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읽는 엄마, 책 먹는 아이 - 한복희의 15년 살아 있는 독서지도
한복희 지음 / 여성신문사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얼마전 읽은 (아주 열심히!) 임성미 선생님(!)의 심각한 제목의 책 "독서논술 초등 3,4,5학년 때 잡아야 한다" 이후 큰아이의 독서태도에 지대한 관심을 쏟고 있는 중이다. 사정상 영어와 우리글 사이를 오가면서 더 힘들어 하고 있지만 독서라는 큰 숙제는 어느 쪽에서도 만나게 되는 인생의 문제다 싶다.
이번의 한복희 선생의 책은 임선생님의 책과는 차이가 있다. 후자가 체계적이면서 훈련된 독서를 위한 빡센(!) 가이드라면 전자는 저자의 경험을 좀더 쉽게 풀어간다. 반복해서 강조되는 이야기는 입시를 위한 논술교육이나 학원에서 행해지는 독서교육은 절대 아이의 심성교육에 도움이 될수없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독서를 잘 하면 좋은대학에 간다는 낯간지러운 epilogue를 싣고 있다.
jim trelease 의 책을 소개받은 것도 이 책 안에서 이다. 각기 다른 연령대 아이들이 다양한 독서 활동을 통해 어떻게 반응하고 커 가는가를 엿볼수 있어서 좋았다. 저자의 15년 경력과 그동안 장기적으로 선생님과 제자의 끈으로 매주 만나서 책을 읽으면서 커간 아이들의 이야기는 내가 많이 부러운 부분이다.
하지만, 책으로만 그런 부러운 경험을 읽는 입장으로서는, 각 장의 아이들의 이야기가 연령별로 좀더 정리가 되어 있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다. 간간이 보이는 오자도 조금은 아쉬운 점이었고 정겨운 삽화도 반복되는 것은 차라리 빼는 편이 낫지 않았을까 싶다. 그래도 전문적인 독서교육자의 입장에서 유익한 책들을 만나게 해주어서 고맙고, 여기서 다루어지는 책들은 학교에서 나눠준 권장도서와는 조금은 달라서 색다르다. 방학동안 같이 읽어봐야 겠다.
저자의 뼈있는 말씀 : 아이의 책은 부모가 먼저 읽어보아야 한다. 자기는 드라마를 보면서 책읽으라고 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