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걸작에 대한 오마주 단편집 <책에 갇히다>에 수록된 전혜진 작가의 <푸르고 창백한 프로메테우스>를 읽었다. 구픽 출판사의 <책에 갇히다>의 후속으로 <책에서 나오다>라니 의미심장하다.  



전혜진 작가는 이전 단편집의 <모든 무지개를 넘어>에서 암울한 미래 세계에서도 책을 찾아 읽는 어린 아이를 보여주면서 (지루했지만), 책에서 어떤 해결을 바라지만 결국 책에 갇히고 마는 사람들 (어쩌면 나도 그렇고) 이야기를 했다. 여러분, 책에선 밥도 돈도 안 나온다. 그리고 단행본 <여성, 귀신이 되다>는 옛 설화와 문헌에 남은 한 많은, 하지만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한 여성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번에 전혜진 작가의 오마주 대상은 메리 셸리와 <프랑켄슈타인>이다. 그녀의 이름에 '셸리'가 붙게되는 바로 그 결혼식 전날 밤에 메리는 악몽에 소스라친다. 퍼시 셸리의 전부인의 유령을 보고 자신의 행동이 불러온 결과를 고민한다. 자유연애의 시기, 낭만파 시인 퍼시의 주변에 수많은 여인들. 그녀들은 퍼시의 발목을 잡고 사회 규약과 함께 그의 자유를 막는 '괴물'이 된다. 하지만 <다락방의 미친 여자>에서 다루는 괴물의 의미와 차이가 있다. 이 단편에서는 <프랑켄슈타인> 집필 직전의 상황, 특히 퍼시 셸리와 바이런경이 얼마나 많은 여인들의 삶을 흔들고 그녀들의 목소리는 무시했는지 '다소 한국 드라마 같은 분위기로' 상상해본다. 이 소설의 메리는 (그리고 저자도) 사회의 인정에 끝까지 매달린다. 소설에는 낭만 시인들의 여성 편력이란 너무 익숙하고 지저분한 이야기, 여성들에겐 덫과 같은 공식들을 펼쳐져 있다. 좀 지겨워 지려할 때, 전혜진 작가는 푸른 수염 같은 셸리, 성적 사회적으로 유린당하고 괴물의 모습으로 죽고 그 후에도 박제되는 메두사 같은 자신(더해서 셸리의 전부인 해리엇)을 내세운다. 바이런의 전처와 딸, 앤 이사벨라 밀뱅크와 아다 러브레이스의 빛나는 업적은 <진리의 발견>에서 읽은 바 있어서 찌질한 바이런의 푸념 부분을 읽을 땐 풋, 하고 웃어주었다. 사생활 속의 딜레마에 빠진 (자유사상가이지만 남자에게 매인) 메리 셸리를 아주 가깝게 만난 느낌이 들지만 그녀를 그저 만 16세 '소녀'로 칭하는 것과 제목에 '남편'을 올려 놓은 것은 마음에 들지 않는다. <프랑켄슈타인> 오마주는 시작하려다 만 느낌. 궁금하면 읽을 수도 있겠지만 뭐 굳이 .... 란 감상. 



남자의 오명이 뒤집어쓴 오물 같은 것이라면, 여자의 오명은 낙인찍히는 것이었다. - P207

퍼시가 무어라 말하든, 해리엇은 합법적인 아내이자 피해자였고, 그에게서 남편을 빼앗은 괴물은 메리와 그 자매들일 터였다. 한 집안의 세 자매가 번갈아 한 남자에게 유혹당하다니. ‘셸리부인‘의 눈에는 메리와 그 자매들이 마치 신화 속의 괴물 자매, 고르곤 세 자매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처음부터 괴물이었을까.
우리는, 그리고 당신은, 어쩌다가 괴물이 되어 버린 걸까. - P2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