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치디, 에서도 첫 문장의 엘레인에서도, 나는 화자의 성별과 국적 그리고 언어에 대해서 상상할 수 없었다. 조금씩 그가 한국인이 아님은 물론 영어가 모국어도 아닌 브라질 남자라는 것을 알게되면서 찰흙이나 지점토를 빚어서 만들듯 조금씩 상상의 얼굴을 만들...다가 말았다. 그가 하는 이야기는 자신의 경험, 아치디라는 작은 마을의 이야기이기도 했지만 하민의 이야기이기도 했다.

 

하민은 내가 아는 사람 같았다. 권여선 작가의 '이모' 생각도 났고, 속없이 고생만 했다던 먼 친척 고모님 댁 큰언니 같기도 했다. 다들 떠나는 방식은 달랐고 살아내는 식도 달랐지만 어쩐지 비슷한 느낌이었다. 그리고 랄도, 그의 고통스러운 마음도 전혀 낯설지 않았다. 그런데....이런 멀고도 가까운 이야기를 여러 겹의 언어와 시간, 더해서 국적을 바꿔 포장해 놓은 것을 읽으려니 피곤하다. 최은영 작가의 전작 '한지와 영주'를 이해하지도 공감하지도 못했던 기억이 났다. 내가 너무 늙었기 때문인가. 왜 이 나이 먹도록 젊은 작가와 그들의 젊은, 너무나 어리고 풋풋한 이야기에 이리 매달려 집착하는가. 아치디에서, 먼 이국에서 다른 언어로 지내다 보면 인생의 고민은 매듭을 풀고 새로운 삶을 살아낼 용기와 기회가 생긴다고, 그 때는 믿었었지. 만. 위안을 얻지 못하고 책을 덮는 내 늙은 마음이 싫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8-20 13: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8-20 13:3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