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400. 깡디드 (볼테르)

볼테르의 신랄한 풍자를 신밧드의 모험 읽듯이 따라갔다. 죽었나 했던 인물들이 툭툭 부활해 튀어나오고 유럽을 거쳐 남미대륙, 엘도라도, 다시 서남아시아를 거쳐 유럽과 터키를 훑는 여정은 별로 놀랄 일도 없지만 뀌네공드의 오빠 남작의 고집은 참 한결같다. 막판에 깡디드도 할 말 뱉어내 주어 체증은 조금 가셨다. 하지만 이 세상, 최선이라 맹목적으로 믿건 말건, 밭을 갈아야 한다, 로 단순하게 결론 내기에는 더 복잡한 곳이 아닌가. 금수저로 태어나 세상의 바닥을 친 두 여인들을 생각해도 그렇고, 그 여인들 주변에서 주머니의 다이아만 짤랑 거리는 깡디드가 툭하면 꺼내드는 최선 타령은 지겹다. 이 소설을 문학의 범주에 놓아서 많은 사람들이 각잡고 읽어야 하는걸까. "그녀의 딸 뀌네공드는 나이 열일곱에, 혈색이 좋은데다 싱싱하고 통통하며 먹음직스러웠다. (128)" 라고 적으며 소설을 시작하고, 노동찬양으로 마무리 지은 볼테르는 영 내 마음에 들지 않는다.

 

모든 지방에서의 첫 번째 관심사는 사랑이고, 두 번째 관심사는 험담하는 것이며, 세 번째 관심사는 멍청한 말 하는 것입니다. (242)

 

 

"악이 있건 선이 있건, 그것이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지존께서 배 한 척을 이집트로 보내시며, 배 안에 있는 생쥐들이 편안할지 혹은 불편할지를 생각하며 난감해하시는가?"

"그러면 어찌해야 합니까?" 판글로스가 다시 여쭈었다.

"주둥이 닥치는 길뿐일세." 탁발승의 대꾸였다. (3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