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연쇄 살인범의 이야기를 읽은후에 찾은 것은 가벼운 읽을거리였다. 잡지에나 실리는 연애이야기 말고, 놀란 가슴을 달래줄 밝은 이야기였다. 내친김에 일본 소설 하나 더, 하고 고른 것이 바나나의 키친이다.  

얼마나 경쾌한 이름 인가! 바나나...그녀의 흑백 사진은 그냥 보통 40대 일본 아줌마인데 과연 그의 감각이 나를 그 발랄함으로 감쌀수 있을까 기대했다. 
하.지.만.
발랄함은 그녀의 이름뿐이고 책 속엔 상처받고 외로운 섬세한 감성의 주인공이 있었다. 그 친구들도 어색한 번역 만큼이나 (일본어를 모르니 이문체가 계산된 바나나 스타일이라면 번역자에게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 그 주인공 주변에 따로 따로 서 있다.

너무나 센서티브 한 사람들은 사랑하는 가족의 갑작스런 죽음을 힘겹게 극복하려고 안간힘을 쓴다. 그 방법으로 요리를 하거나, 여자로 성전환을 하거나, 여자친구의 세일러복을 입거나...또, 아니면 새벽에 조깅을 한다. 그리고 그 위태위태한 견딤 속에 가까스로 사랑을 보듬어 안고, 기운을 차린다. 
 절대, 발랄한 현대소설은 아니었다. 어느정도 다자이 오사무 스타일의 (일본판 프루스트) 염세주의가 보인다. 슬프게도, 내가 바랬던 따스함은 없었다. 인물들의 대사도 저마다 외로운 메아리를 치는 듯하다.

"모방범"을 읽은 뒷맛이 아직 남아서인지, 한밤중 친구를 위해 돈까스 덮밥을 들고 뛰는 주인공이 행여나 밤길에 험한 꼴을 당하지 않을까 괜히 맘졸였다. 이런 내 몹쓸 독서 태도 때문에 감동 스러워야할 영혼의 만남도 그저 그런 장면으로 남는다.  그들은 바나나의 섬세한 인물들이다. 하지만 그들의 섬세함이 지나쳐서 읽는 내내 겉도는 기분은 어쩔수가없다. 너무 섬세하고 가녀려서 그들은 훅 불면 날아가 버린다. 그리고 그 자리엔 얼마전 뉴스에서 비판하던 지나치게 화려한 장정의 책만 남는다. 책은 무겁다. 그리고 내 마음도 아직 무겁다.

"참을수 없는 책의 무거움" -kbs 취재파일 4321
http://news.kbs.co.kr/article/culture/200807/20080713/1595714.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