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이 한숨을 쉰다, 는 문장에서 내 맘이 무너졌다. 바게트 빵을 사왔다.

 

급할 땐 전자책. 예상보단 (어쩌면 리뷰를 내 맘대로 읽은 탓이겠지만) 인생이야기가 더 맵고 짜다. 위탁가정을 전전하는 열살도 안된 남매 이야기는, 겨우겨우 힘들게 읽었다. ('멀어도 얼어도 비틀거려도'가 떠오르기도 하고) 책을 다 읽도록 아이 엄마나 아빠에대한 박한 평가는 바뀌지 않았다. 나이들어 부모를 이해하게 된다,는 뻔한 이야기는 얼마나 잔인한가. 아이들은 그냥 계속 당하고 다치고 원망도 못한다니. 가정에서도 집 밖에서도 취약하게 폭력에 노출된 아이들은 그 분노를 자신에게 터뜨리고 결국 자신의 삶을 망가뜨린다. 어른은 어른대로 휘청거리고 그 사이에서 시간이 지나면 몸만 훌쩍 자라는 아이들.

 

그 모든 아픔이 부엌에서, 음식에서 치유되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사샤의 부엌에서도 내 마음이 따뜻하게 녹아내리지 않은 것은 사샤의 고집 위에서 진행되는 그녀의 '다국적 음식 탐험' 때문인지도 모른다. 사샤 엄마의 식초와 오일 처럼 (식초는 소독을 한다며 중국 음식 위에 뿌려대는 엄마) 그 고집스러움은 책 전체에서 '이건 내 책이에요, 비판은 사절'이라는 분위기를 풍긴다. 헛헛한 그녀의 인생과 마음에 시작한 블로그니까 그녀가 바라는 건 칭찬과 응원이다. 남편과의 만남을 로맨틱하게 '문학적으로' 그려내고 싶어한 저자의 귀여운 욕심은 불안한 마음을 감추는 방식인지도 모르고. 하지만 나는 블로그가 아닌 책을 읽었으니 그 기대치가 다를 수 밖에. 영화 같은 전개에 딱맞춘 거대한 파티 장면은 눈에 보일 것 같다. 정말 영화로 만들면 재밌겠네 했다가, 초반 아이들의 고생스러운 이야기에 고개를 젓는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4-03 14:1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4-03 12: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4-03 12: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4-03 13:1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