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에서 성리학적 제사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이들은 민간신앙의 영역, 즉 무속과 불교를 통해 모셔졌다. 무속과 불교를 통한 의례는 주로 가정의 주부가 의로하거나 주재하고, 주로 여성인 무당이 그 일을 행함으로써 여성의 의례로 자리를 잡았다. 즉 정상적인 죽음을 당한 사람의 의례는 유교와 남성 사대부의 영역이 되었으며, 비정상적인 죽음을 맞은 이들의 의례는 무속과 불교, 여성에 의해 치러졌다는 이야기다. - P215

신화 속 여성의 신이 되기 위한 여정은 현실의 여성이 겪는 고난을 반영한다. 특히 당금애기와 바리데기가 어머니로서, 그리고 딸로서 겪는 수난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당금애기는 혼인하지 않은 처녀가 아이를 낳았을 때 겪을 온갖 고난을 감내했다. 바리데기의 고난 역시 마찬가지다. 딸이라는 이유로 아들을 바란다는 뜻의 이름을 받고 집에서 구박데기로 자라거나, 태어나자마자 살해당하거나, 혹은 부모가 엄연히 살아 있는데도 해외로 입양시켜 버렸다는 이야기들뿐만이 아니다. - P287

<순군부군청기> 순군부의 감옥을 지키는 여신이 꿈에 나와 200년 전 자신의 사연을 말하고 남근목을 바쳐 복을 비는 것 좀 그만두라고 말한다. - P3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