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숭배와 자기확신, 지적 자신감이
정점에 달한 마틴.
그것에 대한 혐오와 전락이 예상되니 가엾다.
스스로 작가수업을 하는 장면은 세세하고 뜨겁다.

그에게서 내비치는 사랑의 징후들, 다정한 빛을 뿜어내는 눈, 떨리는 손, 햇볕에 그을린 얼굴에 어김없이 떠오르는 거뭇한 홍조를 그녀는 의식적으로 즐겼다. 심지어 더 나아가서, 조심스럽게 그를 충동질했다. 하지만 워낙 교묘했기 때문에 그는 전혀 알아채지 못했고, 그녀가 반쯤 무의식적이기도 해서 그녀 자신조차 거의 알아채지 못했다. 자신이 여자임을 분명히 보여 주는 그 힘이 입증되자 그녀는 전율했고, 그를 고통스럽게 하고 또 갖고 놀면서 태초의 이브와도 같은 기쁨을 누렸다. - P230

그는 자신이 명성보다는 아름다움을 사랑한다는 것을, 그리고 제 명예욕은 주로 루스를 위한 것임을 깨달았다. 그의 명예욕이 강하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그는 세상 사람들이 보기에 위대해지고 싶었다. 사랑하는 여자가 자신을 자랑스러워하고 훌륭하다고 여기게끔, 자기식 표현으로, ‘끝내주게 해내고 싶었던 것이다.
그 자신은 아름다움을 열정적으로 사랑해서 아름다움을 섬기는기쁨만으로 보상은 충분했다. 그런데 그는 아름다움보다 루스를 더사랑했다. 그에게 사랑은 세상에서 가장 멋진 것이었다. 그의 내면에 혁명을 일으켜 투박한 선원에서 학생이자 예술가로 바꿔 놓은 것이 사랑이었다. 셋 중에서 가장 멋지고 위대한 것, 배움과 예술적 숙련보다 더 위대한 것이 사랑이었다. 자신의 지성이 루스의 동생들이나 그녀 아버지의 지성을 능가했듯이, 그녀의 지성도 능가했음을 그는 이미 알고 있었다. 대학 교육의 모든 이점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문학사 자격증 앞에서도, 그의 지적 능력이 그녀의 지적 능력을 넘어섰다. 일년가량의 독학과 작가 수업이 그녀로서는 엄두도 내지 못할 만큼 세상사와 예술과 인생에 통달하게 해 주었다. - P257

사랑을 숭배했다. 사랑은 이성의 저지대 너머 산꼭대기에 있었다. 존재가 승화된 상태, 삶의 최절정인 사랑은 드물게 오는 법이었다. 그가 애독하는 과학적인 철학자들 덕분에 그는 사랑의 생물학적 의미를 알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같은 과학적 추론을 정교하게 진전시켜, 인간의 생체는 사랑으로 그 최고의 목적을 달성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사랑은 따져서는 안 되고, 삶이 주는 최고의 보답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는 연인이 어떤 생명체보다 축복받은 존재라고 여겼다. 지상의 사물들 위로, 부유함과 평가와 여론과 박수갈채 위로, 삶 자체 위로 떠 오르면서 ‘입맞춤으로 죽어가는, 신이 선택한 연인‘들을 생각하는 건 즐거운 일이었다. - P258

작가 수업에 있어서 그는 진일보했다. 이름난 작가들의 작품을 읽으면서 그들이 이룬 결실을 빠짐없이 기록했으며, 그들의 성공 비결인 내러티브, 설명, 문체, 시점, 경구를 알아냈다. 그리고 이 모두를공부 목록으로 만들어 두었다. 그는 그것들을 모방하지 않았다. 원칙을 파헤쳤다. 많은 작가들의 작품으로부터 추려낸 효과적이고도설득력 있는 기법의 목록을 만들어, 기법의 일반적 원칙을 도출했다.
그럼으로써 자기만의 새롭고도 독창적인 기법들을 찾아냈고, 그 기법들을 재량껏 평가할 수 있었다. 그는 비슷한 방식으로 강렬한 문장들, 살아 있는 언어로 된 문장들, 산(酸)처럼 자극적이고 불길처럼통렬한 문장들이나, 일상 언어의 무미건조한 사막 한가운데서 빛나는 감칠맛 나고 달콤한 문장들의 목록을 모았다. 그는 언제나 그 배후와 저변에 깔려 있는 원칙을 찾으려 했다. 무엇이 어떻게 되는지를알고자 했다. 알아낸 후에는 스스로 해낼 수 있었다. 그는 아름다움의 말끔한 얼굴에 만족하지 않았다. - P262


댓글(4)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cott 2022-09-09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아름다움의 말끔한 얼굴]로 마틴 에덴 열독 중이신 프레이야님
추석 연휴 평안하게!

보름달 여기 놓고 갈께여 ㅎㅎ
∧,,,∧
( ̳• · • ̳)
/ づ🌕

프레이야 2022-09-09 12:24   좋아요 1 | URL
마틴이 그 얼굴을 해부하기 시작하네요 ㅎㅎ 새파랑 하늘에 흰구름 두둥실
스캇님 대문 리모델링 공사
눈이 시원합니다.
오늘 이곳 하늘도 구름이 멋져요.
냐옹 보름달이군요 골드문~ 🌝
님에게도 동그란 마음 전합니다. ^^

페크pek0501 2022-09-13 1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틴 에덴, 저는 집에서 영화로 보려고 정해 놨어요. 작가가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궁금해요.^^

프레이야 2022-09-13 13:18   좋아요 1 | URL
영화엔 압축적으로 연출되었지만 잘 담았습니다. 영상도 아름답고 특히 인물의 얼굴풍경을 들여다보는 맛이 찰집니다.
 
완전한 행복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리아 마리아 사랑하는 마리아
……서러운 마음에 꽃을 심었네.

그녀는 진저리를 쳤다. 지옥이 아니라 지옥의 지옥까지도 따라올 꽃 노래의 정체가 뭔지 깨닫는 순간이었다. 저것은 아버지의 노래가 아니었다. 스스로 부르는 노래였다. 자라는 내내, 독립한 후에도, 삶의 순간순간마다 자신을 향해 걸었던 주문이었다. 아무것도 하지 말고 물러서라고. 그러면 평화가 오리라고.
더하여 새삼스러운 진실 하나를 깨달았다. 자신이 유나에게 당하고만 살아온 이유가 무엇인지. 스스로 당하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당하고 물러서야 아버지의 착한 딸로 남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사력을 다해 맞대응하는 순간 아버지의 신뢰를 잃게 될 것이기 때문이었다. 아버지가 믿는 딸이 될 때 비로소 가치 있는 사람이라 여겼기 때문이었다.
자신은 유나와 다르지 않았다. 자신을 움직이고 있는 것 역시 여덟살짜리 어린아이였다. 꽃 노래를 부르는 아이의 망령이, 죽음의 위기에 도달한 이 순간까지 자신의 사지를 결박하고 있다는 점에서. - P5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적 자료를 집요하게 찾고 그것에 근거해
흔들리지 않고 기울지 않고 쓰고자 한 마음이 느껴진다.
말을 아낄 수밖에 없는, 소설가 김훈의 방식.

방아쇠를 당길 때, 오른손 검지손가락 둘째 마디는 몸의 일부가 아니라 홀로 독립된 생명체였다. 둘째 마디는 언제 당겼는지도 알 수 없는 적막 속에서 스스로 직후방으로 작동해서 총알을 내보냈다. 그러므로 이토를 조준해서 쏠 때 이토를 죽여야 한다는 절망감과 복받침, 그리고 표적 너머에서 어른거리는 전쟁과 침탈과 학살과 기만의 그림자까지도 끊어 버리고 둘째 마디의 적막과 평온을 허용해야 할 것이었다. - P159

-필요한 몇 가지를 말하겠다. 내가 이토를 죽인 까닭은 이토를 죽인 이유를 발표하기 위해서다. 오늘 기회를 얻었으므로 말하겠다. 나는 한국 독립전쟁의 의병 참모중장 자격으로 하얼빈에서 이토를 죽였다. 그러므로 이 법정에 끌려 나온 것은 전쟁에서 포로가 되었기 때문이다. 나는 자객으로서 신문을 받을 이유가 없다. 이토가 한국 통감이 된 이래 무력으로 한국 황제를 협박하여 을사년 5개 조약, 정미년 7개 조약을 체결하였다. 이것을 알기 때문에 한국에서 의병이 일어나서 싸우고 있고 일본 군대가 진압하고 있다. 이것이야말로 일본과 한국의 전쟁이라 하지않을 수 없다……..

-그렇게 깊이 나간다면 공개를 제지할 수밖에 없다. 방청인들은 모두 퇴정······

진술을 제지하고 방청객들을 내보낼 때마다 마나베는 위기를 느꼈다. 사실관계를 파고들수록 정치성이 드러나고 있었고, 외국 언론들의 관심은 높아졌다. 마나베는 서둘러서 모든 일을 끝냈다. - P238

안중근 사건의 신문과 공판 기록은 소설적 재구성을 용납하지 않을 만큼 완벽하게 긴장되어 있다. 그 짧은 문답 속에는 고압전류가 흐르고 있고, 그 시대 전체에 맞서는 에너지가 장전되어있다. 이런 대목들은 기록의 원형을 살려나갔다. 조도선曹道先,
1879~1928, 유동하夏, 1892~1918 안중근의 조력자로 하얼빈에 동행했었고, 재판에서도 실형을 선고받았으나, 안중근 거사와 직접 관련성이 낮다고 생각해서 소설의 구성에서 제외하였다.
- 작가의말 중 - P30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irst_박쥐 각본집의 마지막 부분이다.
2009년 개봉관에서 관람했었다. 다시 봐야겠다. ^^
목포에 노래비가 있는 가수 이난영의 옛 노래는 영화 엔딩에서는 기억에 없다. “고향” 2절 가사다.
기억이 가물가물하다.
다이어리처럼 작고 얇다. 본문 글자도 작다.
표지가 몽환적이다.
오필리어의 죽음을 그린 그림이 연상된다.
오필리어 주검 주변에 떠 있는 꽃들, 그 갈망과 욕망.
박 감독은 이 영화가 난해하다는 말은 인정 안 된다고 했다.
감독 스스로 어린 시절 내면의 경험이 담겨 있다고 한 이 영화에 감독님의 가장 많은 살과 피가 들어 있는 것 같다고 정서경 작가는 생각했다는데, 그게 영화가 끝나고 나서 외적 결과와 상관없이 흔들리는 감독의 모습을 보았을 때라고 한다.
아래 장면, 저너머 수평선 위로 떠오르는 해를 나란히 앉아 바라보던 영화 엔딩 장면이 생각난다. 여기서 환상적으로 변용된 일출 장면은 상현의 상상적 시점이었군. 파랗게 타오르는 거대한 태양. 고래들이 뿜어올리는 피 분수. 숯덩이가 되어가는 남녀.
두 육신의 소멸을 관찰하는 라여사의 이글대는 눈동자…

압권이다!

서서히 장엄하고 위압적으로 떠오르는 해를 노려보는 상현의 눈동자, 모세혈관이 일제히 터지면서 안구를 붉게 물들인다. 피눈물이 흘러내린다. 상현의 상상적 시점으로, 환상적으로 변용된 일출 장면. 파랗게 타오르는 거대한 태양에서 칼날처럼 뾰족하게 사방으로 뻗치는 햇살,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기묘한 빛깔들로 이루어진 뭉게구름, 피로 이루어진 바다에서 고래들이 뿜어 올리는 피 분수, 날개 달린 거대 지네들이 무리지어 날아다니는 하늘, 수십 명의 인간이 각기 다른 멜로디로 부르는 합창. 환몽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차 꽁무니에서 본 모습-앞창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햇빛. 라여사 뒤통수 너머로 역광을 받아 실루엣으로 보이는 상현과 태주. 고통스러운 비명을 지르면서 몸부림치는 태주를 꼭 끌어안는 상현. 차를 들썩이며 숯덩이가 되어가는 남녀, 깜빡거리지도 않고 이 소멸을 관찰하는 라여사의 싸늘한 눈동자. 그러거나 말거나 옛 노래는 무심히 흐른다.

이난영

정들은 고향 길에서 순정에 어린 그대와 나는
언제나 변치 말자고 손잡고 맹서했건만
그대는 그 어데로 갔는가, 잊지 못할 추억만 남기고
정들은 고향 길에는 구름만 흘러갔고나.... - P12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희선 2022-09-08 0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만 아는 영화예요 많은 영화가 그럴 것 같습니다 앞에 제목이 쓰여 있지 않네요 각본은 전에도 나왔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영화는 예전부터 각본이 나왔을까요 언젠가 영화 시나리오가 여러 편 묶인 책을 샀는데, 다 못 본 것 같기도 합니다


희선

프레이야 2022-09-08 10:41   좋아요 1 | URL
이 영화 특히 각본이 좋으네요
표지도 이쁘죵
아가씨 각본집도 사야겠어요 ^^
 

집을 짓는 일은 삶을 짓는 일이다.
주변의 삶과 풍경도 달라지는 일이다.

건축가로서 예수의 삶. 이 상상에 이른 나는 급기야 건축가의 바른 태도를 다시 묵상했다. 건축은 우리의 삶을 이루게하는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수단이니 건축 설계는 우리의 삶을 조직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따라서 건축 설계를 하는 건축가는 인간의 생명과 그 존엄에 대해 스스로 진실하고 엄정해야 하므로 심령이 가난해야하고 애통해야 하며 의에 주려야 한다. 특히 다른 이들의 삶에 관한 일을 하니 화평케 해야 하고 온유하고 긍휼하며 청결해야 한다. 바른 건축을 하기 위해 권력이나 자본이 펴 놓은 넓은 문이 아니라 고통스럽지만 좁은 문으로 들어가야 한다. 스스로를 깨끗게 하여 거룩한 것을 개에게 주지 않아야 하며 진주를 돼지에게 던지는 일을 거부해야 한다. 모든 사물에 정통하고 박학하고자 뱀같이 지혜롭고 비둘기같이 순결해야 한다.
결단코 불의와 화평하지 않아야 하며, 때로는 그런 행동 때문에 집이나 고향에서도 비난받을 각오가 되어 있어야 한다. 사람 사는 일을 알고자 더불어 먹고 마셔야 하지만 결코 그 둘레에 갇혀서는 안 된다. 스스로를 수시로 밖으로 추방하여, 광야에 홀로 서서 세상을 직시하는 성찰적 삶을 지켜야 한다. 오로지 진리를 따르며 그 안에서 자유하는 자, 그가 바른 건축가가 된다. - P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