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인 손석춘이 특이하게 소설을 썼습니다. 남로당 출신의 북한의 혁명가라는 특이한 소재였습니다. 혁명의 꿈을 안고 붓과 총을 들었던 젊은이는 해방 이후 북한에서 그 혁명이 타락되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늙어갑니다. 타락한 북한에 대한 얘기를 혁명가의 시선으로 끌어간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그러기에 소설이라는 형식을 취했지만 역사적 기록의 나열이라는 성격이 강합니다. 그리고 밖에서 바라보는 자유주의적 시각도 강하게 풍기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용산철거민들의 투쟁에는 많은 사람들이 간절한 마음을 갖고 그들이 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연대했습니다. 미술인들 역시 그림과 조작과 전시와 행위로 그 누구 못지않게 뛰어난 연대투쟁을 벌였습니다. 미술인인들이 1년 가까이 진행했던 다양한 연대의 몸짓들을 모아서 나온 책입니다. 평면적으로 그들의 작품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행위를 글과 사진으로 보여주고 있어서 더 역동적입니다.
무수한 노동자들이 가슴 한가득 억울한 사연을 갖고, 또 한쪽 가슴 한가득 눈물을 감춘 채 싸우고 있습니다. 작가 오도엽이 사진기와 녹음기를 들고 그들을 찾아가서 그들의 얘기를 듣고 정리했습니다. 쉬워 보이지만 결코 쉽지 않은 오도엽의 작업을 모아서 책으로 내놓았습니다. 너무 많은 사연들을 짧은 글들 속에 담아내려다보니 너무 압축해버렸습니다. 그래서 비슷한 얘기들이 나열되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일제시대를 살아가면서 현실을 때로는 풍자적으로, 때로는 비관적으로 그렸던 채만식의 소설은 다른 누구의 소설과 다른 그만의 냄새를 강하게 풍깁니다. 사회주의자를 지지하는 현실주의자였던 그는 일제 말기 자신의 변절을 솔직히 고백하고, 해방된 세상에서 좌도 우도 아닌 철저한 현실의 입장을 유지하려 노력합니다. 하지만 좀 옹색합니다.
부모를 잃고 먼 친척 집으로 와야 했던 소녀와 사랑하는 이들 잃고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사내가 비밀의 화원을 가꾸면서 서로의 상처를 쓰다듬습니다. 어린이용 소설치고는 꽤 세밀하고 감성적이고 감동적입니다. 그래서 이 책에 나온 지 백 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많은 이들이 찾고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나 귀족적이어서 많이 불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