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멍에 빠진 아이>를 리뷰해주세요.
-
-
구멍에 빠진 아이 ㅣ 상상도서관 (다림)
조르디 시에라 이 화브라 지음, 리키 블랑코 그림, 김정하 옮김 / 다림 / 2009년 2월
평점 :
신기하다
내가 내 맘의 갈등을 모르고 방항하고 있을때 그 실마리를 찾을 책이 나도 모르게 찾아온다. 이책이 가장 절실하게 그렇다.
어느 날 갑자기 길의 구멍에 빠진다는 설정부터 신기하고 재미나고 기발한 이야기는 술술 읽혀내려가다가 멈추게 된다. 멈추게 된 이야는 재미가 없다거나 그냥 그런 이야기여서가 아니라 수첩에 옮겨 쓰고 싶어서다.
이 책을 읽는데는 채 두시간이 걸리지 않았지만 옮겨적고 다시 읽어보느라 배의 시간이 걸렸다.
어느 날 갑자기 구멍에 빠진 아이는 처음에는 사태의 심각성을 모르고 곧 나올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들. 그중 한사람 어찌 도와 주지 않겠는가
노인도 예쁜 아이를 데리고 가는 여자들도 여행자도 심지어 경찰도 기자도 심지어 시장까지. 아무도 도와주지 않았고 아이와 대화가 통화지도 않았다. 이것만 보면 사회 풍자책같기도 하지만 어찌보면 이해가 되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을 아이들이 일찍 안다면 어쩌면 슬플 것같기도 하다. 대화가 통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은 가능하면 늦게 아는 게 살아가는 데 희망적일 것같다는 게 내 생각이다. 아직까지도 난 믿고 싶지 않은 사실이니.
아이를 도와준 것은 서로 말을 알아듣게된 라피도라는 떠돌이 개와 아무 것도 가진 게 없는 거지였다. 떠돌이개 라피도는 구멍에 빠진 마르크에게 햄버거를 물어다 주며 아이의 배고픔을 해결해준다. 라피도와의 대화에게 특히 건질 게 많아 나는 수첩에 옮겨적으며 몇번을 곱씹었다. 마치 어린왕자를 다시 만난 느낌. 여우와 어린 왕자가 삶과 인간과의 관계를 선문답처럼 제시해 주어 두고두고 떠오른 명제가 되었다면 라피도와 아이의 대화 속의 말 들은 고개를 끄덕이면서 나를 다잡게 해준다.
아이가 구멍에 빠진 것을 처음 인정해주고 도와주려고도 하고 해결책을 이야기해준 이는 거지. 그는 구멍에 빠진 경험이 있는 사람이고 구해줄 사람은 구멍에 빠진 아이 스스로라고 이야기해준다.
구멍에서 나올 수있는 사람. 도울 수 있는 사람은 나 자신이라.
아 이 얼마나 어렵고도 쉬워보이는 문제 해결이란 말인가
나는 내 구멍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나 역시 이젠 빠져 나올 수없으리라 생각하고 있었다. 아무하고도 대화가 통하지 않고 아무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도 없어 차포자기 하는 내가 빠진 구멍.
누가 도와줄 수 있으랴.
결과부터 말하면 아이는 구멍에서 빠져나온다.
그것은 어느 누구의 도움이 아니라 스스로의 힘과 스스로의 마음에서였다.
문제는 항상 나 자신이다.
남을 탓할 것이 아니라 내 자신을 명료하게 관찰하고 내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이 책을 덮은 뒤 나는 가만히 생각해 보았따
내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내가 빠진 구멍에 대해 좀더 신중하게 생각해 보기로 했다
나는 마르크보다 현명하지 못해 오래 구멍에 빠져있다
어쩌면 구멍은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내맘이 갇혀 있는 이상 나는 탈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오랜 만에 상투적이지 않은 철학 동화 한편을 읽었고 나는 나 자신을 찬찬히 돌아보게 되었다.
이 책은 내게 라피도가 되어 주었고 거지가 되어 주었다
이 책을 읽게 된 것은 행운과도 같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이 책은 읽을 수록 곱씹게 되고 밑줄 긋고 적어놓고 픈 구절이 많다. 마음의 치료와 갈길을 알려주는 책이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영모가 사라졌다(완전 맞는 책이라 할 수는 없지만 자꾸 생각이 났다. )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이 책은 아동보다는 중고등학생과 이이삼십대 모두 읽어볼 책이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138p
지금 네게 필요한 것은 사람ㄷ즐의 도움이 아니라 바로 너 자신을 이기는 거야.
141p
이 세상에 가장 좋은 사람은 가진 게 없어도 나눌 줄 아는 사람이야.
169p
울지 않을 거야. 화도 내지 않을 거야. 더 이상 내가 불행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을 거야.
달아나지 않을 거야. 굴복하지 않을 거야. 입 다물고 있지 않을 거라니까.
나에게도 권리가 있어. 나는 살아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