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좌절하지 않고 타임머신을 만드는 방법 - 15세 과학소년들의 시간 여행 분투기
아닐리르 세르칸 지음, 유인경 옮김 / 윌북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실제 이 책을 지은 과학자 아닐리르 세르칸이 퇴학을 당한 경험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에필로그에는 슬쩍 사실이었노라고 써놓았고, 그는 현재 도쿄대학 교수로 있다. 저자 소개의 글에도 15살때 함께 공부했던 친구들과 타임머신 만들기에 도전했다고 되어있다. 저자의 인생과 이 책은 뗄수 없수 없고, 실제 그렇게 산 인물이 있는데 뭐라 트집을 잡기도 어렵지만, 책의 줄거리는 도대체 .... 받아들이기가 힘들다.
다른 과학책들 처럼 과학적 사실이나 이론들만 쉽게 풀어쓴 것이 아니라 "성장소설" 코드로 풀어내면서 인생에서 과학 보다, 과학을 향한 "청소년기의 열정"을 말하고 있다. 소설의 결말 부분에서 진정한 의미의 <타임머신>이 무엇인지를 말하는 부분은 감동 받을만 하다.
하지만
스위스의 기숙 학교에서 퇴학을 당한 열세 명의 여러 국적의 열 다섯 살 소년들이 터키계 독일의 한 가정집에 모여서 몇 달간 (그것도 우연히 아이디어가 떠오른 주제인) 타임머신을 연구하고, 우연히 여러 과학자들과 연구실이 협조를 한다? 아이들은 참을 수 없게 억압하는 학교에 반항하는 마음으로 같은 반 아이의 발에 불을 놓았다? 괴롭힘을 당한 아이는 자신이 변하지 않아서 외톨이가 되었다고 문제의 본질을 깨닫는다? 주인공 켄의 어머니는 자기집에 몰려든 열 셋의 남자아이들을 거둬 먹이고, 자신의 세 아들도 자상하게 키우고, 아, 참, 물리학자로서 활동하면서 요리를 잘 한다? 콜럼비아의 빈민가의 소년은 집안을 일으키키위해서 열심히 공부를 하고, 타임머신을 타는 소년은 멋지게 성조기가 그려진 헬멧을 쓴다?
이러니 책의 중반부 쯤부터 나오는 진짜 과학이야기, 아이들이 눈을 반짝이는 부분에 가기전에 내 입에서는 "허, 참," 소리가 절로 나온다.
저자인 교수님은 아직 마흔을 채우지 않은 소위 천재형으로 자유로운 영혼과 빛나는 두뇌, 그리고 뜨거운 열정을 가졌다. 그것만은 알겠다. 하지만 성장소설은 교수님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장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책을 즐기지 않는 큰 아이가 이 책은 열심히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