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과 내기한 선비 샘깊은 오늘고전 8
김이은 지음, 정정엽 그림, 김시습 원작 / 알마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용으로 쉽게 고쳐 쓴  김시습의 <이생규장전> 과 <만복사저포기> 다.  아들 녀석의 방학 숙제를 도울 목적으로 읽었지만, 아래 리뷰는 전적으로 어른 독자의 감상이다. 아이에겐 다른 말을 할 게 백프롭다. (아해야, 사랑이 아름답지 아니하더냐? 죽음도 이 세상의 규율도 다 뛰어 넘는단다. 또 김시습 이 양반이 이야기 속에서 뭘 말 하려는지 잘 생각해 보려므나. 시험에 많이 나온단다. 응?) 


장안에 이름난 엄친아 이생이 엄친딸 최씨댁 처녀와 연애를 한다. 버드나무가 늘어진 담장앞을 지나다 최씨 처녀의 독백시에 시로 답하고, 그 둘은 서로가 인연임을 알게 된다. 바로 그날 최씨 처녀는 이생을 자신의 방 옆 정자 아래로 불러 들이고, 그 아랫방, 또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는 작은 방에서, 사 계절을 그린 그림과 노래한 시를 읊으며 사랑을 불태운다. 공간도 시간도 필요없다, 모든 것은 이 두 연인을 위해서만 존재했다.  

하지만 부부로 맺어졌어도 전쟁이 나자 이생은 혼자 몸을 숨기고 부인은 능멸을 당할 위기에서 잔인한 죽음을 맞는다. 그후 지대한 사랑의 힘으로 그녀는 이생을 다시 만나 은둔 생활을 한다. 영원히 함께 할 수는 없어서 그녀는 떠나고, 이생도 시름시름 앓다가 떠난다, 는 이야기. 

이미 꽃이 흐드러지게 핀 담장 안의 최 씨 여인은 이승의 사람 같지 않은 분위기로 총명한 이생을 홀렸고, 자신이 고른 이와는 규범과 예절 따위는 따지지 않고 뜨거운 사랑을 나누었다. 만복사 저포기의 양씨와 연을 맺는 처녀도 마찬가지였다. 꽃이 흐드러지게 핀 만복사 뜰에서 외로움에 몸을 떨던 양씨는 짝을 만나길 바라고, "왠지 이상한" 처녀와 만나게 된다.  

자식 없이 죽은 부인의 혼령과 몇해를 은둔하다 죽은 이생, 외로운 혼령과 만나 사흘의 연을 맺은 양씨, 모두들 어렵게 글공부를 하던 선비들이었다. 슬쩍 고시촌 총각들 생각도 났는데, 그들이 기다리는 건 역시나 아름답고 재산과 지조를 겸비한 여인네였다. 귀신이거나 아니거나는 상관이 없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