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를 반성한다 - 어느 노인요양원 의사의 양심고백
나카무라 진이치 지음, 강신원 옮김 / 사이몬북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업화 된 의료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몸의 자연치유력을 믿으며 살아가자는 얘기다. 특히 노년의 경우 몸의 치유력이 약해지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이면서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며 살다가 자연스럽게 죽음을 맞이할 것을 주장한다.

많은 경험을 쌓은 끝에 얻은 의사로서의 결론이기에 경청할 얘기가 많은데 너무 강권하는 듯한 늬앙스여서 조금 거북하다. 다만 상업화 된 자본주의 의료시스템에 대한 비판과 대안으로서의 삶의 자세로서는 생각할 점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급망 붕괴의 시대 - 반도체칩부터 생필품까지, 글로벌 공급망의 숨겨진 이야기
피터 S. 굿맨 지음, 장용원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의 WTO가입과 적기생산시스템 등으로 대표 되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물결이 세계를 휩쓴 결과가 펜데믹이라는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붕괴됐는지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있다. 금융 자본과 거대 독점 자본의 이익을 중심으로 재편된 생산시스템과 공급망이 어떻게 산업생태계를 교란하고 노동자들과 영세상인들을 쥐어짰는지를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 결과 위기에 극도로 취약한 기형적 시스템이 만들어졌고, 그 시스템은 펜데믹이라는 위기 속에서도 거대 자본의 이익만을 위해 더욱 기형적으로 작동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세계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의 문제를 드러내기 위해 직접 발로 뛰며 취재를 했는데 그 방대함과 생생함과 치밀함이 놀랍기만 하다.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생생한 민낯과 그 시스템의 지구적 작동방식을 볼 수 있는 뛰어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웅크린 마음이 방 안에 있다 - 고립되고 은둔한 이들과 나눈 10년의 대화
김혜원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러 저런 한 이유로 마음의 문을 닫아 걸고 혼자만의 세계에 빠져든 이들과 만나고 교감 해왔던 경험들을 녹여냈다. 깊은 심연에 있던 이들과 어렵게 접촉을 하고, 그들의 얘기를 들으면서 조금씩 조금씩 긍정의 에너지를 만들어가는 과정들이었다.

당사자와의 교감과 소통 방식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가족들과 주변인들의 대처 방식, 사회적 접근 방식까지 다층적으로 설명하고 있어 이야기가 풍부하다. 

상대를 대상화 해서 관찰하고 분석하고 진단하는 방식이 아니라 서로의 마음이 가 닿을 수 있도록 교감하고 응원하고 기다려주는 방식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이런 접근 방식은 은둔형 외톨이만이 아니라 서로가 서로를 대하는 삶의 방식으로서 갖춰나갈 자세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소설이 궁금한 그대에게 - 시대의 감각을 깨우는 서른여섯 번의 노크
이경재 지음 / 득수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2~3년 사이에 발표된 한국 단편 소설들 중에 주위에 권할만하다고 생각되는 작품들을 골라 가볍게 소개하고 있다. 작품의 선정기준이나 작품에 대한 접근방식에서 성찰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평론이라기에는 가볍고, 책소개라기에는 진중한 면이 있어서 최근 한국 소설의 경향을 가볍게 살펴 보기에 적당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태원으로 연결합니다 - 이태원 참사, 재난 시민들의 작은 일상에서 깊은 애도까지
김혜영 외 지음, 공동체미디어 용산FM 기획 / 플레이아데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태원 참사를 가까이에서 목격하며 큰 충격을 받았고 지금도 그곳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유가족이나 생존자들에 비해 덜 주목 받지만 만만치 않은 트라우마를 오랫동안 겪어야 했던 이들이다. 그들의 힘겨움과 일상의 이야기를 이태원이라는 공간이 주는 의미와 함께 엮어내면서 좀 더 발전적으로 그 공간이 추모되고 새로운 활기를 되찾기 바라는 노력이 돋보인다. 그렇게 재난을 확대하면 연결이 더 넓어지고, 그 속에서 치유의 힘이 더 강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