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녀가 알던 나치가 모두 잡혀간 것도 아니고,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인들이 오스트리아에서 환영받은 것도 아니었다. 3년전까지만 해도 나치 이데올로기로 학생들을 교화시키던 선생들이 이제 얼굴 한 번 붉히지 않고 민주주의의 축복에 대해 찬양했고, 매일같이 오스트리아를 해방시켜준 미국에 진정 어린 감사를 돌렸다. (23)

 

 

뇌스틀링거는 탐욕스럽게, 하지만 선택의 여지 없이 생필품 창고를 털었던 일과 아이들에 대해 이야기했다. 아이들은 미군들이 묵는 학교 앞에서 "츄잉껌 플리즈, 츄잉껌"하고 고래고래 소리를 질렀다. 가끔씩 미군들은 아이들 속으로 껌을 딱 한 개 던졌는데, 그러면 아이들은 그 껌을 주우려고 몰려들었다. (25)

 

 

이번에는 남성을 위한 소박한 요리 모음집으로 <개 한 마리가 부엌에 왔다>라는 책이다. (45)

 

 

 

이웃한 헌책방에서 2.5실링을 내고 책을 한 권 샀다. 600쪽 짜리 책에서 200쪽이 떨어져 나갔기 때문에 그렇게 싼 거였다. <백작부인 빌레스코프스카의 일기>라는 책으로, 어린 시절의 두 해나 붙잡고 살았다. 그 이유는 먼저 이 책은 옛 활자로 쓰여 있어서 어린 그녀로서는 전부 다 알아볼 수 없기 때문이었다. 다음은 그 백작부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궁리하며 시간을 보냈기 때문이다. 백작부인이 수도원에서 난폭한 승려에게 폭행당할 위험에 빠졌는데, 바로 그 지점에서 책장이 떨어져 나갔기 때문이다. 거의 200쪽이나 떨어져 나간 다음에 백작부인은 어떤 파리 백작의 연인이 되어있었다. 어린 크리스티네 뇌스틀링거는 틈나는 대로 백작부인이 맞딱뜨렸을지도 모를 장면과 상황들을 상상해보았다. 이 책이 그녀를 사로잡은 것은 책 안에 들어 있는 내용이 아니었다. 오히려 떨어져 나가 사라진, 책에 들어있지 않은 것들이었다. (67-68)

 

 

어떤 아이가 학교 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면, 그애는 학교 부적응아가 등장하는 책을 보지 않아요. 마법사가 등장하는 책을 즐겨 읽지요. (70)

 

 

독서 능력 저하는 상상력의 부재에 있다고 생각해요. 읽은 단어가 정확하게 머릿속에서 연상되지 않는 거죠. 그림이 언어를 지배하는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그런 게 거의 확실해요. 여가 생활에 수많은 그림들을, 특히 움직이는 화면들을 받아들이는 일은 아주 편리한 오락의 한 방식이에요. 그리고 자주, 오랫동안 이러한 오락에 젖어들면 텍스트를 머릿속에서 '생생하게' 그려 내는 능력은 녹이 슬지요. (73-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