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변의 카프카 (상)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사상사 / 200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주인공이 열 다섯이라고, 세상에서 가장 용감하고 쿨한 열다섯 소년이라고, 까마귀 소년을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 소년은 숲 속 깊은 곳, 저 너머의 세계를 다녀왔습니다. 그리고 그토록 그리던 사람을 만나서 사랑을 확인했습니다. 만, 나는 왜 이 책을 지금 읽었을까. 다들 마흔 넘어서는 하루키를 극복(?)하고 독서의 다음 단계로 나아간다는데, 왜 나는 지금 그의 열다섯 소년 이야기를 읽었을까.

1Q84의 많은 퍼즐들이 이 책에서도 발견된다. 사에키상과 주인공 소년의 관계도 그렇고, 문을 여닫는 것이나 환상적인, 아니면 충격적인 설정도 그렇다. 그래서 훅하고 빠지는 하루키식 완전 몰입 독서를 할 수 없었다. (조니 워커와 고양이 장면에서는 깜짝 놀라긴 했다) 이상하게 사에키상과의 관계도 그리 놀랍지 않다. 초반부터 프로이트 이야기를 많이 해 두어서 마음의 준비가 된 탓일까. 문학적인, 그리고 계산된 장치들이 여기저기 놓여있는데, 그 트릭들이 미리 보여서 재미가 덜 했다. 나카타 할아버지와 호시노 청년의 여행 장면이 기억에 남는다. 아니, 벌써 기억이 흐릿해지고 있다. 

하루키의 책은 그렇다. 읽는 순간은 하루키식 논리 (하늘에서 생선이나 거머리가 쏟아져 내리더라도 그러려니 하는 식으로)를 따라간다. 하지만 책을 덮고 사흘이 지나면, 줄거리를 다시 말하기 어렵다. 

주인공이 열다섯이라 하더라도 고등학생이 읽을 책 같지는 않고, 스물 다섯 쯤 읽고 서른 쯤에 주인공과 나카타를 떠올리면 좋을 듯하다. 다양한 연령대의 여러가지 인생 모습을 보여주었으니 간간이 내 인생의 의미(라고 하면 너무 거창하지만)도 생각해 볼 수도 있을테고. 그런데 난 너무 늦게 읽었다. 그래서 감동을 받기에 너무 늦어버렸다. 입구의 돌은 닫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