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권 (꽃핀 소녀들의 그늘에서)에는 은근 코믹한 장면이 많은데 그중 한 장면, 여자에 달뜬 화자가 허겁지겁 다가갔을 때 당황스럽게 나이든 (더해서 평소에는 혐오나 두려움마저 느끼는) 여성을 마주하는 장면도 있다. 예전에 읽었던 한창훈 작가의 소설이 생각났다. 



내가 처음으로 발베크에 갔던 시절부터 몇 해가 지난 후 나는 아버지 친구분과 함께 마차로 파리를 달리고 있었는데, 밤의 어둠 속에서 빠르게 걸어가는 한 여인을 보고, 어쩌면 일생에 단 한 번뿐일지도 모를 내 행복의 몫을 예의범절 같은 걸로 놓치는 건 무분별한 짓이라고 생각되어, 한 마디 변명도 하지 않고 달리는 마차에서 뛰어내려 그 미지의 여인을 쫓아간 적이 있었다. 여인은 두 갈래 길에서 사라졌다가 세 번째 길에서 다시 모습을 드러냈는데, 내가 숨을 헐떡이며 가로등 밑에서 본 사람은 내가 그토록 피해 왔던 베르뒤랭 부인이었다. 부인은 반갑고 놀란 마음에 "어머나! 내게 인사하려고 달려오다니 고마워요!" 하고 소리쳤다. (126)





이틀 뒤 또 꽃무늬 보자기 너머에서 물 끼얹는 소리가 났다. 나는즐거우면서 괴로웠다. 의지는 책을 봐야 한다고 하지만 그것을 제외한 모든 것들은 똘똘 뭉쳐 수돗가 쪽으로 나아갔다. 여인이 목욕하는 장면은 열일곱 살짜리 남자애가 담담하게 볼 수 있는 게 못 되었다.

조금 있으면 보자기가 열리면서 아름다운 젖가슴이 드러날 것이다. 가지런한 등줄기도 보일 것이다. 운이 좋다면 그때처럼 아랫도리도 구경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목욕은 쉽게 끝나지 않았다.

비누칠하고 밀고 닦고 물 끼얹는 소리가 계속 이어졌다. 저 소리라면 지금쯤 어디를 닦고 있을 것이라는 상상은 더욱 확대되고 분명해지고 강렬해졌다. [...] 몸으로 사랑을 한다면 이런 기분이리라. 나는 괴로우면서즐거웠다. 그러다 저 속의 것이 폭발되었고 가쁘게 숨을 몰아쉬고 있을 때 보자기를 걷으며 주인 할머니가 걸어나왔다. 

다시 공부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은 주인 할머니 덕분이었다. 수돗가에서 어떤 소리가 나도 쳐다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 않았다. (91-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