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토란 같은 좋은 연수를 듣고 있다.

과목별로 토의토론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하는 고민의 무게를 가볍게 해결해주는 연수다. 축적된 노하우를 고스란히 전해주시는 강사님들 덕에 여러 가지 시도를 해 볼 수 있겠다는 막연한 자신감이 생긴다. 나만의 시행착오를 거쳐서 나만의 방식으로 정리를 해 나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강의실 컴에 남겨두신 여러 자료들을 백업하는 것만으로도 그저 배가 부르다.

 

교사가 말하지 말고 학생이 말하게 해야 한다고 한다.

수학과에서 토의 학습이 이루어지려면 교구가 주어져야 하는데 그것은 간단한 학습지 한 장일 수도 있다는 사실! 수학강사님이 추천하신 이 책을 읽어 볼 생각이다.

아무리 근사하게 말하고 교육하더라도 배우지 못하는 아이들이 넘쳐나는데, 그 답들을 아이들에게서 찾아야 한다고 한다. 아이들에게 다시 질문을 던져 주면서 모든 답이 아이들에게 나올 때 그 실천력도 높아진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서 유익한 정보들을 많이 얻을 수 있었다.

 

우연히 만나게 된 책인데, 1권을 읽고 만족도가 무척 높아 2권을 사서 읽으려고 한다.

되풀이해서 여러 번 읽으면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오늘 국어 강사님은 여희숙 선생님의 <<토론하는 교실>>을 여러 차례 읽었는데 읽을 때마다 새로운 부분을 만나게 된다고 말씀하셨다. 이 책도 한 번 더 읽어봐야 할 것 같다.

 

 

 

 

그림책 강의에서는 많은 부분에서 익숙한 이야기와 익숙한 책들을 만났지만 이 두 책은 생소하여 접수해 둔다. 토론거리가 많은 책이라고 하니 기회가 되면 마련해 보아야겠다.

그림책의 예술성이란 사실성이 아니라 진정성을 의미한다는 말을 새겨본다.

 

 

 

 

 

이 책의 표지가 주는 의미에 대해서 크게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 오늘 강사님 말씀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고, 책을 읽어주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유익했다. 그림책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아야할지, 아이들에게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할지 개론적인 이야기를 해 주셨는데, 이 방면으로 생소한 선생님들께서는 많은 도움을 받았으리라 생각된다.

 

 

 

프레드릭을 패러디 그림책으로 분류하고, 이 책에서 <<개미와 베짱이>>를 연결시키셨는데, 왜 나는 그런 부분을 눈치채지 못했을까?

 

 

 

코드 아담, 로제리안 논법, 톨민의 6단 논법에 대해서 조금 더 살펴보고, 아이들에게 다양하게 적용시켜 보아야겠다.  

개학날부터 아이들과 함께 할 다양한 거리들로 머리가 거미줄처럼 엉킨 느낌이다. 잘 풀어낼 수 있어야 할 텐데... 뭔가 조금 더 강력한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어야겠다는 두 주먹 불끈이 짧은 다짐으로 끝나지 않기를~

 

지금까지 아이들 핑계로 늘상 원격연수만 받아왔는데, 집합연수의 유익함을 생각한다면 방학 때 연수는 꼭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다른 사람이 잘 하는 것을 부러워 말고 내가 잘 할 수 있는 나만의 강점을 찾으라고 하셨던 강사님 말씀이 부족한 내게 많은 위로가 되었다. 내일까지 홧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