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길고양이 - 제8회 푸른문학상 동화집 미래의 고전 21
김현욱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문학상 수상작이니 책의 내용은 좋으리라 생각헀다.  

단편동화들이니 하나하나의 이야기는 부담없이 만날 수 있어 술술 잘도 읽혔다.  

그런데 그렇게 읽다가 갑자기 가슴이 먹먹해지면서 눈앞이 뿌해진다.  <슬픔을 대하는 자세> 때문이다.  

책의 후반부에 위치한 이 이야기는 아빠를 겨울산에서 잃은 두 남매의 이야기다. 가족을 남겨 두고 먼저 간 아빠가 한없이 미운, 지금 사춘기 정도 되었을 누나와 이제 갓 학교 생활을 시작한 남동생의 슬픔을 대하는 자세를 보며 가슴이 먹먹해졌다. 고생하시는 엄마를 위해 나레이터 모델 누나들이 신장개업하는 가게 앞에서 음악을 틀어놓고 춤을 추듯이 종이 상자를 뒤집어 쓰고 로봇처럼 꾸미면서 엄마 가게 손님을 끌기 위해서 부끄러움도 생각지 않고 춤을 추는 동생의 모습을 바라보는 누나의 마음이 그대로 전해졌기 때문이다. 그래, 그렇게 이겨내야 한다. 그래야 살아낼 수 있으니 말이다.  

<대장이 되고 싶어>는 가장 유쾌한 동화였다. 늘상 이웃 형아에게 밀려 대장을 하지 못 하던 종유가 동생 지유와 함께 보물원정대가 되어 보물을 찾아 나선다. 공주가 되고 싶은 지유는 시도때도 없이 공주변신을 하려 해서 종유를 곤란하게 하는데, 성민이 형이 나타나 자신의 대장 자리를 빼앗으려 하자 "우리 오빠가 대장"이라고 말해주고, 지금까지 오빠 덕분에 악당을 잘 피해왔다고 말해주어 진한 가족애를 보여준다. 보물 원정대는 '엄마'라는 보물을 찾아 무사히 본부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가슴 따뜻하게 전해졌다.  

표제작인 <도서관 길고양>이는 책 읽기 싫어하는 아이와 책을 읽히고 싶은 엄마 사이의 갈등을 다룬 동화인데, 도서관 사서인 엄마가 다미에게 1주일 동안 도서관에서 견디면 남은 방학 동안의 자유를 허락한다는 약속을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래도 도서관에서 1주일을 있는데, 지가 아무리 그래도 책 하나 안 읽을 수 있겠느냐는 엄마의 계산은 실패로 돌아갈 것 같았는데, 도서관에 나타난 길고양이의 흔적 때문에 다미의 도서관 나들이는 흥미로워지기 시작한다. 길고양이의 흔적이 보이는 창작동화가 있는 808.9ㅊ 구역에서 다미는 3가지 증거물을 확보하는데. 바닥에 덜어져 있는 흙덩어리와 다 낡아 빠진 깃털 하나와 바닥에 나뒹둘고 있는 갈색 털뭉치~ 배고픈 고양이와 비둘기의 격투장면까지 떠올려 보며 도서관 길고양이의 모습을 상사하면서 그 고양이를 자신이 길들이고 싶어하는 다미~ 그러나 그 길고양이의 정체를 밝히면서 다미는 절대로 읽지 않을 책을 읽게 되는데... 길고양이의 정체는??? 

어린 시절부터 함께 지내던 편의점 직원이었던 미스박 아줌마가 엄마가 된다는 사실이 너무나도 속상한 민주의 이야기는 <하늘에 세수하고 싶어>를 통해 만날 수 있다. 엄마를 대신한 자리를 늘상 민주에게 열어주고 있던 너무나도 좋아하던 '미스박 아줌마'가 엄마가 된다는 것은 민주를 혼란에 빠뜨리는데... 좋은 것인지, 싫은 것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아픔없이 타인을 가족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 사춘기 민주가 어려운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바라보면서 응원의 박수를 함께 보냈다.  

심사평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나머지 이야기들도 어느 것 하나 빠지지 않는 수작이다.  

나도 이런 동화 쓰고 싶은데... 하면서 작가 이력을 보니 모두들 전문적인 글쓰기 수업을 받았다. ~ 아카데미, ~작가교실 같은 과정을 거친 것을 보면서 이것이 작가가 되기 위한 통과의례인가 싶기도 하고, 그런 과정을 거치면 이야기 구성력이라든지 글쓰기 실력이 확실히 달라질까 궁금하기도 하고. 글 잘 쓰는 사람들에 대한 부러움을 다시 한 번 더 느끼며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