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두어 장은 작가가 너무 몸을 사리며 말을 돌려서 지루한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글을 쓰는 이야기, 그동안 (일본 문단에 대해) 서러웠던 이야기가 나오는 부분 부터는 꽤 읽을 만했다. 무엇보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읽었던 책과 작가 이야기가 좋았다. 특히 그의 꾸준함, 일정한 규칙적인 생활 이야기가 마음에 들었다.
요즘 챈들러를 읽고 연상 작용에 끌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뭔가에 홀린듯이 <노르웨이의 숲>을 다시 읽기 시작했다. 아, 왜 그랬어. 하루에 몇 쪽씩 밖에 못 읽겠다. 이런 인물들이 이런 대화를 한단 말이지. 작가의 설명대로 1인칭 소설의 한계였을까, 대화로 전해지는 장면들은 더 적나라하고 억지로 꾸겨 넣은듯 기괴하게 와닿는다.
하지만 뭐 이런 소설에 취한 시절의 나도 있었지. 그 나이가 된 큰아이는 다행인지 무라카미 하루키를 모른다.
이사크 디네센은 ‘나는 희망도 절망도 없이 매일매일 조금씩 씁니다‘라고 했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나는 매일매일 20매의 원고를 씁니다. - P151
미국의 금주 단체 표어에 One Day at a time이라는 게 있는데, 그야말로 바로 그것입니다. 리듬이 흐트러지지 않게 다가오는 날들을 하루하루 꾸준히 끌어당겨 자꾸자꾸 뒤로 보내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묵묵히 계속하다 보면 어느 순간 내 안에서 ‘뭔가‘가 일어납니다. 하지만 그것이 일어나기 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당신은 그것을 참을성 있게 기다려야만 합니다. 하루는 어디까지나 하루씩입니다. 한꺼번에 몰아 이틀 사흘씩 해치울 수는 없습니다. - P180
나에게는 독서라는 행위가 그대로 하나의 큰 학교였습니다. 그것은 나를 위해 설립되고 운영되는 맞춤형 학교고, 나는 거기서 수많은 소중한 것들을 몸으로 배워나갔습니다. - P226
외국 작가로는 제인 오스틴, 카슨 매컬러스를 무척 좋아합니다. 작품을 전부 다 읽었습니다. 앨리스 먼로도 좋아하고, 그레이스 페일리의 작품은 몇 권 번역도 했습니다. - P278
작가 존 어빙을 만나 대화했을 때, 그는 독자와의 관계에 대해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이봐요, 작가에게 가장 중요한 건 독자에게 mainline을 hit하는 거에요. 말이 좀 험하기는 하지만." 미국 속어로 mainlne은 정맥주사를 맞는다, 즉 상대를 addict로 만든다는 뜻입니다. - P283
제임스 조이스는‘상상력imagination이란 기억이다’라고 실로 간결하게 정의했습니다. - P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