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400. 남아 있는 나날 (가즈오 이시구로)

 

처음부터 장애물이 있던 책이다. 저자가 일본인이라니, 그런데 영국의 전통 있는 가문의 집사가 화자라니. '섬긴다'라는 말과 '주인님'이라는 말이 자꾸 걸려서 이야기 속으로 빨리 들어설 수가 없었다. 일본 출생의 영국 작가의 눈으로 제2차 대전중 벌어진 영국귀족의 집사 이야기를, 그 집사의 프로페셔널한 눈으로 돌이켜본 인생과 역사를 나는 어떤 눈으로 읽어야하나, 감이 잡히지 않았다. 아주 천천히 화자의 얼굴이 영국인, 그것도 '품위'있는 신사들의 신사라고 자부하는 깨끗한 오십대 남자의 얼굴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 사람이 허당이다.

 

다른 이들이 다들 보는 사실을 이 사람만 못 보고 (혹은 못 본 체하고) 지나간다. 자신의 개인적 사무라고 미뤄두었던 아버지의 임종, 사랑스런 여인의 구애와 이별도 지나고 나서야, 아, 그때 내 가슴 속엔 어떤 감정이 있었던가 곰곰 생각해볼 뿐이다. 자신이 모시는 주인이 세계사의 축에 근접했었기에 자신도 벅찬 긍지를 느꼈다고 결론낸다. 하지만 그 역사의 축이 얼마나 잘못 돌아갔는지, 지금도 그는 인정하기 힘들다. 

 

이 답답하고 어이없지만, 겉모습만은 완벽한 귀족인 아저씨는 지난날을 돌아보며 처음 휴가에 나섰다. 주인을 위해선 아주 작은 불편함을 느낄 가능성도 이삼중으로 계산해서 발을 놀리는 사람이, 자신을 위해선 외출복도 장만하지 못했고, 자동차의 냉각수나 연료도 미리 챙기질 못한다. 그리고 남들에게서 받는 환대에 어쩔줄 몰라한다. 모른다. 이 남자의 동사는 바로 '모른다'로 입을 닫는 것일까. 책임을 지지 않는다. 어쩌면 '나는 없다'.

 

그러다 이 남자도 깨닫고, 알게되고, 가슴이 찢어지는 경험을 한다. 그는 자신이 실수했다, 고 후회의 말을 할 수도 없다. 그는 그저 충직한 하인으로 믿고 따랐을 뿐. 이제 그는 바쁜 일로 서둘러 자리를 뜨는 대신, 바로 서서 그 여인의 눈에 맺힌 눈물을 본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그가 울고 있지 않았을까). 하루 중 제일 좋은 저녁때, 전등이 들어오는 해변에서 하루쯤 더 머물까, 생각하는 이 허당, 혹은 허깨비 남자는 이제라도 '알게' 될까. 자신의 이름이 스티븐스 말고 그 앞에 퍼스트 네임도 있다는 걸. 격조있는 농담이 실은 아주 썰렁해서 웃기는 하지만 아주 재미있지는 않다는 걸. 그런데 묘하게 재미있는 이 소설이 그를 참 쓸쓸하게 그리고 있다는 걸.

 


댓글(6)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5-04-07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리가 늘 잘 되어 있는 유부만두님의 리뷰!!

유부만두 2015-04-07 18:52   좋아요 0 | URL
늘 칭찬해주시는 아롬님!!

라로 2015-04-07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위에 글에는 댓글을 못 달아요????? 댓글 허용하지 않는다고???ㅠㅠ

유부만두 2015-04-07 18:53   좋아요 0 | URL
아, 그런가요? ... 지금 고쳤으니 댓글 달아주셔요? ^^

북극곰 2015-07-01 0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엄청 좋아하는 책! 젊은 애들 연애이야기도 간질간질 달달해서 좋지만, 중년을 넘긴 이 사람의 연애는 그와는 비교할 수 없게 아주 가슴이 아리더라구요. ^^

유부만두 2015-07-04 15:38   좋아요 0 | URL
아, 북극곰 님께서도 이 책을 좋아하셨군요! 맞아요, 스티븐스 씨의 연애는 너무 쓸쓸해서 가슴이 아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