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에 Petra Magoni와 Ferruccio Spinetti의 'MUSICA NUDA'를 들었다.

 

 

 

 

 

 

 

 

 5번째 곡 "I wil survive."

 

 

 

 

 

이 노래를 듣는데 왜 뜬금없이 안나 카레니나의 "나를 죽일 거야"가 떠올랐을까.

 

 

 

 

  비비안 리의 <안나 카레니나>

 

디비디로 봤는데 상품이 뜨질 않는다.

 

제정 러시아 시대, 권력과 위선의 시대에 심장이 하는 말에 따라 살기 위해 달려오는 기차에 몸을 던진 안나 카레니나.

"위선은 들키지 않는 것이 황금률이지."

어느 권력자의 자조적이며 냉소적인 말과 대조적으로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고 열정과 모성 사이에서 괴로워하다

온전한 사랑을 얻지 못하는 고통을 감내하기 어려워 스스로 자멸하는 안나의 말 "나를 죽일 거야",

강렬하다. 진심으로 살아가기가 허락되지 않는 세상. 죽음으로 자신을 구한 안나는 사라지고 무엇이 남았을까.

흑백필름 속 비비안 리는 예전에 보았던 소피 마르소의 안나보다 훨씬 비운의 그림자가 짙고 애련함을 불러온다.

 

"영혼의 불꽃이 드디어 그녀 인생의 어느 한 편을 비추고, 그 불꽃은 한동안 명멸하다가 영원히 암흑으로 사라진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자막에 흐르던 문장이다.

 

소설 '안나 카레니나'의 그 유명한 첫 문장도 영화 서두에 나왔다.

번역이 조금씩 다르지만 내가 마음으로 기억하는 문장은 이런 것.

"모든 행복한 가정은 비슷비슷한 이유로 행복하지만 모든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의 이유로 불행하다."

 

 

키이라 나이틀리 2012

 

많은 안나 카레니나가 있었는데 키이라 나이들리는 어떤 안나 카레니나로 다가올지...벌써부터 기대된다.

 

 

 

 

문학동네 표지가 예쁘다. 반양장 3권까지 나와있다.

 

문학동네 첫 문장은 이렇다.

"행복한 가정은 모두 고만고만하지만 무릇 불행한 가정은 나름나름으로 불행하다."

 

 

 

 

 

 

 

 

 

안나 카레니나를 보며 세브린느가 떠오른 것은 무슨 연관성의 작용인지...

유월도 어느새 3주째를 맞은 오늘, 벌써 장마를 예고하는 빗방울 후둑거리더니 고즈넉한 초여름밤, 와인에 젖는다.

프랑스 초현실주의 감독 브뉘엘의 <세브린느 Bell de Jour>(1967). 아름다운 까뜨린느 드뇌브 주연.

 

 

영화 내내 배경음악도 없고 차갑고 메마른 느낌인데,

초반부터 강렬한 영상에 영화는 상상과 현실을 자유자재로 넘나든다.

어릴 적 성적 트라우마로 정상적인 부부관계가 되지 않고 성적 판타지도 갖고 있는

우아하고 지적인 세브린느가 기이한 성적 체험을 통해 판타지에서 빠져나와 자신의 소중함을

알고 진정한 사랑도 깨닫게 되는 이야기다.

 

Belle de Jour, '한낮의 미녀'는 원제이기도 하고 영화 속 세브린느가 갖게 되는

애칭이기도 하다.

 

 

 

 

 

 

궁극적으로 주어진 삶을 살아남기 위해선 피할 수만은 없는 어떠한 강을 맨몸으로 건너야 하는 건지도 모르겠다.

그 강이 아름답지 않다고 물살이 너무 거칠다고 때로는 너무 지루하다고 불평한들 소용없을 터,

그저 몸을 담그지 않고는 그 강을 건너갈 수 없는 것인지도. 남는 건, 강 이쪽과 저쪽의 문제일지도.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클 2012-06-18 2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멋진 안나 카레리나 페이퍼를 읽으며 카레를 떠올리는 사람도 있어요 ㅠㅠ

프레이야 2012-06-18 23:12   좋아요 0 | URL
저처럼 뜬금없으시군요, 야클님.ㅠㅠ
저는 비 때문, 와인 탓이지만요.ㅎㅎ

비로그인 2012-06-18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와인 따놓은 건 있는데.. 한 두세시까지는 일해야 돼요. ㅜ.ㅜ
내일은 종일 졸게 생겼고 모레는 건강검진이네요. 아, 즐거운 일은 어드메 쯤에 있으려는지.

프레이야 2012-06-19 00:37   좋아요 0 | URL
히히, 적당히 취하고 좋아요.
밤늦게까지 일하는 만치님^^
내일 적당히 쪽잠이라도 낼 시간 있으면 좋을텐데요.
모레 건강검진.. 별이상 없길요. ㅠㅠ

비로그인 2012-06-18 2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저 몸을 담그지 않고는 그 강을 건너갈 수 없는 것인지도..라는 말씀은 파울로 코엘류의 brida 중에서


Whenever you want to find out something, plunge straight in
당신이 무언가를 발견하기를 원할 때면 언제든, 그 안에 맹렬히 빠져들어야 한다.
는 글귀를 연상시킵니다.

온몸으로 겪어내고 난 후의 남는 것들..

언젠가 드라마의 한 대사중 눈물뒤에 남는 것이 있다면 그것이 사랑이다 라는 말도
이제서야 어렴풋이 이해됩니다.

사는 일들인가봐요. 프레이야님.
이 모든 것들이 바로 사는 일.. 산다는 일 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프레이야 2012-06-19 00:43   좋아요 0 | URL
코엘료의 '브리다' 낭독녹음 했던 책이에요. ^^
밑줄긋고 싶은 구절이 많았던...
님,영문으로 읽으셨군요.

눈물 뒤에 남는 것이 사랑... 사랑은 참 많은걸 담보로 하네요.
그 모든 걸 다 이겨낸 후에도 남는 게 있다면 그게... 그렇군요.
쉽게 말할 수 있는 게 아닌것들 중에서도 최고.^^

blanca 2012-06-19 0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비비안 리도 안나 카레니나를 연기했었군요! 저는 소피 마르소의 안나 카레니나만 봤어요. 키이라 나이틀리는 안나 카레니나를 어떻게 연기할지 기대되어요. 저는 안나가 자살하고 소설이 끝나지 않고 계속 이어져 레빈의 생각으로 끝을 맺어 더 감동을 받았던 것 같아요. 정말 실화 같았어요. 아, 빨리 비가 내렸으면 좋겠어요, 프레이야님. 어젯밤은 열대야가 와서 저랑 딸애랑 밤새도록 선풍기 틀고 잠도 못 잤어요--;;

프레이야 2012-06-19 10:17   좋아요 0 | URL
비비안 리의 안나 카레니나, 흑백필름이에요. ^^
키이라 나이들리는 현대적으로 더 도발적으로 그려지지 않을까 혼자 생각해보며 기대 중이에요.
블랑카님, 그곳은 열대야가 벌써요???ㅠㅠ 여긴 어제도 오늘도 부슬부슬 초여름 장맛비가 시작되고
있어요. 조용하고 촉촉한 마음으로 커피 두 잔째랍니다.^^
벌써? 장마라는 말은 성급한가싶어 날짜를 떠올려보니 아, 그럴 때가 되었더라구요.
세월이 왜 이리 빨리 간대요. 더위를 견디기가 점점 쉽지 않던데 올여름 또 어쩌나 싶어요.ㅠ

이진 2012-06-19 2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아직도 안나 카레니나가 그렇게나 유명한지 모르겠어요. 크크. 테스도 저저번주에 처음 들어본 저인걸요.
나를 죽일거야, 는 상당히 인상적인걸요. 아. 읽어보고 싶어요. 방학 때 읽어볼까, 생각중이예요.
아리랑도 읽어야하는데.

프레이야 2012-06-20 09:48   좋아요 0 | URL
이진님 읽을 거 무지 많지요. 저도 그래요.ㅎㅎ

2012-06-20 2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나 카레니나, 무척 잘 쓴 소설이라고 소문만 들었어요. 톨스토이는 대단한 사람인 것 같아요. 그 사람의 주요 관심은 언제나 윤리적인 것에 있었지만, 정작은 소설가로서도 빼어나니 말입니다. (저로서는 불균형한 삶에 대한 소문을 먼저 들어서 잘 알지도 못하면서 괜히 거리감을 가지고 있지만요..)

프레이야 2012-06-20 23:56   좋아요 0 | URL
불균형한 삶, 톨스토이만이 아니라 대개는 그렇지 않을까 싶어요.
대문호들의 삶이든 평범한 사람들의 삶이든 그 자체가 소설감이지 않을까 싶구요.^^
안나 카레니나는 수없이 영화로 나오면서 상상력을 더 부추겨주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