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에서 편찬한 <부처님의 생애>를 녹음중이다.
회원신청도서인데 절반쯤 했다.
발음하기 어려운(우스운^^) 고유명사가 많은데 전체적 내용이 좋다.
괴로움은 그 원인이 반드시 있는 법, 그 고리를 끊지 않는 한 인연의 번뇌는 계속 되리.
"사랑과 은혜는 근심과 슬픔의 근원이다."
퇴원하는 엄마를 보러 작은딸이랑 오전에 갔다.
혈뇨는 멈추었지만 주사도 더 맞아야하고 궤양은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할 거다. 아이를 두고 점자도서관에서 녹음하고 다시 갔더니
외손녀가 오랜만에 왔다고 장봐서 고기 구워줬나 본데, 당신은 잘 먹지 않는 음식이다.
얼굴이 창백해보인다. 일곱살짜리 손자가 더 놀아달라고 할머니를 보채고 있었다.ㅠ
어제는 토미 바이어의 "행복에 관한 짧은 이야기"중 오독한 단어가 있는 문장만 골라
수정녹음을 했는데, 처음 읽을 때 내가 밑줄 그어놓았던 문장이 다시 눈에 들어왔다.
|
|
|
|
이제 우리를 이어주는 것은
서로에 대한 욕망과 넋을 잃은 찬탄과 고통스러운 그리움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서로의 일부라는 믿음이다.
우리가 있어야할 장소, 있어야할 시간에 있으며,
같은 상황을 괴로워하고 같은 일로 웃고 상대의 느낌을 알고
상대에게 힘든 일이 생기는 걸 원치 않는다는 믿음.
- 144쪽
|
|
|
|
|
동시에, 김훈의 '내 젊은 날의 숲'도 일차편집 시작했다. 서사보다 역시 김훈의 글은 재독할 때 문장에 더 기울어진다.
그중 또 내가 밑줄 그어놓은 문장들이 파고든다.
|
|
|
|
포승줄에 묶여서 고속도로를 여섯 시간 실려가면 남해안의 교도소가 나오듯이,
천국이라는 물리적 공간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은 아닐 테지만,
혹시라도 그와 유사한 마을이 있다면 사람이 여자의 자궁 속에 점지되어 탯줄로 연결되거나
사람끼리 몸을 섞어서 사람을 빚고 또 낳는 인연이 소멸된 자리가 아닐까.
옛사람들이 孝를 그토록 힘주어 말한 까닭은 점지된 자리를 버리고 낳은 줄을 끊어내려는 충동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숨어서 불끈거리고 있는 운명을 보아버렸기 때문이 아닐까.
내세라는 낯선 시간의 나라가 있다면 거기서는 포유류로 태어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했다.
-17쪽
|
|
|
|
|
기숙사에서 큰딸을 데리고 나와 어둠이 짙게 깔린 겨울의 황량한 거리를 달려왔다.
서로 말도 잘 안 하는 두 딸을 태우고 나혼자 여기 말 걸었다 저기 말 걸었다 그러며..ㅎ
배철수가 '비정성시'를 말하는데 나는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전생이나 후생이라는 낯선 시간이 있다면 나는 무엇이었을까?
왜 생물이나 무생물만 생각했을까, 나도 음악이나 그림, 아니면 그냥 북소리, 아니면 그냥 춤이었으면...춤...
'나'가 아닌 어느 자유로운 영혼이 추는 춤이었으면...
익숙한 모든 것들과 진정 이별할 수 있을 때 진정 자유로워질 수 있을 것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