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400. 차별 받은 식탁 (우에하라 요시히로)

 

저자는 어릴적부터 소창자를 튀긴 요리인 아부라카스를 즐겨먹었다고 했다. 그 음식은 특정 지역, 일본에서는 오랫동안 천대받던 '부락'에서만 먹었던 음식이다. 다른 동네 아이들은 그 아부라카스를 몰랐다는 게 어린 시절 저자에게 꽤나 충격이었다고 했다. 과거 육식을 하지 않던 일본에서 도축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좋은 대접을 받을 수 없었다. 간간이 '조선인들과 함께' 먹었다는 소내장 요리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시절 일본에서 조선인들 만큼이나 차별당한 사람들의 음식이었다.

 

이 책은 천대당하는 사람들의 천대 받는 음식 이야기다. 미국 남부의 흑인들, 브라질로 몇백년전 끌려온 아프리카 흑인들 중 해안가 밀림으로 도망가 마을을 이룬 사람들, 불가리아와 이라크 지역의 집시, 그리고 금단의 소고기를 먹는 네팔의 불가촉 천민에 이르기까지. 이 책은 이런 특별한 사람들의 특별한 음식들을 소개한다. 그들은 먹을 게 없어서 특정한 음식을, 흙내 나는 갯가재를 이것저것 섞어서, 주인들은 종교상의 이유로, 내키지 않아서 먹지 않는 것들을 먹었다.

 

책에 실린 음식 사진들은 너무 어두워서 제대로 음식이나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 하지만 저자의 '부락민의식"이랄까, 강한 자존심은 세계 어디에서도, 어느 누구와 함께라도, 떳떳하게 드러났다. 책의 맺음말 부분에서 다시 한 번, 자신이 제일 좋아하는 음식 '아부라카스'와 정육 공장을 운영했던 아버지에 대한 추억을 더듬으며 말한다. 그게 자신의 음식이었고, 그게 바로 자신이었노라, 라고. 하지만 세계 곳곳에서 오늘도 카스트의 제일 아래 층에서는 가난하고, 질기고, 역한 냄새가 나는 음식들을 먹는 이들이 있다. 그들의 내일이 어제보다 더 위태롭기 때문에, 저자의 자부심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어둡다. 이 책에 실린 뭉개진 사진만큼이나.

 

당시 우리와 대립했던 KKK 멤버나 백인들을 지금도 거리에서 마주치고 있어요. 모두 침묵을 지키고는 있지만, 상황은 그다지 변하지 않았지요. KKK의 창설자 중 한 명이었던 포레스트 장군의 동상이 그 증거입니다. 셀마에 흑인 시장이 나오자, 백인들은 이에 대항해서 마을 공동묘지에 그의 동상을 세웠지요. (3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