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록>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한중록 ㅣ 문학동네 한국고전문학전집 3
혜경궁 홍씨 지음, 정병설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8월
평점 :
MBC 드라마 <이산>을 보고 나서 초등학생 딸아이는 정조대왕의 극성 팬이 되었다.
거기다 자신이 실학자 정약용의 후손이라는 사실에 자부심을 느끼게 되었으니
우리집에서는 한동안 정조대왕이나 정약용에 관한 책은 눈에 띄면 무조건 사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 되었다.
나는 사극을 좋아하지 않는다.
초등학교에 다니던 어느 해 방학 때, 읽을 게 없어 주워 읽은 책이
'왕비열전' 류의 날림 전집.
당파싸움과 세도정치와 왕과 왕비, 후궁들의 치정극이 정말 장난이 아니었다.
왕이고 신하고 간에, 백성은 아랑곳없이 개인의 관심과 사리사욕에 눈이 먼 것으로만
내게는 보였으니.
마음에 들지 않는 건 무조건 외면하고 보는 성질머리 때문에
이때까지 사극은 영화고 드라마고 한 번도 챙겨서 본 기억이 없다.
그런데 며칠 전부터 무려 80회분의 드라마 <이산>을
하루에 네다섯 편씩 몰아서 보고 있다.
<한중록>을 읽고 나서다.
혜경궁 홍씨는 물론이고 그녀의 천적 화완옹주와 정순왕후 역할을 누가 맡았는지
궁금했던 것이다.
자신의 이 기록이 남편 경모궁(사도세자)과 시아버지 영조대왕의 치부를
드러내는 건 아닌지 염려하면서도 혜경궁 홍씨는 손에서 끝까지 붓을 놓지 못했는데,
그녀의 붓은 아들을 미워하는 것뿐 아니라 이상심리에 가까운 영조대왕의 편집증,
아버지의 눈치를 보면 볼수록 더더욱 미움을 사게 되어 자폭하듯 난폭해져 가는
사도세자의 내면 풍경을 담담하게 때로는 끈끈한 터치로 그려내고 있다.
왕실의 공식적인 기록인 <승정원 일기>는 광증에 사로잡혔을 때의 사도세자의 비행과 죄상,
뒤주에 갇혀 죽은 사건('임오화변') 기록을 지웠다고 한다.
'사도세자'가 영조나 정조대왕에게는 얼마나 큰 트라우마였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글의 중간중간 '한중록 깊이 읽기'라고 하여 관계나 사건의 자세한 설명이 나온다.
독서의 흐름이 끊기는 듯해 처음엔 눈살을 찌푸렸는데 나중엔 옮긴이에게 감사하며 읽었다!)
<한중록>을 읽으며, 특히 사도세자의 서자들에게 나누어준 몇 줌의 알밤 때문에
온 왕실이 경을 치는 일화를 읽으며,
이상하게도 나는 오래 전 읽은 츠베탕 토도로프의 <일상 예찬>과
책 속에 소개된 그림들이 몇 점 떠올랐다.
17세기 네덜란드의 일상을 그린 회화들과 18세기에서 19세기 초 조선왕실의 일상이
겹칠 리 없다. 더구나 문학과 회화는 의미를 생산하는 방식이 다르지 않은가.
궁금해서 책을 찾아 살펴보았더니 차례 중에서 여섯 번째 제목이 눈에 띄었다.
'간파할 수 없는 존재들'.
네덜란드 회화, 사진으로 찍듯 세밀하게 그려낸 인간의 일상과 표정 속에서 느꼈던
무시무시한 전율을 나는 혜경국 홍씨의 이 기록 속에서 느꼈던 것이다.
권력을 두고 벌어지는 당파간 혹은 개인의 진흙탕 싸움이나,
왕실 안에서 벌어지는 애정과 질투의 파노라마는
멀쩡하게 잘 흐르는 역사의 물줄기를 다른 방향으로 바꾸기도 했다.
소설가 이태준은 <한중록>을 보고 '이것이야말로 조선의 산문고전'이라 극찬했다 한다.
"하늘이 무섭고 차마 망극망극하여 얼른 죽어 아무것도 모르고 싶더라"는
혜경궁의 탄식은 결국 삶에 대한 뜨거운 애착에 다름 아닌 것이다.
올해 봄, 수원에 갈 일이 있었는데 딸아이의 성화에 못 이겨 '수원화성'을 찾았다.
딸아이는 <정조의 꿈이 담긴 조선 최초의 신도시 수원 화성> 책을 들고 가서
화성행궁과 화령전에 대해 설명했다.
정조의 초상화, 혜경궁 홍씨가 머물렀다는 방, 그리고 사도세자의 뒤주 앞에서
딸아이의 목소리는 특히 높아졌던 것 같다.
관람객들에게 이순신 장군에 대해 목청 높여 설명하던
영화 <하하하> 속의 문소리처럼...