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여 년 외교관 경력을 뒤로하고 지금은 다른 일을 하는 저자는 현 일본의 차분하고 안정된 분위기가 부럽다고 2017년 한 책소개 방송에서 말했다. 하지만 이 책은 17-19세기 중반의 다이내믹한 에도 시대의 경제적 변화와 개혁이야말로 일본이 근대 역사의 “우등생”이 된 배경임을 보여준다.
에도 막부 260년 정치적 평화 시기(.. 다른 일본사 책 보니까 아니네.. 하긴 어느 나라가 260년 동안 내란 등의 갈등이 없겠나)의 일본 경제 사회 문화사를 풍부한 사진 그림과 함께 재미있게 만날 수 있다. 미야베 미유키 에도 시리즈를 떠올리면서 조닌과 상인, 화폐와 참근교대제 부분을 읽었다. 바로 이 시기가 메이지 유신을 위한 오랜 빌드업이었던 것이다. 이토록 중요한 부분을 제목이 말하는 것처럼 학교에서 잘 배울 수 없었던 건 세계사 수업의 동양사 17세기 이후는 기말고사 전에 급하게 정리하기 때문이리라. 일부러 무시하거나 외면한 게 아니라.
맺음말에서 역사 의식과 ‘억울’에 관련된 국민(성) 차이, 제국주의 열강의 외교 체결 ‘사정’, 일본의 역사교육에 대한 저자의 너그러운 의견 등은 정리되지 않은 저자의 갑갑한 마음의 반영으로 보인다. 일본은 남탓 안하고 자신을 바꾸어서 해냈다, 로 읽혀서 과연?하는 기분이 들었다. 아니면 나의 오독인가. 게다가 저자의 이력 만큼이나 색다른 일본식 한자어 표현이 많아 읽으면서 여러번 고개를 갸웃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