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에는 여자 작가의 작품이 없었다. 작가의 이름이 숙, 혹은 희, 로 끝나고 남자 작가였다. 5권으로 넘어가서 '생존의 상처', 70 80년대 부정부패 시대의 소설을 만났다. 처음 실려있는 것은 박완서 작가의 '조그만 체험기'. 황석영 작가의 해설에 의하면 박 작가의 실제 체험을 살려 쓴 소설이라 했다.

 

화자의 사십대 후반 부인, 작가라는 언급 때문인지 얼핏 엣세이처럼도 읽힌다. 어느날 갑자기 사업을 하는 남편이 '사기죄'로 체포된다.  작가의 목소리가 자신과 다른 여인들을 '여편네'라고 칭하면서 주눅들던지 악에 받쳐 으르렁 거리는 모습으로 그렸다. 자유를 이리 저리 빼앗기고 없이 살면서 '억울해서' 가슴에 맺힌 사연들을 남에게 표현하느라 용을 쓰는 여자들. 자신의 자유의 근간이 되는 '남편'이 '아들'이 감옥에 갇혀버린 여자들. 그 여자들의 공포와 무지를 후려쳐서 돈을 빼앗는 형사와 변호사 등 국가의 얼굴을 한 남자들. 법이 없이도 살려면 법을 손에 쥐고 있거나 빽이 있어야 하는가.

 

 

70년대에 쓰인 소설이라 통행금지와 오백원 지폐 이야기가 나오고 변호사 선임비용이 삼십만 원 이었지만 꽤 공감을 하면서 읽었는데, 소설 말미 두 쪽에 걸쳐서 갑자기 교훈 혹은 깨달음을 펼쳐 놓는 부분 때문에 깼다. 실생활에서 겪고 엮어 내놓았지만 문학으로 취급받지 못할까 박완서 작가의 염려 때문이었을까. 실은 황석영 작가의 해설 장면은 은근히 '아줌마 글'을 깔보는 느낌이 든다. '깍쟁이 '서울내기' 아낙네로서의 박완서의 '수다'는 이른바 한국적 중산층의 감수성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42-4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