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트 노벨이지만 소설에 대한 애정이 끓어 넘친다. 라이트 노벨이라서 현실 운운하면서 고교생 등단작가 둘이 같은 반이고, 한명은 수십만부 판매의 베스트셀러 작가에 전교 일뜽이다. 라이트 노벨이라 인간관계가 미니멀하다. 라이트 노벨이라 여고생 몸매 묘사가 하루키 만큼 많다. 라이트 노벨이라지만 지루했다. 스포: 소설의 (귀)신은 안 나온다.

청춘물을 쓰려면 좀 더 산뜻하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써야지. 청춘물을 읽는 독자의 대부분은 충실하고 싶었지만 그러지 못했던, 지금은 이제 결코 되돌릴 수 없는 옛날을, 적어도 픽션 안에서 즐기고 싶은 중년층 이상이라고. - P64
"이해해. 여기에 있는 소설이 너를 구성하고 있는 걸…….그것이 어렵지 않게 전해져. 여기에 있는 책은, 전부 다 엄청 사랑받고 있으니까." "별로……. 그렇지 않아." 사랑받는다. 사람에게 사랑받는 책이란, 어떤 책을 말하는 걸까. 코유루기의 시선을 따라 책장으로 시선을 돌렸다. 벽 한 면을 덮은, 키가 큰 책장. 이곳에 있는 책이 나라는 인간을 구성한다. 변함없이 시적인 표현을 하는 사람이다. 그리고 나는 그런 말을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코유루기 시이나라는 사람이 부럽고 질투가 났다. - P184
그 증거로, 지금은 거의 대부분 출판사가 웹에서 작가를 뽑아서 책을 내기 바빠. 큰 출판사 중에는 자체 웹 소설 투고 사이트까지 만들어서 거기서 작가를 뽑으려고 하기도 해, 이제 프로 작가가 뽑은 신인상의 시대는 끝났어. 앞으로는 틀림없이 프로가 뽑은 프로 작가보다 일반인이 뽑은 일반인 작가의 시대가 될 거야. 아니, 이미 되었어. 대개 일반 문예의 신인 작가는 웹 소설 작가의 초판 부수에 압도적으로 지고 있으니까. - P240
"발행 부수구나." 핵심을 찔려,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니까……. 5천 부, 였어요." "문고본이 5천이라……." 카스가이 씨가 깊게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그건…… 힘들겠네." "저기……. 정말, 놀랐어요……. 1만 부 이하라니 단행본 때와 거의 다르지 않은 숫자잖아요……. 문고본이 되어도 그런숫자라니……." "요즘의 출판 업계는 정말로 가혹하지." - P1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