "언어의 역사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 현상은 소녀나 여성을 묘사하는 단어가 처음에는 중립적이거나 심지어는 긍정적인 함의를 가지고 있다가도, 점진적으로 부정적인 함의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 함의는 처음에는 약간 헐뜯는 정도에 지나지 않지만,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악의적으로, 결국에는 성적인 모욕으로 변한다." - 39쪽
그 예로 '서sir'와 '마담madam', '마스터master'와 '미스트러스mistress', '버디buddy'와 '시시sissy'를 비교하며, '허시hussy', '타트tart'라는 단어가 처음에는 여성을 의미하는 무해한 단어였다가 어떻게 점점 모욕적인 언어, 특히 성판매자를 의미하는 단어로 격하되는지를 설명한다. '비치bitch'와 '컨트cunt'도 마찬가지.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직접 읽어보시길!!
이는 모든 단어에 정치적 올바름이라는 이유로 혹은 사람을 공격할 수 있다는 두려움에 사용 중지를 선언하는 문제가 아니다. 사실은 그 반대다. 이는 규칙에 대한 저항이다. '슬럿' 혹은 '푸시'와 같은 단어를 악의적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거절함으로써, 우리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남성우월주의를 위해 만들어진 불균형한 기준을 거부하는 셈이다. 이는 여성의 성적 독립을 비난하는 데 대한 저항이며 남성이 남성우월주의적으로 행동하는 데 대한 거부이다. 충분한 사람들이 저항한다면 모두가 이기는 셈이다. - 65, 66쪽
어젯밤, 자려고 누워서 아이들이랑 <바리데기> 이야기를 듣는데, 여성이 주인공이 되기 위해서는 예쁘고 착해야 할 뿐 아니라 뭔가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갖은 고생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리데기, 바리공주는 어릴 적 옥함에 담겨 버려졌다가 후에 왕과 왕비를 만나는데, 왕과 왕비가 쓰러지는 바람에 이들을 구하고자 저승의 생명수를 얻으러 간다. 가는 길에도 많이 고생하는데, 가서도 9년 동안 3년은 나무를 하고 3년은 불을 때고.. 그런 고난 끝에 생명수를 얻어 온다.
자신에 대한 기억을 잃은 남편을 다시 얻기 위해 세 가지 시험을 거쳐야만 했던 <구렁덩덩 새선비>의 신부, 백조로 변한 오빠들을 구하기 위해 말한마디 못하고 마녀라는 오해를 받아가며 옷을 지어내야 했던 <백조왕자>의 공주도 있다. 그러고보니 이들은 그렇게 고생해놓고 제목에 이름도 못올렸네.. 아버지 눈 뜨게 하기 위해 바다에서 몸을 던져야 했던 <심청이>나, 계모의 구박을 받으며 온갖 고생을 하는 <콩쥐팥쥐>도 있다.
반면 남성 주인공은 잘생길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착하고 똑똑하고 용감할 필요도 없다. 그중에 뭐 하나만 있으면 된다. 주로 착하기만 하면 된다.
가진 것 하나 없이 좁쌀 하나만 가지고 한양으로 떠나도 결국 좁쌀이 황소가 되고 아내까지 얻는 남자(<좁쌀 한 알로 행복해진 총각>), 멍청하고 순진하고 하나도 가진 게 없는데 공주와 결혼하게 되는 남자(<세상에 둘도 없는 바보와 하늘을 나는 배>), 고양이 한마리 돌봐줬다고 공주와 결혼하게 되는 남자(<장화신은 고양이>), 심지어 온몸이 반쪽밖에 없어도 보쌈해 온 양갓집 규수의 사랑을 얻을 수 있다(<반쪽이>).
<다락방의 미친 여자> 1장에서 다룬 백설공주 이야기가 참 재미있었는데, 집에 있는 요 책, <사실은 잔인하고 불친절한 세계의 요정들>을 조만간 훑어봐야겠다. 제목은 이렇지만,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서양)설화 모음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