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400. 제라늄 (플래너리 오코너)
<풍성한 스포일러를 마련했습니다>
좋은 사람은 찾기 힘들다, 고 단정했던 작가. 사람 목숨은 질기기도 하지만 농담이나 거짓말처럼 사라지기도 하는 걸 보여준 작가. 설마, 그래도, 차마...는 없는 작가 오코너의 단편집을 읽기 시작했다. 지난 충격에서 배운 것이 있어서 마음을 단단히 먹고 문장을 읽어 내려갔다. (아, 나는 왜 오에 겐자부로의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오코너를 만났을까. 어깨와 양 손에 긴장으로 힘이 들어갔다) 도시의 아파트 6층에 사는 딸네 집으로 이사온 시골 할아버지. 딸은 멀리 시골에 혼자 사는 부모님을 몰라라 할 수가 없는 자식된 도리로 아버지를 모셔왔다. 건너편 건물의 창가에 매일 오전마다 내놓는 제라늄 화분을 보는 낙으로, 그 제라늄에서 영감은 고향 마을의 친구들, 자신의 친구겸 종처럼 부리던 흑인 청년과 동네 할머니들을 떠올린다. (흑인의 등장만 제하면 우리나라 소설이라고 봐도 될 만큼 익숙한 설정이다. 하지만 이 익숙한 설정 속에서 허둥대는 더들리 노인의 심정을 따라가는 오코너는 절대로 익숙한 문장을 내놓지 않는다.) 도시는 노인에겐 너무 복잡하고 좁고 낯설다. 게다가 옆집에는 (지하실이 아니라) 바로 벽 하나를 사이에 두고 흑인이, 좋은 옷을 입고, 잘 손질된 깨끗한 손톱을 가진 흑인이 산다. 심지어 이 흑인은 백인 노인의 등을 두드리며 '어르신'이라 부르기 까지 한다. (영어로는 덜 공손한 표현이었으리라) 모든 게 무섭고 충격인 이 백인 더들리 노인에게 층계를 내려갔다 다시 올라오는 길은 사냥철의 산등성이를 오르는 것보다 버겁다. 아, 그리고 무슨 계시처럼 건너편 창가의 제라늄 화분은 저 바닥으로 떨어져 뿌리를 하늘로 쳐들고 깨져버렸다. (여기서 더들리 노인이 추락하고 말 것만 같아서, 큰 숨을 한 번 몰아쉰다. 아니면 그 이웃이 범죄를 저지르던가, 흑인이 실은 살인자일 수 도 .... 이런 최악을 준비하면서 책을 읽게 만든 건 오코너, 당신이에요) 다른 공간, 다른 시절 속, 화분에 옮겨 심은 제라늄 같은 더들리 노인은 잘 살아낼까. 아니면 매정한 이웃의 화분 처럼 깨져버릴까.
한번은 딸이 영감을 데리고 장을 보러 갔는데 그가 너무 느렸다. 그들은 '지하철', 그러니까 동굴 같은 땅속을 달리는 철도를 탔다. 사람들은 열차 밖으로 흘러넘쳐서 계단을 오르고 길거리로 나갔다. 또 길거리에서 계단을 내려가 열차를 탔다. 흑인, 백인, 황인이 수프 속 채소처럼 뒤섞여 있었다. 모든 것이 부글부글 끓었다. 열차들은 터널을 나와 운하를 달린 뒤 갑자기 멈춰 섰다. 사람들은 타는 사람들을 밀치며 내렸고, 시끄러운 소리가 울리자 기차는 다시 떠났다. 더들리 영감과 딸은 그런 열차를 세 번이나 타고서야 목적지에 도착했다. 그는 사람들이 왜 집 밖으로 나오는지 이해가 되지 않았다. 혀가 위장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간 것 같았다. 딸은 영감의 소매를 잡고 사람들 틈을 지나갔다. (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