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이 모든 전쟁의 승자는 장개석이었으며, 패자는 반장(反蔣)연맹군이었다. 다만 기회 포착에 능숙한 염석산의 진수군만이 크게 타격을 입지 않았다. 그렇지만 염석산 역시 언젠가는 장개석의 공격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에 전전긍긍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쭤린의 죽음은 당시 관동군 고급 참모였던 고모토 다이사쿠 대좌(대령)가 주도한 일이다. 그는 장쭤린을 제거하고 장쉐량을 내세워 만주를 장악하려 했다. 열차를 폭파한 것은 조선 경성에 주둔한 제20연대 소속 일부 장교와 공병들이었다.

갈등의 직접적인 원인은 철도였다. 만주에서 철도는 크게 남만주의 남만주철도와 북만주의 중둥철도 그리고 베이징과 펑톈을 연결하는 징펑철도로 나뉘었다. 그중에서 남만주철도와 중둥철도는 각각 일본과 소련 수중에 있었다. 청나라 말기 영국에서 차관을 빌려 1912년에 개통한 847킬로미터의 징펑철도만이 중국의 국유 철도였다. 일본은 남만주철도를 조선과 연결하는 한편 꾸준히 지선을 부설하여 만주 구석구석까지 영향력을 확대해나갔다.
동3성은 중국에서도 가장 철도가 조밀하고 근대화의 속도 또한 빨랐다. 그러나 장쭤린 처지에서 반드시 반길 일만은 아니었다. 만철 세력이 확대될수록 자신에 대한 통제 또한 강화된다는 의미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쇼와 육군을 검증할 때는 장쭤린 폭살 사건을 다각적으로 주시해야 한다. 그래야 이 무렵 중견 막료들이 육군 내부를 어떤 식으로 농단했는지, 그리고 그들이 장쭤린이나 장쉐량張學良과 같은 중국 군벌에 대해 얼마나 모멸적인 태도를 취했는지 등이 명확해진다. 게다가 이 사건에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보인 억지스러운 태도,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이 정당화된다는 착오 등 훗날 쇼와 육군이 저지르는 잘못이 응축되어 있었다.

장쭤린 폭살 사건을 쇼와 육군이 범한 오류의 제1막이라 한다면 만주사변은 제2막이었다. 만주사변에서는 제1막에 포함되어 있던 ‘실패의 교훈’이 교묘하게 되살아난다.

대중국 정책을 그르친 쇼와 육군은 결국 해체의 길로 들어섰다. 쇼와 육군의 군인들은 20세기 초 중국이 처한 역사적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채 줄곧 억압자가 되었다. 이제 그것을 검증해야 할 차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로운 군대가 깊이 들어가니 사람들은 모두 죽기에 이를 것이니 싸우게 되면 스스로 배(倍)의 힘을 내었다. 무릇 멀리 보는 사람은 가까운 것을 돌아보지 않고, 큰 것을 생각하는 사람은 상세하게 보지 않는 것이니, 만약에 조금 이긴 것을 자랑하고 조금 실패한 것을 걱정하게 되면 먼저 스스로를 묶는 것이니, 어느 겨를에 공을 세우겠는가?" 무리들이 모두 복종하였다.

이소는 자기를 받드는 일에서는 검소하였고, 병사들을 대우하는 데서는 풍성하게 하였고, 현명한 사람을 알아서 의심하지 않았고, 할 수 있는 것을 보면 단안(斷案)을 내릴 수 있었으니, 이것이 그가 성공한 이유였다.

애초에, 발해왕(渤海王) 대언의(大言義)가 죽자 동생 간왕(簡王) 대명충(大明忠)이 섰고 기원(紀元)을 고쳐서 태시(太始)라고 하였는데, 1년 만에 죽자 숙부 대인수(大仁秀)가 서고 연호를 고쳐서 건흥(建興)이라고 하였다. 을사일에 사신을 파견하여 와서 상사(喪事)를 알렸다.

배도가 대답하였다. "바야흐로 종류별로 모이는 것인데, 사물은 무리로써 나누어지는 것이며 군자와 소인 가운데 뜻과 향하는 것이 같은 사람은 형세로 보아 반드시 서로 모이는 것입니다. 군자가 무리를 이루면 이를 동덕(同德)이라고 하고, 소인들이 무리를 이루면 붕당(朋黨)이라고 합니다. 밖으로는 비록 비슷한 것 같으나 안으로는 실제로 현격하게 다르니, 성스러운 주군의 자리에 있으면서 그들이 하는 일의 옳고 그름을 구별할 뿐입니다."

전국(戰國)시대부터 노·장(老·莊)은 유자(儒者)와 다투어 비교하면서 서로 옳고 그르다고 하였다. 한의 말기에 이에 불교가 덧붙여졌는데, 그러나 좋아하는 사람은 오히려 적었다. 진·송(晉·宋) 이래로 날로 번창하여 제왕에서 사민에 이르기까지 높이고 믿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아랫사람은 죄짓는 것과 복 받는다는 것을 사모하고, 높은 사람은 ‘공(空)’과 ‘유(有)’를 가지고 논란(論難)하였다.

다만 한유는 그것이 재물을 좀먹고 무리들을 현혹시키는 것을 싫어하여 힘써 이를 배척하였고, 그 말은 대부분 격렬하게 만들어졌고 너무 지나쳤다.

오직 ‘송문창사서(送文暢師序)’만이 그 요점을 가장 잘 드러냈다. "무릇 새란 머리 숙여 쪼아 먹고 우러러 사방을 돌아보며, 짐승은 깊은 곳에 살면서 가끔 나오는 것은 다른 물건이 자기에게 해가 될 것을 두려워 하지만 오히려 면치 못한다. 약한 것의 고기는 강한 것의 먹이이다. 지금 나는 문창(文暢)과 편안하게 살며 한가하게 먹으며 넉넉하게 놀면서 살고 죽는 것이지만 금수(禽獸)와 다른 것인데 정녕 그것이 나온 곳을 알지 못하겠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릇 나무의 성질은 그 뿌리는 펴고 싶어 하고, 그 흙은 옛 것이고 싶어 하니, 이미 그것을 심고 나면 움직이지 말고 생각하지 말고, 떠나서는 다시 돌아보지 않습니다. 그것이 심겨질 적에는 아들같이 대해야 하고, 그것이 배치될 적에는 버리는 것처럼 한다면, 그것이 하늘에서 받은 것을 온전하게 하여 본성을 얻게 됩니다. 다른 심는 사람은 그렇지 아니하니, 뿌리에는 힘을 주고 흙은 바꾸며 그것을 아껴서 크게 은혜를 베풀고, 이를 걱정하여 대단히 부지런히 하며, 아침에 보고 저녁에 어루만지며 이미 떠났다가 다시 돌아다보는데, 심한 사람은 그 껍질을 손톱으로 긁어서 그것이 살았는지 말라 버렸는지를 시험하며, 그 뿌리를 흔들어서 그것이 성긴지 빽빽한지를 보게 되니 나무의 본성은 날로 이탈됩니다. 비록 그것을 아낀다고 말하지만 그 실제는 그것을 해치는 것이고, 비록 그것을 걱정한다고 하지만 그 실제는 그것을 원수로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나와 같지 않게 되었습니다.

폐하께서는 어찌 작은 비용을 아끼시어 큰 계책을 놓치고 한 번 인심을 거두어들이지 않으시려 하십니까?
전(錢)이란 다 쓰면 다시 돌아오게 되어 있지만 기회와 일이란 한 번 잃으면 다시 뒤좇아 갈 수가 없습니다. 설사 국가에서 15만의 군사를 동원하여 여섯 주를 빼앗는데 1년이 걸려서 이를 이긴다고 한다면 그 비용이 어찌 50만 민(緡)일 뿐이겠습니까?"

11월 신유일(6일)에 지제고(知制誥) 배도(裴度)를 파견하여 위박에 가서 위로의 말을 널리 전하게 하고 전 150만 민을 군사들에게 상으로 주었으며, 여섯 주의 백성들에게는 1년간의 부역을 면제해 주었다. 군사들은 사여한 것을 받고 즐거워하는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 성덕(成德, 치소는 항주)과 연운(??)의 사자(使者)들 가운데 몇 사람이 이것을 보고 서로 돌아보면서 얼굴색이 변하며 탄식하여 말하였다. "고집부리고 강한 것이 과연 무슨 이익이 있는가?"

여원응이 말씀을 올렸다. "근래에 번진이 발호(跋扈)하여 신하 노릇을 하지 않으나 받아들여 용서할 만한 사람도 있습니다. 이사도가 도성을 도륙하고 궁궐에 불을 지르려고 꾀한 것에 이르러서는 패역(悖逆)한 것이 아주 심하니 죽이지 않으면 안 됩니다." 황상이 그러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러나 바야흐로 오원제를 토벌하고 왕승종을 끊어버렸으니 그러므로 이사도를 처리할 여가가 없었다.

만약에 친척과 친구라는 혐의(嫌疑)를 피하려 한다면 성스러운 조정에서는 많은 인사를 가지고 있는 아름다움을 이지러트릴 것이고, 이것은 바로 구차하게 편안하고자 하는 신하이지 지극히 공정한 길이 아닙니다. 진실로 채용한 사람이 그에 걸 맞는 사람이 아니라면 조정에서는 스스로 전형(典刑)을 가지고 있으니 누가 감히 여기에서 도망하겠습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