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팝의 고고학 1990 - 상상과 우상 한국 팝의 고고학
신현준.최지선.김학선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화와 세계화가 진행되던 1990년대, 한국 대중음악 역시 자유롭고 다양한 형식의 음악들이 쏟아져 나왔다. 그와 함께 대중음악 산업도 급격히 성장하면서 새로운 시스템을 만들어나가기도 했고, 한편에서는 대안적 모색을 하기도 했다. 

어지러울 정도로 빠르고 드넓게 펼쳐진 1990년대 대중음악의 흐름을 핵심 장르와 경향을 중심으로 정리했다. 

기획만으로도 만만치 않을 작업이었을텐데 그 어려운 일을 해낸 것만으로도 값진 책이다. 당시 대중음악의 흐름만이 아니라 음악산업 전반의 변화과정까지 함께 볼 수 있도록 엄청난 노력이 쏟아부어졌음을 느끼게 한다. 

다만 공동저작이다보니 글쓴이 간에 방점이 달라 전체적으로 다소 혼란스럽기도 하고, 몇몇 장에서는 당시 음악에 대한 논쟁적 평론이 강해서 책의 취지와도 조금 동떨어지는 감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팝의 고고학 1980 - 욕망의 장소 한국 팝의 고고학
신현준.최지선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이유로 한국 사회가 역동적으로 변하던 1980년대 대중음악도 아주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만개하기 시작했다. 그 당시 대중음악의 지형을 한편의 풍속화이자 세밀화처럼 쫙 펼쳐 놓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가왕 조용필와 여의도의 방송사들을 필두로 해서 새로운 형태의 트롯과 그룹사운드, 심지어 민중가요와 헤비메탈까지 참으로 폭넓은 지형도를 보여준다. 당시 인기를 얻었던 가수들만이 아니라 작사가, 작곡가, 연주인, 기획자들까지 음반산업 전반을 골고루 볼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였다. 

특정 장소를 중심으로 해서 음악인들이 모이고 흩어지는 과정을 이야기의 틀로 잡으면서 사회적 역동성도 함께 느낄 수 있었다는 점은 이 책이 단순히 음악인들에 대해 아카이브 이상임을 보여준다. 

한 시대의 대중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아주 값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팝의 고고학 1970 - 절정과 분화 한국 팝의 고고학
신현준.최지선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래로부터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내다 좌절해갔던 1970년대 한국 대중음악사를 살펴보고 있다. 

독재정권이 무겁게 짖누르던 사회에서 젊은이들의 숨구멍 역할을 했던 포그음악과 60년대부터 이어져오면서도 새로운 시도로 변화를 꾀하던 그룹사운드가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했는지를 총체적으로 살펴본다. 그 흐름이 꽃을 피우려는 찰나 정권에 의해 짓밟혀 버리면서 숨죽였다가 다시 조심스럽게 새로운 모색을 해나가는 과정이 참으로 극적이다. 

당시 대중음악을 사로잡았던 이들만이 아니라 덜 조명 받았던 이들까지 골고루 살피려 노력했고, 가수에만 집중하지 않고 연주인들과 기획자들까지 두루 두루 조명하며 대중음악사를 풍부하게 그려내고 있다. 

중간 중간 전문적인 얘기들이 살짝 끼어들기는 하지만 그 시대와 함께하고자 했던 음악인들의 노력을 이해하기에 아주 알찬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중섭, 편지화 - 바다 건너 띄운 꿈, 그가 이룩한 또 하나의 예술 이중섭
최열 지음 / 혜화1117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전쟁이 일어나고 북에서 남으로 피난을 오게 된 이중섭과 가족들은 생활의 어려움 때문에 부인과 자식들이 일본으로 떠나가 된다. 그 이후 한국에 홀로 남은 이중섭이 가족들에게 보냈던 편지 속에는 그리움과 미안함이 담긴 사랑스러운 그림이 넘쳐났다. 

그의 삶의 궤적을 따라가면서 길지 않은 시기 동안 남겼던 그의 그림들을 골고루 살펴보고 있다. 다양한 형태로 표현된 그림들 속에서 그의 외로움과 치열함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그의 삶 속에서 간절하게 표현된 그림들을 깔끔한 사진들로 풍부하게 감상할 수 있는 책이기는 하지만, 평면적인 분석과 작가에 대한 과도한 애정이 흘러 넘쳐서 오히려 그림 감상을 방해하는 측면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팝의 고고학 1960 - 탄생과 혁명 한국 팝의 고고학
신현준.최지선 지음 / 을유문화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군 부대를 중심으로 흘러 들어온 팝 음악이 한국에서 어떻게 뿌리를 내리게 됐는지에 대해 아주 자세하게 얘기하고 있다. 트롯으로 대표 되는 주류 흐름과 달리 도시의 청년층을 중심으로 뿌리내리고 확산된 팝 음악이 록과 포크로 분화되는 과정을 차분하게 설명하고 있다.

당시 자료를 꼼꼼하게 살피고 다양한 이들의 증언들로 살을 붙이면서 그 시대의 팝 음악의 흐름을 아주 훌륭하게 정리해 놓았다. 성공한 스타들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어서 무수한 무명 음악인들의 삶에까지 제대로 다다르지 못하고, 당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어떻게 음악이 영향을 주고 받았는 지에 대한 부분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한 시대의 음악 흐름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