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 사용 설명서 징검다리 동화 16
공진하 지음, 김유대 그림 / 한겨레아이들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중증 장애아 유진이의 이야기를 읽는다. 혼자서는 일어서 걷지도 화장실에 가지도 못하는 아홉 살, 이제 초등 2학년 생. 집 근처 학교 대신 자동차로 한참 가야 있는 특수 학교에 다니는 아이. 고개는 자꾸 옆으로 가고 침은 흥건하게 흐른다. 잠을 자다 고개를 옆으로 돌리고 싶어도 베개에 파묻혀서 숨이 막히기도 한다. 엄마, 라는 발음보다는 쉬운 '이여'로 엄마를 부른다. 화장실 용무를 도와주는 자원봉사자의 몸에, 휠체어 위에서 쉬를 해 버리기도 한다. 같은 반 친구는 독한 약기운에 계속 졸거나, 소리를 지른다.

 

엄마는 유진이를, 유진이도 엄마를 사랑한다. 엄마는 아이의 울음이나 투정에 노련하게 유머로 대처한다. 아이를 감추며 변명하는 대신 아이를 세상에 설명하고 아이와 소통하는 방법을 주위와 나눈다. 엄마는 학교 버스에 아이를 태우고 혼자 숨 돌릴 틈을 겨우 갖는다. 밤늦게 까지 자영업을 하는 아빠는 아이에게 덤덤한 애정을 보이는데 여느 아빠와 다르지 않다. 아이는 새로운 선생님과 만나서 물리치료를 즐기는 법을 배우고, 이야기 듣기를 즐기고, 글씨 표시하는 법으로 속 이야기를 꺼낸다. 비장애아이들과 함께 숲속에서 열리는 캠프에도 엄마 없이 참여한다. 위험 없고 사고 없는 성장은 없고, 동굴이나 섬에서 없는듯이 살 수도 없다. 유진이는 동굴에 숨는 대신, 동정어린 시선과 혀차는 소리 대신 인사와 대화를 나누기 위해 오늘도 자란다. 데굴데굴 도토리는 조금씩 상수리 나무로 커간다.

 

이 모든 이야기가 귀엽고 밝고 힘차게 그려진다. 장애인은 불쌍한 존재이니 도와주어야 한다고, 그래서 비장애아인인 내가 좋은 사람이라 확인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유진이 엄마의 고생은 눈에 보이지만 천천히 엄마 없는 공간의 아이를 그려내서 감탄했다. 아직은 장애아 엄마들이 '죄인 혹은 투사'가 되는 우리나라 상황에 마음이 아프다.

 

 

<장애와 함께 크는 사회> 엄마의 고군분투, 우리 아이가 '섬'이 되지 않게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12111634001&code=9404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