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근차근 가치육아>를 읽고 리뷰해 주세요.
차근차근 가치육아 - 멀리 보고 크게 가르치는 엄마의 육아 센스 65가지
미야자키 쇼코 지음, 이선아 옮김 / 마고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학교에 있다 보니 눈부시게 아름다운 아이들이 있어 그 아이들의 부모들이 부러울 때가 가끔 있다. 그 아이들이란 공부를 무지 잘 하는 아이도 아니요, 얼굴이 무척 아름다운 아이도 아니다.  

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아름다운 향기는 교실의 분위기를 아름답게 만들고, 바라만 보아도 미소짓게 한다. 뭐든지 열심히 하는 아이들이 거기에 속하고(그러면 당근 공부도 잘 할 확률이 높겠네.) 배려심이 깊은 아이, 양보를 잘 하는 아이, 잘 어울리는 아이, 관대한 아이... 

아이들의 이런 장점들은 하늘에서 저절로 내리신 특별 선물은 아닐 듯하다. 가정에서 차근차근 엄마가 아이에게 행동의 모범을 보이면서 그러한 가르침을 주었기 때문이 아닐까? 그래서 나는 그런 부모들에게 한 수를 배우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런 나를 위해 나온 책이 아닐까? 자그만 책은 앉은 자리에서 뚝딱 읽을 분량이다. 고리타분한 이야기가 늘어져 있어서 읽기 힘들거라는 느낌(표지에서 왠지 그런 느낌이 들었다.)과는 달리 책의 내용은 무척  쉬우면서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세상 모든 부모들이 내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소망을 가지고 있으리라. 그러한 소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인내가 많이 필요하리란 생각이 든다. 나도 내 아이를 잘 키우고 싶다. 그런데, 요즘은 그러한 욕심 때문인지 아이가 하는 행동들이 자꾸 성에 안 차서 아이에게 쓸데없는 말을 늘어놓게 된다. 이러면 안 된다, 싶으면서도 말과 행동은 거르지 못한 채 아이의 가슴에 상처를 남기고 있다. 매일 반성하지만, 왜 이리 힘이 드는지 모르겠다. 이러한 고민을 하고 있는 내게 아이를 좀 더 인내력을 가지고 키우라고 이야기 해 준다.  

내성적인 성격 탓에 자기 표현이 적극적이지 못한 우리 희망이에게 '인사하기' 실천을 강조한다. 밝은 모습으로 인사할 줄 아는 사람이 이 다음에 성공한다는(어느 책에서 읽었다.)이야기를 하면서 '큰 소리로 인사하기' 연습을 강조 하는데, 아이에게 무언가 행동과업을 이야기 할 때 지시가 아니라, 어떻게 요령껏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고민도 하게 되는데, 이런 고민들을 함께 풀어 나갈 책으로 이 책이 도움이 되었다.  

-아이에게 잔소리를 할 때 가끔은 '유머'로 말을 포장해 보는 것. "굉장해! 신발이 마구 춤을 추네?" 식으로 말이다. 들었을 때 기분이 팍 상하는 '야유'보다는 웃음이 푹 터져 나오는 '풍자'야 말로 아이를 키우는 약이다.  

-질문을 받으면 대답만 할 것이 아니라 다시 질문하는 요령도 익히도록 도와 주는 것이 좋겠다. 

-T.P.O(Time, Place, Occasion)에 맞는 예절을 키워주어라. 

-하늘이 보고 있음을 알려 주어라. 

-부모가 아이에게 하는 말 한마디 한마디는 하루 세 끼 식사만큼 중요하다. 

-선택하는 연습을 하게 해 주어라. 

등은 이 책에서 건진 내용들이다. 

그 중에서도 다음의 내용을 더욱 가슴에 새겨 본다. 바로 어제 언니와 나눈 대화의 한 장면과 같은 부분이기도 하다. 

   
 

 아이가 이해관계를 먼저 따지는 버릇이 들지 않도록, 아이에게는 교환 조건을 내세우지 않도록 하세요. "내가 엄마를 도와주면 엄만 나한테 뭐 해 줄거야?"같은 말이 절대 나오지 않도록 말이에요. 엄마를 도와 준 결과로 보상을 받는 것과 보상을 받기 위해 엄마를 돕는 것은 전혀 달라요. 착한 일을 했거나 성적이 올랐을 때도 아이가 먼저 보상을 요구할 때는 절대로 들어주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게 좋아요. 물론 '꼬~옥 안아주기'같은 상은 많이 줄수록 좋겠죠.

 
   

 아이하고 함께 걸어가야 할 길은 멀고도 멀다. 나를 키운 우리 엄마가 나의 스승이며, 이러한 책이 또한 나의 스승이다. 나는 우리 아이를 정말 잘 키우고 싶어서 오늘도 이렇게 책을 읽는다. 이러한 나의 독서가 우리 아이에게 제대로 된 사랑으로 돌아가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