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전의 한국사 - 미래 100년을 위해 과거 100년을 질문한다
김남수 외 엮음, 진실과미래.국치100년사업공동추진위원회 기획, 이이화 감수 / 휴머니스트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경술국치 100년이라 부쩍 역사 특집 프로그램이 늘어났다. 우리 역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나는 마음이 조급해졌다. 그렇지 않아도 내가 즐기는 일본 문학과 드라마에 죄책감이 드는데다 큰아이가 내년에는 중학 국사를 배울텐데 엄마의 무지가 드러날까 조마조마 했기 때문이다.   

청소년 대상 역사책인데 조선의 개항 무렵부터 일제강점기, 그리고 광복 이후 남북 분단 까지 학생들이 던질법한 100개의 질문과 대답이 실려 있다. 내용이 어렵지 않아서 아이와 같이 읽을 수 있고, 질문을 따라 읽어도 연대별로 구성되어 있어서 일반 역사책과 큰 차이점은 없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읽기에 지루하다. 우리 나라의 비극적 역사에 이런 말을 하기에 죄스럽지만, 문장도 평이한데다 자주 되풀이 되고 무엇보다 "새로운" 역사적 시선과 해석이 없다. 내용에 더 신경을 쓰느라 도표와 사진은 넣지 않았다고 하는데 수치가 나오는 부분의 설명이 너무 간략하고 단발령이나 의복, 그리고 문화 주택 등 시각적인 정보를 줄 수 있는 사진이 많이 궁금했다. 많은 저자들이 '출판 지원 사업'으로 함께 협력한 책이라 각 단원마다 문장색이 달라지는 것도 그렇다. 어느 단원에선 감정적인 단어들이 넘치고, 다른 단원에선 반복 되는 문장들이 보인다. 오탈자가 적잖이 눈에 띄는 것도 안타까운 일이다.  거기에 더해서 1945년 광복을 "해방"으로 계속 쓰는 것이 - 물론 용어 선택의 이유를 '사회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서 였다고 하지만 이 책의 커다란 주제를 생각한다면 '광복'을 썼어야 하지 않을까 - 눈에 거슬린다. 계속 불평만 하는 것 같지만 1945년~1950년 역사를 너무 급하게 넘어가서 부족한 느낌도 들었다. 

우리의 100년전 역사, 특히 경술 국치를 겪은 시기의 앞 뒤를 살피고 미래를 준비한다는 의도는 높이 살만하다. 하지만 다른 한국의 근대사 책들과 차별화되지 않아서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