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 선발에 관련한 연수를 4일간 들었다.

영재라 하면 똑똑한 아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내게 그들이 지녀야 할 다른 영역이 있음을 알게 해 주었다는 데에 의미가 있었다.

창의*인성이 짝을 이루고 등장했을 때 나는 참 의문스러웠다. 똑똑한 것과 인성이 무슨 관계가 있을까? 하고 말이다.

지적인 부분을 강조하다 보면 인성적인 면에 소홀할 수 있고, 진정한 리더로서의 성장은 결국 인성적인 면을 통해 완성된다는 것을 그저 어렴풋이 알게 되었는데, 이번 연수를 통해 그런 부분이 조금 더 정리되었다.

영재 교육 대상자들에게서 발견되는 특징은 창의력과, 지적 능력과 아울러 과제 집착력(과제 몰입력)을 들 수 있다. 물고 늘어지는 근성이 있어야 한다는 거다.

또한 지도력이라 하면 아이가 무슨 말을 하든지 아이들이 그 말을 들어주고 따라주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진정한 지도력이라는 것은 그것 보다는 조금 더 고차원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모둠 활동을 하면 반드시 분쟁의 불씨가 되는 아이가 있다. 반면, 항상 모둠활동을 긍정적으로 이끄는 아이가 있다. 목소리도 크지 않은데 말이다. 올해 전자와 후자의 아이가 한 모둠이 되었다. 그 모둠의 모둠활동 결과가 참으로 궁금했는데, 서로 조정하면서 남의 기분을 배려하면서 모둠활동을 잘 이끌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양보와 설득을 통해 타협점을 찾아가는 아이를 보면서 진정한 리더의 자격이 있음을 알았다. 리더십이란 타협과 조정을 이끌어내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보았다.

 

 이제석이라는 분의 예를 많은 분들이 들었다.

실제 인물을 모델로 한 TV 드라마가 있었다고 한다.

'광고천재 이태백'이라는.

젊은 광고천재 이제석은 노벨평화상을 받는 꿈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광고와 노벨 평화상의 상관 관계란? 책을 통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으리라 본다. 학벌 위주 사회에서 그의 능력을 바로 읽어주지 못했던 우리 나라의 현실은 앞으로도 쉽게 바뀌지는 않을 듯하다. 그래도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설명을 통해 천천히, 아주 천천히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걸어 본다. 올해 대학을 들어간 동료 교사의 아이는 한 우물을 판 덕에 입학사정관 제도의 혜택을 받고 S대에 입학하였고 가까이에 이런 긍정적인 사례들이 보이는 걸로 봐서 우리 대학 다닐 때와는 달라진 것이 어렴풋이 느껴진다.

입학사정관제도 하에서는 자기소개서와 추천서가 아이를 이해하는 중요한 잣대가 되는데, 이 둘이 아무리 완벽하다고 해도 면접에서 학생의 의욕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탈락할 수 있다고 한다. 스스로 준비한 아이와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진 아이는 면대면에서 표가 난다고 한다. 전문가들의 눈은 분명 매서울 것이다.

그런데 고민도 있다. 소극적이고 내성적인 아이들은 자신감 표출이 잘 되지 않을 수도 있을텐데 하는 고민.

100% 만족스러운 선발이란 어렵겠지만, 더 나아지기 위한 연구와 시행착오가 있는 것 같다. 영재 선발이 담임 추천제로 바뀌면서 상당한 혼란이 있었지만, 무언가 바뀌기 위해서는 이런 과정을 거쳐가야하지 않을까 싶다.

이 연수는 반 아이들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하니 이어질 다음 번 연수도 도전해 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