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뻐의 비밀 사계절 동시집 20
이안 지음, 심보영 그림 / 사계절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 수업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많은 시집을 사 모았다. 

교과서 시들은 생각보다 재미가 없어서 가르치는 것도 재미가 없다는 생각을 하곤 한다. (감히 이런 건방진 생각을!!!)

시집을 읽다 보면 모두가 다 좋지는 않지만, 

여기저기 띠지를 붙이고 싶은 시 여러 편을 만나게 된다. 

시집을 읽은 아이들도 자신의 경험과 맞닿아 있는 좋은 시를 잘 찾아낸다. 

2학년 아이들과 아침독서 시간을 이용하여 시집을 읽고 마음에 드는 시들을 옮겨 적는 활동을 한 적이 있다. 

시 읽기 단원을 할 때 자기가 좋아하는 시 소개하기를 해 보자고 하니 

메모해둔 시를 뒤적이며 서로 소개해 보겠다고 손을 들어 수업을 무척 활기차게 했던 기억이 있다. 


나도 시집을 읽을 때면 마음에 드는 시들을 찾아 아이들에게 소개해 주고 싶어 따로 메모를 해 두곤 한다.

마음에 드는 시들이라도 메모해 둔 걸 다시 펼치지 않으면 시 내용이 떠오르지는 않는다. 

웬만해서는 그렇다. 

그런데, 이 시집에서는 저절로 떠오르는 시 몇 편을 만났다. 

물론 일부러 외우려고 하지 않았기 떄문에 암송할 수는 없다.  

그래도 어떤 시가 있었다~ 정도는 떠오른다. 


표제시인 <기뻐의 비밀>은 정말 마음에 든다. 

이 시를 읽은 다음 날, 아침 모임 하면서 아이들에게

"이런 재미있는 시를 만났단다."라며 시 내용을 들려 주었다. 

책은 집에 있어서 읽어줄 수는 없었다. 시가 마음 속으로 콕 들어와 박혔다. 

이 시, 소개 안 할 수 없다. 


<기뻐의 비밀>


내가 기뻐의 비밀을 말해 줄까?

기뻐 안에는 

이뻐가 들어 있다. 

잘 봐

왼손으로 '기'. 오른손으로 '뻐'를 잡고

쭈욱 늘리는 거야

고무줄처럼 말이야

기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뻐

어때, 진짜지?

기쁘다고 너무 뻐기다가

기뻐를 끊어 먹지 않도록 조심해

너도 알다시피, 

길다고 꼭 좋은 것만은 아니이잖아?

기뻐가 끊어질 땐 무지 따끔해

어쩔 땐 찔끔 눈물이이 나아


--------------------------------


아래에는 내가 패러디 해 본 거다. 


<이 시의 지은이는>


내가 이 시의 지은이를 말해 줄까?

시를 읽으며 시인의 이름을 모르는 건 

미안한 일이지

미안 속에는 시인의 이름이 들어 있다

잘 봐

왼손으로 '미', 오른손으로 '안'을 잡고 

쭈욱 늘리는 거야

고무줄처럼 말이야

미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안

어때, 진짜지?


--->아이들에게 '미'와 '안'을 잡고 주욱 늘리면 시인의 이름이라고 이야기 해 주니 다들 "이안이오!"하고 잘 맞춘다.


이안 시인의 시는 재미있다. 

그의 다른 시집도 찾아 읽어보면 그렇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6월 공개수업에 시그림책 읽기를 할 건데, 

그 전에 시집 읽기를 해 보아야겠다. 

다행히 올해 아이들은 시집 읽기를 권하지 않았지만 곧잘 읽곤 한다. 


내일은 이 책 들고 가서 누가 먼저 읽나 가위바위보 해야겠다. 


이 시집 속의 또 다른 좋은 시들은 직접 찾아 읽어보셨음 좋겠다. 

좋은 시를 만나고 기분이 좋아질 수 있을 지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가 없다고? 사계절 동시집 17
권영상 지음, 손지희 그림 / 사계절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난 이 시집이 참 마음에 들어서 한 권을 사기로 했다. (도서관에서 빌린 거라.)

'도깨비'를 소재로 한 책을 여러 권 빌렸다.

특이하게도 시집이다.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부가 끝날 때마다 도깨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소개하고 있다.

각 시들은 도깨비와 관계가 있다.

도깨비 이야기가 한 편의 시가 되기도 하고,

무심히 도깨비라는 단어를 넣어 두었는데 또 그게 기가 막히게 말이 되고, 새로운 이야기가 된다.

시집을 이용한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한다면 이 책을 이용해 보면 참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도깨비 관련 된 책 도서관에서 찾아보기

-도깨비 이용해서 시 지어 보기

-도깨비 옛이야기 조사하기

-우리나라의 도깨비 특징 알아보기

-도깨비로 바뀔만한 내가 가진 옛 물건 소개해 보기

-도깨비 이야기 만들어 보기

재미있겠다.

시집을 읽기 전에 도깨비 이야기 여러 편 만나보는 것도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몸무게는 설탕 두 숟갈
임복순 지음, 신슬기 그림 / 창비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탕 두 숟갈의 무게는 얼마일까?

-표제시에 의하면 25그램이다.

 

    몸무게는 설탕 두 숟갈

임복순

 

설탕 두 숟갈처럼

몸무게가 25그램밖에 나가지 않는

작은 북방사막딱새는

 

남아프리카에서 북극까지

3만 킬로미터,

지구 한 바퀴를 난다고 한다.

 

살다가 가끔

내 몸무게보다 마음의 무게가

몇백 배 더 무거워

힘들고 괴로울 때

 

나는,

설탕 두 숟갈의 몸무게로

지구 한 바퀴를 날고 있을

아주 작은 새 한 마리

떠올리겠다.

 

이 시집의 시들은 초등학교 교사인 시인과 아이들의 삶을 잘 느낄 수 있게 한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라면, 또, 삶을 살아내고 있는 아이들이라면

이 시집의 많은 시들에 공감을 할 거다.

 

<월요일 모자>에서 떠오르는 아이들이 있다. 떠오르는 장면이 있다.

다음에 교실에 모자쓰고 나타나는 친구들에게 멋있다고 꼭 이야기 해 주어야겠다.

 

<첫사랑>도 또 여러 아이들을 떠오르게 한다.

 

자기 둘은 비밀인 줄 알지만

아이들은 쟤들이 한 달째라고 소곤댑니다.

 

<사우나>에서는 싸우는 두 아이에게 해 주면 좋을 말 읽으며 ㅎㅎ~

 

"두 사람 지금,

사우나?"

 

<시간을 차려 주는 집>에서는 아래 대목이 마음에 들었다.

 

주인은 정말

봄 여름 가을 겨울 어느 때나

아무 때나 가도

참 맛있는 시간을 차려 줍니다.

 

<자석이 달린 글자>도 재미있다.

하지말라고 하면 꼭 하고 싶은 청개구리 마음을 잘 표현했다.

 

<바다>도 참 마음에 든다.

 

사람들이 다 놀기 좋도록

바다는 이렇게 마음 써 놓았다.

 

______어떻게? 바닷물은 조금씩 깊어지고, 모래밭은 조금씩 높아지게 해서 거기에서 각자의 모습으로 재미있게 놀고 쉴 수 있게 해 준다는 말을 보면서 정말 그렇구나 하며 끄덕끄덕~

 

우리 삶의 모습들이 이렇게 한 편 한 편의 시가 되어 공감의 언어로 새롭게 탄생을 한다.

시인의 오랜 생각들이 아름다운 언어로 영글었겠지?

 

시집 읽는 맛~ 꽤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순구의 웃는 얼굴
이순구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에 어울리는 그림을 그린 것이 아니라,

그림 작품에 어울리는 시들을 찾아 모아 만든 시집인 거 같다.

이순구의 웃는 얼굴은 미술 시간에 활용하여 수업을 하기도 하는데,

환경 게시판이 화사해져 덩달아 기분이 좋아진다.

눈은 모두 웃는 반달.

입은 함박 웃음 지으며 크게 벌어졌ㄱ, 하얀 이가 보이고 목젖이 보일 듯 혀가 보인다.

주변은 알록달록 꽃으로 둘러싸여 있을 때가 많다.

때로 새가 있기도 하고, 하늘이... 혹은 구름이 있기도 하다.

이 웃는 얼굴과 잘 어울리는 시들은

웃음이고 노래고, 꽃이고, 새다.

그림을 봐서 기분 좋고,

즐거운 노래를 만나 또 기분이 좋다.

웃고 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벌서다가 -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 선생님들이 가려 뽑은 아이들 시
초등학교 93명 아이들 지음, 전국초등국어교과모임 엮음, 정문주 그림 / 휴먼어린이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동시 모음집이다.

한 때 아이들이 시를 적으면 어른들의 시를 흉내냈다.

죽은 표현, 억지로 꾸민 표현들이 많았다. 

글짓기라는 말보다는 이제는 글쓰기라는 말이 더 친숙하게 느껴진다.

그러는 동안 아이들의 시도 생생하게 살아난 거 같다.

어른들이 아이들의 마음으로 쓴 동시와 비교해서 아동시는 무척 쉽다.

그리고 아이들의 삶이 그대로 녹아 있어서

또래 아이들이 읽기에도 문제가 없다.

 

     아까운 내 돈

이도임. 6학년

 

내가 80000원 레고를 몰래 샀다.

엄마가 보고 이거 얼마냐고 했다.

10000원이라고 했다.

어느 날 엄마가 레고를 실수로 버렸다.

엄마가 미안하다고 다시 사라고

10000원을 줬다.

 

이 느낌 딱 살아서 내게로 온다.

우째, 우째~ 하고 말이다.

 

한 줄 시도 명쾌하게 다가온다.

 

     꺼져!

백민지. 6학년

 

얘들아, 난 촛불이 아니란다.

 

난처한 상황임에도 아이들의 상상력은 죽지 않는다. 

 

 

    홀라당

조재귀. 4학년

 

민건이와 학교 오는 길이다

바람이 많이 분다

홀라당

우산이 뒤집혔다.

 

위성 떴다.

 

 

시를 읽으면 아이들이 삶이 보인다.

 

글쓰기의 맛을 제대로 아는 아이들이 거기에 있다.

아이들이랑 시쓰기를 할 때 참고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