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치와 괴물 사형제 두고두고 보고 싶은 그림책 3
정하섭 글 한병호 그림 / 길벗어린이 / 199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과서에 나오는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만났다.

해치와 관련 된 것은 이 그림책의 이야기로 한 번 만나고 설명문으로 또 교과서에서 한 번 만난 기억이 난다.

해치란 우리가 흔히 이야기 하는 ‘해태’와 같은 것으로 전설 속 상상의 동물이다. 성품이 바르고 곧아 옳고 그름을 정확하게 가려 내는 신성한 동물이며 산양이나 사자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머리 가운데 뿔이 하나 솟아 있다. 이 뿔로 바르지 못한 사람과 옳지 못한 말을 하는 사람을 들이받는다고 한다. ‘해님이 보낸 벼슬아치’라는 뜻의 해치는 해의 신이라 할 수 있는데 해가 어둠을 환하게 밝히듯 불의를 물리치고 정의를 지키는 신이다. 따라서 법관이나 어사는 해치의 모습이 새겨진 모자나 옷을 입고 공정한 판단을 내리려는 마음을 담았다. 또 해치는 불을 다스리는 신으로 궁궐이나 절에 화재를 막으려는 목적으로 세워 두기도 하였다. 모든 재앙을 물리치고 정의와 평화를 지켜 주는 우리 민족의 수호신 해치(이상, 본 그림책의 해설 부문 참고)를 이야기로 만나 보자.

세상이 처음 생겼을 때 해치는 아침부터 저녁까지 세상 구석구석을 햇빛을 비춰 주었고 누군가 나쁜 짓을 하면 곧바로 달려가 정의의 뿔로 혼을 내 주었어. 한편, 어두운 땅 속 나라에는 무섭게 생긴 괴물들이 살았는데 가장 못된 녀석들이 괴물 사형제였단다. 뭉치기 대왕, 뿜기 대왕, 던지기 대왕, 박치기 대왕과 해치와의 한판 싸움은 해치가 조는 사이 땅 속 깊은 곳에서 해를 훔쳐 내어 못된 장난을 쳐 사람들을 힘들게 하고, 나무들을 말라죽게 한 괴물 사형제 때문에 시작 되었어.

박치기 대왕은 으다다다 해치에게 달려 들었으나 정의의 뿔에 그만 털썩 주저앉고 말았지. 던지기 대왕이 커다란 바위를 던졌으나 정의의 뿔에는 당해내지 못했지. 뿜기 대왕의 뜨거운 불기둥도 해치의 차가운 서리 기둥에는 어쩔 수 없었단다. 뭉치기 대왕은 네 개로 나누었던 해를 하나로 뭉쳐 해치를 향해 던졌어. 해치는 그 해를 입으로 꼴깍! 삼킨 후 다시 세차게 토해내었어. 불벼락을 맞은 괴물 사형제는 꽥꽥 소리치며 땅속으로 도망쳐 버렸지.

그리하여 세상은 어떻게 되었냐고? 잘 생각 해 봐!(아이들에게 들려 줄 이야기 버전^^)  

 

해치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 줄 때면 이 이야기가 정말 딱이겠다! 재미있는 우리 옛이야기 따라 날마다 늘어나는 상식~ 좋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