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물 소리, 황석영, (주)자음과모음
2012년 12월 21일 녹음 시작, 현재 64쪽까지 완료
김훈의 '남한산성'과 거의 비슷한 색상의 표지다.
이신통이라 불리는 이야기꾼을 추적하며 그의 일생을 독자에게 전하는 화자는 연옥이라는,
관기 출신 객주집 여인의 젊고 맹랑한 딸. 아직은 서두만 녹음했는데 이어질 이야기가 흥미진진할 것 같아
두근두근 기대 중이다. 술술 맛깔나게 물고 물리며 풀리는 문장들, 읽기가 즐겁다.
이야기꾼 이야기를 쓰겠다고 작정하고, 처음에는 19세기 쯤에 갖다놓고 그냥 허황한 민담조의
서사를 스려고 했는데, 막상 시작해보니 우리네 그맘때의 현실의 무게가 만만치 않았다.
올해는 대선까지 있어서 더욱 실감할 수 있지만, 돌이켜보면 '근대적 상처'의 잔재가 지금도
우리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중략)
이야기란 무엇인가, 무엇 때문에 생겨나나, 무엇을 위해 존재하나, 어떤 것이 남고 어떤 것이 사라지나,
다른 무엇보다도 이야기를 만든 이들은 어떻게 살았고, 무슨 생각을 했을까. 이들이 각자의 당대를 어떻게 살아냈으며
어떻게 죽어갔는지 알 길은 없으나 이들이 남긴 수백 종의 언패 소설과 판소리 대본과 민담, 민요 등등은
눈보라 속을 걷는 나에게 먼저 간 이가 남긴 발자취와도 같았다.
- 작가의 말
너 없는 그 자리, 이혜경, 문학동네
2012. 12. 5 녹음 시작 12월 17일 완료(총 274쪽, 17시간 소요)
9개의 단편 모두 뒤에서 비수를 꽂는 느낌이다. (내 등에 비수가 꽂히면 그런 느낌일 것 같다)
아흔다섯 해 평생을 살아오신 시댁 쪽 노할머니가 요양병원에 계신다.
정신이 오락가락 사람을 알아보기도 못 알아보기도 하며 그곳에서 여생을 이어가고 계신다.
나는 그분을 21살에 처음 뵈었고 그후 자주 뵐 일이 없었다. 집안의 두번째 할머니였으니.
신산한 삶을 사셨을 가여운 그 할머니이 최근 가족에게 하셨다는 말씀을 전해 듣기로는 이렇다.
"사람 한 평생이 참 가소롭다" 끌끌 혀를 차듯 그렇게 한 마디 하시더란다.
<너 없는 그 자리>가 들려주는 우리네 초라한 사람의 생은 어쩜 이리도 시덥잖은지,
어쩜 이리도 가엾은지... 이제 살았구나 하면 죽음이, 이젠 딱 죽겠구나, 하면 부활이.
그렇다고 해서 절망보다 더 절망스러운 희망 한 가닥을 붙잡지 않을 수도 없는,
알고도 속고 모르고도 속는 참으로 가소로운 생.
"선생님, 저는 왜 미쳐지지도 않는 걸까요?"
(꿈길밖에 길이 없어, 중 마지막 문장, 190p)
덧)
'어린이문예'와 '부산이야기'(2013년 1,2월) 그리고 2013년 1월 점자도서관 ARS 생활건강상식까지 녹음했다.
이런 읽을거리들은 봉사자들이 나누어 읽고 서두에 낭독자명을 밝힌다.
'어린이문예'는 부산 MBC에서 매월 발행하는 어린이 대상 책자, '부산이야기'는 부산 시청 미디어센터에서
발행하는 잡지로 다양한 문화콘텐츠와 도시의 숨은 명소나 유익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 숨은 장소들 등을
소개하는데 시인 및 객원기자들의 글이 대부분이다.
생활건강상식, 이번에는 원형탈모에 관한 내용이었다.
원형탈모도 일종의 자가면역체계 이상 증상이다.
스트레스성이 많으니 잠을 푹 자고 스트레스 받지 않는 게 중요하다는 처방.
이미 진행이 된 경우는 병원에서 꾸준히 관리를 받고 클리닉 제품도 꾸준히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한다.
스트레스 받지 않는 환경을 스스로 마련하고 즐거운 마음으로 사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겠다.
올해 얼마 남지 않은 날은 물론 새해에도 행복한 마음으로 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