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지프 앤턴 - 살만 루슈디 자서전
살만 루슈디 지음, 김진준.김한영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2월
평점 :
82/400. 조지프 앤턴 (살만 루슈디)
아, 이 잘난척 대마왕 아저씨를 어쩔까나! 작가는 자신의 매력을 발산하지 못해 안달이어서 독자는 당황스럽지만, 진짜, 그의 소설은 대단하다. <한밤의 아이들>은 묘한 돌림노래 같은 매력으로 끝까지 이야기 속에 독자를 가둬놓았고, 주문에 걸린 독자는 (네, 저요) 이 회고록을 읽으면서 만나게 된 그의 다른 소설들도 검색해서 주문을 하게된다;;;; 그래, 난 고집불통 루슈디를 좋아하는게 아니야, 그의 재능을 그의 말솜씨, 구라-어빌리티를 아낄뿐이야.
루슈디는 여성편력도 대단한데, 팔등신 미녀의 허리를 껴안은 오등신 바디가 그가 가진 전부가 아니다. 더 화려한 재산은 그의 친구, 동시대의 작가들이다! 그는 심지어 주제 사라마구와 산책을 했고, 에코(움베르토!!)와 친구 사이인데다, 폴 오스터랑은 가족끼리 식사를 (어흑) 하는 사이다. 이언 메큐언은 그가 부르면 바로 달려온다. 부러움을 안고 읽다보면 루슈디가 싫어하는 작가들 뒷얘기를 재미있게 만날 수 있다.
루슈디의 악명높은 소설,< 악마의 시>는 작가에게 파트와, 사형선고를 내렸고, 이를 둘러싼 이십여년의 도피/경호/은둔 생활이 빌 브라이슨 보다 더 까탈스런 화자를 통해 장장 몇 백 페이지에 걸쳐 조목조목 (따지듯) 그려진다. 인도출신의 영국 작가가 이슬람 국가의 편협한 사고방식과 폭력에 대항해 싸우는 건, 표현의 자유, 양심의 자유를 위해서다. 그의 소설이 이슬람을 얼마나 모독시켰을지 몰라도, 그 이유로 루슈디의 작품을 번역한 역자가 피격 당하고, 심지어 살해당했다. 그런데, 그 끔직한 폭력에 가담한 이들은 루슈디의 작품에대해 알기는 커녕 읽지도 않았다니. 하지만 911 이후 미국이 보여준 ˝평화적˝ 폭력도 너무나 끔찍해서 루슈디의 몇백쪽 회고록이 해피엔딩이 아니라 더한 증오의 시대에서 끝맺는 것처럼 읽힌다.
루슈디는 자신의 인생사를 풀어놓을 때 히치콕의 영화 <새>의 음산한 오프닝을 언급하면서 그 검은새의 날개짓이 어떤 의미인지 독자가 (네, 저요) 곱씹게 만들었다. 얼마전 일어난 샤를리 엡도의 테러 사건을 보자니, 아직도 상황은 그닥 다르지 않다. 이 책이 그저, 서구 영어권 만세, 로 읽히는 일은 없어야 할텐데. 그누가 뭐래든 루슈디 양반은 눈 하나 깜짝 안 하겠지만.
욕하면서 사랑하게되는, 추하지만 매력 쩌는 그.
첨엔 반복되는 ˝그˝ 3인칭이 누구야, 하면서 읽었는데. 하, 이 작가님, 글 진짜 잘 쓰심. 남을 비난할 때도 얄짤없지만 자기자신의 잘못을 적는 데도 살벌하심. 회고록이라면 이정도 끕, 이 되어야한다고 봄.
접힌 부분 펼치기 ▼

그 유명한 배우 파드마 라크시미와 함께.
(당연히, 이 둘의 시작은 불륜...)
펼친 부분 접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