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책읽기, 다독술이 답이다
마쓰오카 세이고 지음, 김경균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는 저자 (정확하게는 대담의 형식을 빌어서)의 자리에서 독자를 만나지만 마쓰오카 세이고는 독자의 입장을 고수하면서 이야기 한다. 그에게 붙은 '독서의 신'이라는 호칭은 절대 과장이 아니다. 그는 '천일천책' 프로젝트를 세워서 이미 목표를 초과 달성했고 그가 읽어내온 다방면의 책들은 일곱 권의 전집으로 출판되었다.

 우리는 모르기 때문에 책을 읽고, 그 안에서, 또 읽는 과정 중에 즐거움을 찾는다. 저자가 주는 내용을 독자의 취향과 입장에 따라서 재구성 하면서 (편집하면서) 읽는 능동적, 그리고 책제목이 말하는 대로 '창조적'인 독서 태도가 중요하단다. 절대 중심내용이나 형식에 얽매이지 말고, 음식이나 옷을 대하면서 자기 취향에 맞도록 선택한 것처럼 자유롭게 즐겨야 한다는 것.   

특정한 분야나 장르의 책을 대할 때 갖는 그의 습관들은, 어째 낯설지 않았다. 나는 미야베 미유키는 꼭 맥주를 마시면서 읽고, 하루키는 홍차를 마시면서 읽는다. 이렇게 책읽기를 사랑하는 사람의 이야기는 반갑고 즐겁다. 다른 독서록 책들과는 달리 그의 대단한 독서 이력이 나를 주눅들게 하지는 않았다. 그저 경이로울 뿐. 

세이고의 '천일천책' 프로젝트에선 매일 한 권의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되, 연달아 같은 장르, 같은 출판사, 같은 작가의 책은 피하는 원칙을 세웠단다. 그가 끙끙거리면서 양자역학이나 물리학 책을 읽는 장면을, 독서 에너지를 재충전 하기 위해 중간 중간 시집을 여는 장면을 생각해 본다. 요즘 너무 안이하게 익숙하고 문학만을 읽는 내 독서 패턴을 반성했다. 그리고 아직 열리지 않고 있는 저 많은 책들을 쳐다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