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가 해결되면 어떻게 되죠?"

"조금 더 어려운 문제를 파악할 수 있지."

그 정도는 나도 상상할 수 있다. 어떤 문제는 똑같을 것이다. 최종 목적지가 있고 거기에 낙원이 기다리고 있는 것은 아니다. (117)


좋은 경험이 되었다는 말로 사람은 뭐든지 긍정해버리는데, 인간은 경험하기 위해서 태어났을까? 지금 내가 하는 일은 단지 경험하면 되는 걸까?

경험을 쌓는 것으로 인간은 차츰 훌륭한 존재가 된다. 하지만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다. 출발점으로 돌아갈 수도 없다. (173)


이 왕도가 의미하는 것은, 걷기 쉬운 지름길이 아니라 용자가 걸어야 할 깨끗하고 옳은 정도를 말한다. 학문에는 왕도밖에 없다. 생각할수록 인간의 아름다운 삶의 방식을 나타내는 말이다. 아름답다는 것은 그런 자세를 표현하는 말이다. (238-9)


산을 넘을 때마다 만족하지만 냉정히 관찰하면 열심히 산을 만드는 자신이 보인다. 어릴 때 공원 모래밭에서 놀았던, 그것과 같다. 터널을 파고 싶어서 산을 먼저 만든다. 하지만 그 산을 자신이 만들었다는 의식은 없다. 산이 있네, 어쩌지? 터널을 팔 수 있을까, 내가 할 수 있을까? 마치 신이 자신에게 준 시련 처럼 먼저 산을 만드는 것이다.

도전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부 자신이 만든 산이 아닐까, 연구자는 매일 무엇을 생각할까? 어려운 것,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에 도전하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지만 그렇지 않다. 그런 것은 연구의 후반, 즉 산을 내려올 때 하는 일이다. 

연구자가 가장 머리를 써서 생각하는 것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문제다. 자신만이 풀 수 있는, 멋진 문제를 늘 찾고 있다. 불가사의한 것은 없을까,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없을까, 하는 연구주제를 정하기 까지가 가장 어려운 작업으로, 산에 비유하자면 여기까지가 오르막이 된다. 결국 산을 오르면서 산을 만드는 것이다. 미끄럼틀의 계단을 뛰어 오르듯이 그 후에 기다리는 상쾌함을 위해서 일단 높이 오르고 싶다, 길고 빠르게 미끄러지고 싶다, 그런 꿈을 안고 점점 산을 높이 만들어 그곳에 오른다. (32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